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표제지 등]=0,1,3

제출문=0,4,1

차례=i,5,4

표차례=v,9,2

그림차례=vii,11,1

요약문=viii,12,13

제1장 서론=xiii,25,1

제1절 연구의 배경과 필요성=1,26,5

제2절 연구목적=5,30,3

제3절 연구범위와 방법(SWOT분석틀), 체계=7,32,4

제2장 거버넌스 이론과 로컬거버넌스의 필요성=10-1,36,3

제1절 거버넌스와 국가관리=12,38,1

1. 거버넌스 이해의 기초와 최근 경향=12,38,4

2. 개념정의에 대한 논쟁=15,41,2

3. 왜 거버넌스인가?, 시민참여와 정부간 상호조정=17,43,3

제2절 로컬거버넌스의 의의=20,46,1

1. 로컬거버넌스의 본질과 필요성=20,46,4

2. 세계화, 지방화, 정보화시대의 지방정부의 다층적 거버넌스(Multi-Level Governance)=23,49,4

3. 로컬거버넌스와 지방정부의 경쟁력(Competence: 역량)=26,52,4

제3장 경기도 역사와 정체성=29-1,56,1

제1절 문제의 소재=30,57,2

제2절 조선시대의 한성과 경기=31,58,5

제3절 경기의 개념과 경기도의 역사=36,63,1

1. 경기(京畿)의 개념=36,63,4

2. 경기도(京畿道)의 역사=39,66,6

제4절 조선시대 경기도 로컬 거버넌스의 시대적 함의=44,71,1

1. 국방=44,71,3

2. 교통과 상업=46,73,4

3. 향약=49,76,6

제5절 소결: 경기도의 역사적ㆍ문화적 정체성 증진 방안=55,82,5

제4장 경기도의 조직역량 강화방안과 전략=59-1,87,1

제1절 서언: 조직역량과 혁신의 추진력=60,88,1

제2절 조직구조와 편제=61,89,1

1. 기능중심의 편제로의 혁신=61,89,5

2. 수직적, 수평적 조직구조와 편제=65,93,3

제3절 인력 및 재정관리의 혁신=67,95,6

제4절 경쟁력 제고를 위한 성과관리와 혁신역량의 제고=72,100,11

제5절 직속기관과 사업소=82,110,2

제5장 정부간 관계: 재정력 확충과 지방정부간 균형발전=83-1,112,1

제1절 서론=84,113,1

제2절 경기도 재정의 현황=85,114,1

1. 재정력의 문제=85,114,6

2. 지방자치단체 간 수평적 재정불균형의 문제=90,119,8

제3절 경기도 세입 및 세출 구조 분석=98,127,1

1. 경기도 본청과 시ㆍ군의 수입구조 분석=98,127,4

2. 일반회계 세입분석=101,130,10

제4절 경기도 내 정부 간 재정관계 분석=110,139,2

제5절 재무행정의 효율화 방안=111,140,1

1. 재정건전화의 과제=111,140,2

2. 투자심사제도의 내실화=112,141,2

3. 재정계획의 내실화=114,143,1

4. 지방채무 관리의 효율화=114,143,2

5. 수수료ㆍ사용료의 현실화=115,144,3

제6절 정부간 기능의 재배분=117,146,1

1. 중앙과 경기도의 기능 재배분=117,146,3

2. 광역과 기초자치단체의 기능 배분=119,148,1

제6장 지역기업과 지역발전=119-1,149,1

제1절 서론=120,150,1

1. 세계화와 지방화=120,150,2

2. 경기도의 산업 발전경로=121,151,2

제2절 지역발전: 집적과 혁신=122,152,1

1. 집적과 혁신=122,152,3

2. 지역산업과 산업체제=125,155,12

제3절 지역 거버넌스=137,167,1

1. 지역 거버넌스와 산업체제=137,167,3

2. 지역 거버넌스와 지역제도=140,170,1

제7장 시민단체와 정치참여=140-1,171,1

제1절 서론=141,172,2

제2절 생활정치의 관점에서 본 시민단체의 역할=142,173,3

제3절 경기도 시민단체의 유형별 활동사례=144,175,2

1. 사회복지분야의 사례=145,176,2

2. 환경보호 분야의 사례=147,178,2

3. 행정감사 분야의 사례=148,179,2

4. 교육 및 청소년관련 활동사례=149,180,1

5. 의료분야에서의 활동 사례=150,181,1

제4절 경기도 시민단체의 내부역량=150,181,3

제5절 경기도 시민단체의 외부환경=152,183,8

제6절 경기도 시민사회의 특성과 참여전략=159,190,5

제8장 결론: 요약 및 정책적 함의=163-1,195,1

제1절 요약 및 정책적 함의=164,196,9

제2절 SWOT분석과 경기도 거버넌스 발전모형=173,205,1

1. 경기도 거버넌스 주요 변수(요소)와 SWOT분석=173,205,2

2. 모형의 의미와 활용가능성=175,207,2

참고문헌=176-1,209,8

부록 1. 경기도 거버넌스에 대한 공무원 인식조사 설문지

부록 1. 경기도 거버넌스에 대한 공무원 인식조사 설문지=0,217,8

부록 2. 경기도의 산업경쟁력

부록 2. 경기도의 산업경쟁력=0,225,2

부록 3. 경기도 거버넌스에 대한 공무원 인식조사 결과

부록 3. 경기도 거버넌스에 대한 공무원 인식조사 결과=0,227,95

[판권지]=95,322,1

표목차

(표 2-1) 영역별 거버넌스의 활동유형=14,40,1

(표 3-1) 1390년 경기좌우도 소속의 군현=42,69,1

(표 4-1) 경기도의 팀제 도입을 위한 차등화 전략=64,92,1

(표 4-2) 경기도의 바람직한 정책추진 방향=66,94,1

(표 4-3) 조직분야별 강화/확대 필요성 분석=67,95,1

(표 4-4) 경기도의 공무원 인력구성 현황=67,95,1

(표 4-5) 경기도 공무원 인사행정의 강점과 약점=70,98,1

(표 4-6) 재정 및 예산관리분야의 과제와 개선방향=71,99,1

(표 4-7) 경기도의 혁신수용 정도에 대한 평가=72,100,1

(표 4-8) 논리모델과 BSC의 공통점 비교=79,107,1

(표 4-9) 직속기관 및 사업소의 문제점과 개선방안=83,111,1

(표 5-1) 전국 재정자립도 평균=85,114,1

(표 5-2) 재정자립도 시ㆍ도별 현황=86,115,1

(표 5-3) 경기도 자치단체별 재정자립도=87,116,1

(표 5-4) 지방자치단체 기본적 세출소요 비중지수=88,117,1

(표 5-5) 경기도 31개 시ㆍ군별 기본적 세출소요 비중지수=89,118,1

(표 5-6) 지방자치단체 투자비 비율=89,118,1

(표 5-7) 경기도 31개 시ㆍ군별 투자비 비율=90,119,1

(표 5-8) 일반회계 자체수입(지방세+세외수입) 대 인건비 비율=91,120,1

(표 5-9) 31개 시군별 지방세, 자체수입과 인건비의 비교=92,121,1

(표 5-10) 31개 시군별 지방세, 자체수입과 일반행정비의 비교=94,123,1

(표 5-11) 2003년 경기 31개 시군별 연도별 주민1인당 지방세 수입, 자체수입, 수입=95,124,1

(표 5-12) 2003년 경기 31개 시군별 주민1인당 세입의 평균, 표준편차=97,126,1

(표 5-13) 2003년 경기도 31개 시군별 세입의 상관계수=97,126,1

(표 5-14) 2003년 경기도 31개 시군별 세입 분석 비율=100,129,2

(표 5-15) 연도별 경기 시군계 지방세 세목별 결산 분석=103,132,1

(표 5-16) 2003년 경기도 일반회계 세입결산 분석=104,133,1

(표 5-17) 2001년 경기도 31개 시군별 연도별 주민 1인당 세출=107,136,3

(표 5-18) 경기 31개 시군별 연도별 주민 1인당 세출의 변이계수=110,139,1

(표 5-19) 투자심사 대상 사업=113,142,1

(표 5-20) 연도별 채무 증가 현황=115,144,1

(표 6-1) 성별 지역의 경제발전을 위한 중추기업에 대한 선호도=128,158,1

(표 6-2) 성별 지역내 노동의 질적 수준에 대한 평가=130,160,1

(표 6-3) 성별 기업간 기술공유수준에 대한 평가=132,162,1

(표 6-4) 성별 산학협동수준에 대한 평가=134,164,1

(표 6-5) 성별 지역내 투자수준에 대한 평가=135,165,1

(표 7-1) 2005년도 경기도 시민단체들의 주요활동유형=144,175,1

(표 7-2) 경기도 지역 시민단체의 주요활동 분야=151,182,1

(표 7-3) 경기도의 정보화수준=152,183,1

(표 7-4) 시도별 정보화수준 격차=153,184,1

(표 7-5) 홈페이지 활용수준, 전자적주민참여=154,185,1

(표 7-6) 도행정에 대한 시민의 참여정도=156,187,1

(표 7-7) 도와 시민단체간의 협의채널 구축정도=156,187,1

(표 7-8) 시민단체의 역할에 대한 평가=157,188,1

(표 7-9) 시민단체의 역량에 대한 평가=158,189,1

(표 7-10) 시민단체와의 관계경험 정도=158,189,1

(표 8-1) 경기도 거버넌스 변수와 정책모형=174,206,1

그림목차

(그림 5-1) 경기도 거버넌스의 구조=8,33,1

(그림 1-6) 경기도 거버넌스의 SWOT 분석틀=9,34,1

(그림 2-1) 로컬거버넌스의 구조=28,54,1

(그림 4-1) 경기도 인사혁신의 기조 변화 방향=68,96,1

(그림 4-2) 지방정부에서 성과의 차원과 개념구조=74,102,1

(그림 4-3) 균형성과표(BSC)의 네 가지 평가 차원=77,105,1

(그림 4-4) 미국 Charlotte시의 전략기획 과정과 BSC 연계 사례=77,105,1

(그림 4-5) 직무성과계약제 구축을 위한 지표개발 단계=81,109,1

(그림 5-1) 지방세 구조=102,131,1

(그림 8-1) 경기도 거버넌스 발전모형=175,207,1

10-1,36,1

29-1,56,1

59-1,87,1

83-1,112,1

119-1,149,1

140-1,171,1

163-1,195,1

176-1,209,,1

이용현황보기

로컬거버넌스를 통한 경기도 발전모형 개발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T000013673 전자형태로만 열람가능함 전자자료 이용불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