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표제지]=0,1,1

제출문=3,2,2

차례=5,4,6

제1부 지역의 역사=11,10,2

제1장 태백ㆍ정선의 약사=13,12,1

제1절 태백의 약사=13,12,12

제2절 정선의 약사=25,24,5

제2장 석탄개발의 역사=30,29,1

제1절 개관=30,29,2

제2절 조선시대의 석탄광업=31,30,4

제3절 일제하에서의 석탄광 개발=34,33,20

제4절 석탄산업의 발전과 태백지역의 변화=54,53,17

제5절 정선의 석탄산업 약사=70,69,6

제6절 80년대 석탄광업의 상태와 석탄산업합리화사업=75,74,14

제2부 폐특법제정과 지역개발=89,88,2

제1장 특별법제정을 위한 주민입법청원운동의 전개=91,90,1

제1절 대정부 투쟁과 시민주식회사설립을 통한 자구노력=91,90,4

제2절 주민 생존권 투쟁=95,94,5

제3절 폐광지역의 회생을 위한 '특별법' 제정 주민입법청원운동의 전개=100,99,21

제2장 강원랜드 설립과 지역개발의 전망=121,120,1

제1절 탄광지역 개발사업의 과정과 특별법에 의한 개발계획의 내용=121,120,6

제2절 강원랜드의 설립과 운영현황=127,126,2

제3절 강원랜드 사업의 파급효과=128,127,26

제4절 강원랜드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새로운 과제=153,152,10

제3부 태백ㆍ정선의 지역개발=163,162,2

제1장 지역개발의 기반분석=165,164,1

제1절 인구분석=165,164,7

제2절 공무원 수 분석=172,171,2

제3절 재정 분석=173,172,7

제4절 관광객 수 분석=180,179,3

제2장 지역개발의 발전방향=183,182,1

제1절 태백ㆍ정선지역과 수도권의 지역격차=183,182,3

제2절 지역격차 해소 방안=185,184,3

제3절 지방과 수도권의 일반적 지역격차에 대한 지역별 분석=187,186,1

제4절 구체적 지역격차에 대한 지역별 분석=188,187,1

제5절 구체적 지역격차에 대한 성별 분석=189,188,1

제6절 인구 통계학별 지역격차 분석=190,189,2

제7절 태백ㆍ정선지역의 발전방향=192,191,2

제8절 폐특법과 지역개발=194,193,5

제4부 태백ㆍ정선의 지역경제=199,198,2

제1장 태백ㆍ정선의 경제구조=201,200,1

제1절 토지이용=202,201,1

제2절 인구=203,202,3

제3절 사업체수 및 종사자수 추이=205,204,2

제4절 지역 내 총생산액 추이=206,205,4

제5절 산업구조 변동 추이=209,208,3

제6절 대외 개발환경의 변화=211,210,2

제2장 태백ㆍ정선의 농업=213,212,1

제1절 농가인구 추이=213,212,1

제2절 농업경영 규모=214,213,1

제3절 농업 종사자의 고령화=214,213,2

제4절 요약=215,214,3

제3장 태백ㆍ정선의 광공업=218,217,1

제1절 광업 및 제조업 추이=218,217,3

제2절 종사상 지위 및 종사자수 현황=220,219,2

제3절 산업 및 농공단지 현황=221,220,6

제4절 요약=227,226,2

제4장 서비스업 및 관광산업=229,228,1

제1절 서비스업 현황=229,228,2

제2절 관광산업 현황=231,230,2

제3절 유통ㆍ금융 및 기타=232,231,3

제4절 요약=234,233,2

제5장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제안=236,235,1

제1절 탄광지역개발 사업의 지속적 추진=236,235,1

제2절 적극적인 지역마케팅=236,235,1

제3절 친환경클러스터 구축=237,236,1

제4절 지역혁신체계 구축=237,236,2

제5부 태백ㆍ정선의 지역문화=239,238,2

제1장 문화의 형성 배경=241,240,1

제1절 역사성=241,240,5

제2절 지역성=245,244,3

제2장 문화의식과 정체성=248,247,7

제3장 문화 축제=255,254,7

제4장 문화의 활성화=262,261,3

제6부 태백ㆍ정선의 지방정치=265,264,2

제1장 시작함=267,266,3

제2장 지방자치에 관한 주민 의식=270,269,1

제1절 1995년 이후 지방자치의 시정(施政)활동 평가=270,269,3

제2절 지방자치제 실시 이후 가장 많이 달라진 점=273,272,3

제3절 관선단체장과 민선 단체장간의 가장 큰 차이점=276,275,3

제4절 태백ㆍ정선지역 지방자치에서의 문제점=279,278,2

제3장 지방정치(1) : 선호정당, 투표행위, 시민단체 활동=281,280,1

제1절 정당에 대한 호감도=281,280,3

제2절 투표 시 후보자 선택 기준=284,283,3

제3절 정치(시사)문제에 대한 관심도=287,286,3

제4절 정치참여의 효능에 대한 인식=290,289,3

제5절 거주지역 시민단체들의 활동에 대한 인식=293,292,3

제4장 지방정치(2) : 정치인 인지도, 지방의회=296,295,1

제1절 선출직 공무원에 대한 인지도=296,295,4

제2절 지역 정치인의 활동에 대한 평가=299,298,3

제3절 지방의회에 대한 평가=302,301,3

제4절 지방의회가 앞으로 중요시해야 할 과제=305,304,4

제5장 마무리=309,308,2

제1절 지방자치=310,309,2

제2절 지방정치(1)=311,310,3

제3절 지방정치(2)=313,312,4

제7부 태백ㆍ정선의 지역사회의식=317,316,2

제1장 지역사회의 변화와 지역사회의식=319,318,2

제2장 지역사회의식 분석=321,320,1

제1절 조직참여=321,320,6

제2절 지역사회에 대한 정체성=326,325,6

제3절 공동체의식=332,331,10

제4절 정주의식=342,341,5

제5절 정보화와 미디어=347,346,9

제3장 태백ㆍ정선 지역주민의 지역사회의식=356,355,3

참고문헌=359,358,4

태백ㆍ정선 지역사회의식 조사개요=363,362,3

[설문지 등]=366,365,10

[판권지]=376,37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