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표제지 등]=0,1,3
제출문=0,4,1
차례=i,5,4
표차례=v,9,2
그림차례=vii,11,1
요약문=viii,12,13
제1장 서론=xiii,25,1
제1절 연구의 배경과 필요성=1,26,5
제2절 연구목적=5,30,3
제3절 연구범위와 방법(SWOT분석틀), 체계=7,32,4
제2장 거버넌스 이론과 로컬거버넌스의 필요성=10-1,36,3
제1절 거버넌스와 국가관리=12,38,1
1. 거버넌스 이해의 기초와 최근 경향=12,38,4
2. 개념정의에 대한 논쟁=15,41,2
3. 왜 거버넌스인가?, 시민참여와 정부간 상호조정=17,43,3
제2절 로컬거버넌스의 의의=20,46,1
1. 로컬거버넌스의 본질과 필요성=20,46,4
2. 세계화, 지방화, 정보화시대의 지방정부의 다층적 거버넌스(Multi-Level Governance)=23,49,4
3. 로컬거버넌스와 지방정부의 경쟁력(Competence: 역량)=26,52,4
제3장 경기도 역사와 정체성=29-1,56,1
제1절 문제의 소재=30,57,2
제2절 조선시대의 한성과 경기=31,58,5
제3절 경기의 개념과 경기도의 역사=36,63,1
1. 경기(京畿)의 개념=36,63,4
2. 경기도(京畿道)의 역사=39,66,6
제4절 조선시대 경기도 로컬 거버넌스의 시대적 함의=44,71,1
1. 국방=44,71,3
2. 교통과 상업=46,73,4
3. 향약=49,76,6
제5절 소결: 경기도의 역사적ㆍ문화적 정체성 증진 방안=55,82,5
제4장 경기도의 조직역량 강화방안과 전략=59-1,87,1
제1절 서언: 조직역량과 혁신의 추진력=60,88,1
제2절 조직구조와 편제=61,89,1
1. 기능중심의 편제로의 혁신=61,89,5
2. 수직적, 수평적 조직구조와 편제=65,93,3
제3절 인력 및 재정관리의 혁신=67,95,6
제4절 경쟁력 제고를 위한 성과관리와 혁신역량의 제고=72,100,11
제5절 직속기관과 사업소=82,110,2
제5장 정부간 관계: 재정력 확충과 지방정부간 균형발전=83-1,112,1
제1절 서론=84,113,1
제2절 경기도 재정의 현황=85,114,1
1. 재정력의 문제=85,114,6
2. 지방자치단체 간 수평적 재정불균형의 문제=90,119,8
제3절 경기도 세입 및 세출 구조 분석=98,127,1
1. 경기도 본청과 시ㆍ군의 수입구조 분석=98,127,4
2. 일반회계 세입분석=101,130,10
제4절 경기도 내 정부 간 재정관계 분석=110,139,2
제5절 재무행정의 효율화 방안=111,140,1
1. 재정건전화의 과제=111,140,2
2. 투자심사제도의 내실화=112,141,2
3. 재정계획의 내실화=114,143,1
4. 지방채무 관리의 효율화=114,143,2
5. 수수료ㆍ사용료의 현실화=115,144,3
제6절 정부간 기능의 재배분=117,146,1
1. 중앙과 경기도의 기능 재배분=117,146,3
2. 광역과 기초자치단체의 기능 배분=119,148,1
제6장 지역기업과 지역발전=119-1,149,1
제1절 서론=120,150,1
1. 세계화와 지방화=120,150,2
2. 경기도의 산업 발전경로=121,151,2
제2절 지역발전: 집적과 혁신=122,152,1
1. 집적과 혁신=122,152,3
2. 지역산업과 산업체제=125,155,12
제3절 지역 거버넌스=137,167,1
1. 지역 거버넌스와 산업체제=137,167,3
2. 지역 거버넌스와 지역제도=140,170,1
제7장 시민단체와 정치참여=140-1,171,1
제1절 서론=141,172,2
제2절 생활정치의 관점에서 본 시민단체의 역할=142,173,3
제3절 경기도 시민단체의 유형별 활동사례=144,175,2
1. 사회복지분야의 사례=145,176,2
2. 환경보호 분야의 사례=147,178,2
3. 행정감사 분야의 사례=148,179,2
4. 교육 및 청소년관련 활동사례=149,180,1
5. 의료분야에서의 활동 사례=150,181,1
제4절 경기도 시민단체의 내부역량=150,181,3
제5절 경기도 시민단체의 외부환경=152,183,8
제6절 경기도 시민사회의 특성과 참여전략=159,190,5
제8장 결론: 요약 및 정책적 함의=163-1,195,1
제1절 요약 및 정책적 함의=164,196,9
제2절 SWOT분석과 경기도 거버넌스 발전모형=173,205,1
1. 경기도 거버넌스 주요 변수(요소)와 SWOT분석=173,205,2
2. 모형의 의미와 활용가능성=175,207,2
참고문헌=176-1,209,8
부록 1. 경기도 거버넌스에 대한 공무원 인식조사 설문지
부록 1. 경기도 거버넌스에 대한 공무원 인식조사 설문지=0,217,8
부록 2. 경기도의 산업경쟁력
부록 2. 경기도의 산업경쟁력=0,225,2
부록 3. 경기도 거버넌스에 대한 공무원 인식조사 결과
부록 3. 경기도 거버넌스에 대한 공무원 인식조사 결과=0,227,95
[판권지]=95,322,1
(그림 5-1) 경기도 거버넌스의 구조=8,33,1
(그림 1-6) 경기도 거버넌스의 SWOT 분석틀=9,34,1
(그림 2-1) 로컬거버넌스의 구조=28,54,1
(그림 4-1) 경기도 인사혁신의 기조 변화 방향=68,96,1
(그림 4-2) 지방정부에서 성과의 차원과 개념구조=74,102,1
(그림 4-3) 균형성과표(BSC)의 네 가지 평가 차원=77,105,1
(그림 4-4) 미국 Charlotte시의 전략기획 과정과 BSC 연계 사례=77,105,1
(그림 4-5) 직무성과계약제 구축을 위한 지표개발 단계=81,109,1
(그림 5-1) 지방세 구조=102,131,1
(그림 8-1) 경기도 거버넌스 발전모형=175,207,1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T000013673 | 전자형태로만 열람가능함 | 전자자료 | 이용불가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