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표제지]=0,1,2
제출문=0,3,1
요약=0,4,3
목차=i,7,3
표 목차=iv,10,1
그림 목차=iv,10,1
I. 도입=1,11,1
1. 새 교육과정 개발의 배경=1,11,1
(1) 2005학년도 치의학전문대학원으로의 전환=1,11,1
(2) 기존 치의학교육과정의 근원적 문제점의 해결=1,11,2
(3) 치의학교육의 Global Standard의 적극적 대처=2,12,1
2. 교육과정 개편의 기본방향=2,12,1
(1) 통합교육(Intergrated Curriculum)=2,12,2
(2) 자기 주도적 학습(Self-Directed Learning)=3,13,1
(3) 평생교육(Lief-Long Education)=3,13,1
(4) 직업전문성(Professionalism)=3,13,1
(5) 지역사회중심교육(Community-Based Education)=3,13,2
II. 개발방법 및 진행경과=5,15,1
1. 개발방법=5,15,1
(1) 요구분석=5,15,2
(2) 해외 대학 교육과정의 분석=6,16,3
(3) 교수진의 협의 및 승인=8,18,1
(4) 4년제 기본교육과정의 운영(2004학년도 1학기)=8,18,2
2. 진행경과=9,19,1
(1) 교육과정개발특별위원회(2003.4-2003.9)=9,19,5
(2) 통합교과목별 운영위원회(2003.9-현재)=13,23,2
(3) 정례 교수회의=14,24,1
(4) 교과목 평가(2004학년도 1학기)=15,25,1
III. 새 교육과정의 구성=16,26,1
1. 새 교육과정의 구성원리=16,26,1
(1) 통합교육(Intergrated Curriculum)=16,26,1
(2) 핵심교육(Core Curriculum)의 강화와 선택교과목(Elective Course) 편성=16,26,1
(3) 교육과정의 지속적인 평가와 질 관리=17,27,1
2. 교육과정의 개요=18,28,1
(1) 교육목표=18,28,1
(2) 학점 배분=18,28,3
(3) 교과목 구성=21,31,1
3. 통합교과별 교육목표 및 내용=22,32,1
(1) 인체의 이해=22,32,1
(2) 구강악안면의 이해=22,32,2
(3) 치아의 이해=24,34,1
(4) 임상치의학=25,35,1
(5) 치과와 사회=26,36,2
IV. 새 교육과정의 운영=28,38,1
1.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기구의 개편=28,38,1
(1) 통합교과목 운영위원회=28,38,2
(2) 치의학교육실=29,39,3
2. 교육과정 운영의 절차=32,42,1
(1) 교육계획서의 작성(학기전)=32,42,1
(2) 학업성취도평가(학기 중 및 학기말)=32,42,3
3. 새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웹 기반 환경의 조성=34,44,1
(1) 웹기반 교육시스템 개발의 필요성=34,44,2
(2) 새로운 치의학 교육과정에서의 웹 기반 학습을 위한 요구사항=35,45,1
(3) 웹 기반 교육시스템의 개발방향=35,45,1
(4) 웹 기반 교육시스템의 구성요소=35,45,2
(5) 연구개발이 필요한 부분=36,46,1
4. 새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실습환경의 조성=36,46,1
(1) 실습환경 개선의 필요성=36,46,2
(2) 임상조기노출을 위한 실습실의 구성=37,47,1
V. 결론=38,48,1
1. 2004년도 학사과정 교육개편 모델의 평가=38,48,1
(1) 교육과정의 구성=38,48,2
(2) 교육과정의 운영=40,50,2
(3) 교육환경의 조성=42,52,1
2. 추후개발의 방향=42,52,1
(1) 웹기반 교육관리 시스템의 개발 및 적용=42,52,4
(2) 문제은행의 구축 및 학생성취도 관리방안의 개발=45,55,2
(3) 임상교육의 개선방안 개발=46,56,2
(4) 프로페셔널리즘의 함양을 위한 교육적 방안 개발=47,57,2
3. 지원 및 협력의 모색=48,58,1
(1) 치의학전문대학원 교육과정 표준화 연구의 지원=48,58,1
(2) 치의학전문대학원 전환에 따른 행ㆍ재정적 지원=48,58,2
부록=50,60,1
부록 1. 학생 및 교수 대상 면담=50,60,10
부록 2. 전문가 초청 초대장=60,70,1
부록 3. 교육과정개발특별위원회 회의록=61,71,13
부록 4. 통합교과목별 운영위원회(2003. 9-현재)=74,84,11
부록 5. 12월 정례 교수회의 회의록=85,95,12
부록 6. 2004학년도 1학기 교수 및 학생 강의평가 실시일정=97,107,2
(그림 1) 서울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교육과정의 개발절차=9,19,1
(그림 2) 전문대학원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기구의 구성=28,38,1
(그림 3) 통합교과목 운영위원회의 주요 업무=29,39,1
(그림 4) 치의학교육실의 공식 웹사이트=31,41,1
(그림 5) 학업성취도 평가업무의 주요 흐름도=33,43,1
(그림 6) 학업성취도평가를 위한 각 기구의 역할=34,44,1
(그림 7) 새 교육과정에서 도입될 웹기반 학습시스템의 구성요소=36,46,1
(그림 8) 임상조기노출을 위한 실습실의 내부=37,47,1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