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표제지]=0,1,1

제출문=0,2,1

목차=(i),3,5

표차례=(vi),8,4

그림차례=(x),12,2

용어 해설=i,14,6

I. 서론=1,20,1

1. 연구의 목적 및 배경=1,20,2

2. 연구 범위 및 내용=2,21,2

3. 연구방범=4,23,1

II. 최근 세계 투자개발사업 동향 및 전망=5,24,1

1. 해외건설시장 환경변화=5,24,1

가. 시장규모 확대추세=5,24,2

나. 민자참여 투자개발사업의 광역화ㆍ보편화=7,26,1

다. 시공자금융 요청공사의 증대=7,26,2

라. 민간의 역할 증대 및 기타 수주여건 변화=8,27,2

2. 세계 투자개발사업 최근 동향 및 전망=10,29,1

가. 개황=10,29,7

나. 지역별 투자개발형 프로젝트 추진동향=17,36,16

다. 부문별 투자개발형 프로젝트 추진동향=32,51,16

3. 시사점=48,67,2

III. 우리기업의 투자개발사업 참여 현황=50,69,1

1. 투자개발사업 참여 현황=50,69,1

가. 총괄 수주실적=50,69,7

나. 투자개발사업 참여 현황=56,75,6

2. 분야별 사례 분석=62,81,1

가. 전력=62,81,32

나. 석유가스=93,112,22

다. 부동산 개발=114,133,17

3. 시사점 및 투자개발사업 진출확대 방안=131,150,4

IV. 선진기업의 투자개발사업 참여 현황=135,154,1

1. 주요 해외건설 투자펀드 소개=135,154,1

가. 개황=135,154,3

나. 주요 인프라펀드=138,157,12

2. 주요 민자 프로젝트 추진 현황=150,169,1

가. 민자 프로젝트 추진 사례=150,169,14

나. 민자 프로젝트의 수익률=163,182,3

3. 시사점=166,185,2

V. 국제금융 자금조달원별 제도 분석=168,187,1

1. 세계은행 그룹=168,187,1

가. IBRD 및 IDA=168,187,2

나. 국제금융공사(IFC)=170,189,3

다. 국제투자보증기구(MIGA)=173,192,3

2. 지역개발은행=176,195,1

가. 아시아개발은행(ADB)=176,195,5

나. 유럽부흥개발은행(EBRD)=180,199,6

다. 미주개발은행(IaDB)=185,204,5

라. 아프리카개발은행(AfDB)=189,208,4

3. 수출신용기관(Export Cerdit Agency, ECA)=193,212,4

가. 미국 수출입은행(The Export-Import Bank Of The United States : US EXIM)=196,215,2

나. 미국 해외민간투자공사(Overseas Private Investment Corporation : OPIC)=197,216,2

다. 일본 국제협력은행(Japan Bank For International Cooperation : JBIC)=198,217,3

라. 일본 무역보험(Nippon Export And Investment Insurance : NEXI)=200,219,3

마. 한국수출입은행(The Export-Import Bank Of Korea : KEXIM)=202,221,2

바. 한국수출보험공사(Korea Export Insurance Corporation : KEIC)=203,222,3

사. 기타 주요국 수출신용기관=205,224,3

4. 선진국 공적개발 원조기관=207,226,1

가. 세계의 공적개발 원조기관=207,226,2

나. 일본의 공적개발 원조기관=209,228,13

5. 국제 상업은행(International Commercial Bank)=222,241,1

6. 국제 자본시장(International Capital Market)=223,242,1

가. 국제 본드시장=223,242,7

나. 국제 주식시장=229,248,1

7. 국제 투자은행=230,249,1

8. 금융조달 구조 및 펀드 설립시 활용방안=231,250,1

가. 자기자본 조달(Equity Financing)=231,250,3

나. 후순위 부채(Subordinated Debt)=233,252,1

다. 타인자본 조달(Debt Financing)=233,252,3

라. 간접금융에 의한 자금조달=235,254,9

마. 직접금융에 의한 자금조달=244,263,4

VI. 결론=248,267,1

1. 해외건설 투자사업에 대한 금융지원 필요성=248,267,1

가. 국내 금융시장 동향=248,267,3

나. 해외건설 투자사업 금융지원의 필요성=250,269,5

2. 투자 펀드 유형=255,274,1

가. 사모투자전문회사(PEF, Private Equity Fund)=255,274,32

나. 역외펀드=286,305,3

다. 사회간접시설에 대한 민간투자법상의 인프라펀드=288,307,15

3. 해외건설 투자사업 지원을 위한 펀드설립 방안=303,322,1

가. 펀드 설립 방안=303,322,15

나. 당면과제 해결 및 지원사항=318,337,16

참고문헌=334,353,2

부록=336,355,1

부록 1. 설문조사서=337,356,8

부록 2. 설문결과=345,364,14

부록 3. 간접투자자산 운용업법=359,378,69

[판권지]=428,447,1

표차례

(표II-1) 세계 건설시장 규모 추이=5,24,1

(표II-2) 상위 225대 해외건설업체 매출액 추이=6,25,1

(표II-3) 해외건설 수주여건 변화=9,28,1

(표II-4) 개도국 인프라투자에 대한 민자참여 추이=10,29,1

(표II-5) 지역별 민자프로젝트 추진 현황('90~'04)=11,30,1

(표II-6) 부문별 민자프로젝트 추진 현황('90~'04)=12,31,1

(표II-7) 개도국 인프라투자에 대한 민자참여 추이=13,32,1

(표II-8) 동아시아ㆍ태평양 민자 인프라투자 현황=17,36,1

(표II-9) 동아시아ㆍ태평양 민자 인프라투자 유형=18,37,1

(표II-10) 동아시아ㆍ태평양지역 주요 민자프로젝트=19,38,1

(표II-11) 남아시아 민자 인프라투자 현황=20,39,1

(표II-12) 남아시아 민자 인프라투자 유형=21,40,1

(표II-13) 남아시아 지역 주요 민자프로젝트=21,40,1

(표II-14) 유럽ㆍ중앙아시아 민자 인프라투자 현황=22,41,1

(표II-15) 유럽ㆍ중앙아시아 민자 인프라투자 유형=23,42,1

(표II-16) 유럽ㆍ중앙아시아지역 주요 민자프로젝트=24,43,1

(표II-17) 중남미 민자 인프라투자 현황=25,44,1

(표II-18) 중남미 민자 인프라투자 유형=26,45,1

(표II-19) 중남미 지역 주요 민자프로젝트=27,46,1

(표II-20) 중동ㆍ북아프리카 민자 인프라투자 현황=28,47,1

(표II-21) 중동ㆍ북아프리카 민자 인프라투자 유형=29,48,1

(표II-22) 중동ㆍ북아프리카지역 주요 민자프로젝트=29,48,1

(표II-23) 사하라이남 아프리카 민자 인프라투자 현황=30,49,1

(표II-24) 사하라이남 아프리카 민자 인프라투자 유형=31,50,1

(표II-25) 사하라이남 아프리카지역 주요 민자프로젝트=32,51,1

(표II-26) 인프라 부문별 민자참여 추이=33,52,1

(표II-27) 개도국 통신부문에 대한 민간투자 추이=34,53,1

(표II-28) 개도국 에너지부문에 대한 민간투자 추이=38,57,1

(표II-29) 개도국 상하수부문에 대한 민간투자 추이=41,60,1

(표II-30) 개도국 교통부문에 대한 민간투자 추이=45,64,1

(표II-31) 주요 우선추진 PPP 프로젝트=46,65,1

(표III-1) 연대별 해외수주 분석=52,71,1

(표III-2) 지역별 수주추이=53,72,1

(표III-3) 공종별 수주추이=55,74,1

(표III-4) 연대별 투자개발사업 수주추이('05. 12월말 기준)=57,76,1

(표III-5) 연도별 투자개발사업 수주추이('90~'05)=58,77,1

(표III-6) 지역별 투자개발사업 수주추이('90~'05)=59,78,1

(표III-7) 공종별 투자개발사업 수주추이('90~'05)=59,78,1

(표III-8) Malampaya 가스전 관련 전력개발사업 내역=63,82,1

(표III-9) 사업주별 출자지분 및 담당업무 내역=67,86,1

(표III-10) 자금소요 및 조달내역=70,89,1

(표III-11) 타 프로젝트와의 비용비교=71,90,1

(표III-12) 전력요금의 구조=76,95,1

(표III-13) 전력요금내역=77,96,1

(표III-14) 각 사업주별 출자내역=78,97,1

(표III-15) 각 당사자별 전문가 고용내역=81,100,1

(표III-16) 개별 Credit Facilities의 주요조건=84,103,1

(표III-17) 각 사업주들의 신용등급=85,104,1

(표III-18) Pemex의 정유공장 증설 및 설비교체사업 내역=94,113,1

(표III-19) 입찰참여 컨소시엄 내역=95,114,1

(표III-20) 주요 자회사 현황=98,117,1

(표III-21) 지분 구성내역=99,118,1

(표III-22) 자금소요 및 조달계획=101,120,1

(표III-23) 컨소시엄 구성원의 업무범위(Work Scope)=102,121,1

(표III-24) 증설 및 개ㆍ보수 설비 내역=103,122,1

(표III-25) 각 Facility의 내역=105,124,1

(표III-26) ECA금융의 주요 지원조건=109,128,1

(표III-27) 멕시코의 국가신용 위험=111,130,1

(표III-28) Pemex 신용위험=111,130,2

(표III-29) 프로젝트 추진에 관한 위험 분석=112,131,2

(표III-30) 현지 부동산 평가기관의 검토의견=120,139,1

(표III-31) 미국의 건축인허가 종류=124,143,1

(표III-32) Santa Elena 프로젝트 사업수지 분석=128,147,1

(표IV-1) 주요 해외건설 투자펀드 현황=136,155,2

(표IV-2) 지역별 GDP 성장률 추이=141,160,1

(표IV-3) AIG 인프라 펀드 현황=148,167,1

(표IV-4) AIF의 투자 실적=149,168,1

(표IV-5) 프로젝트의 자금조달 구조=157,176,1

(표IV-6) 외국 민자유치사례의 전형적인 투자수익률=164,183,1

(표IV-7) 국내 주요 민간투자사업의 수익률=165,184,1

(표V-1) 세계은행의 인프라부문 지원 현황=169,188,1

(표V-2) IFC의 투자승인 현황=172,191,1

(표V-3) IFC의 지역별 프로젝트 파이낸싱 현황=172,191,1

(표V-4) MIGA의 기본 보증요율=174,193,1

(표V-5) MIGA의 보증 신청수수료=175,194,1

(표V-6) ADB의 차관 형태별 대출 조건=177,196,1

(표V-7) ADB의 대출승인 현황=180,199,1

(표V-8) AfDB의 대출승인 현황=192,211,1

(표V-9) 주요국의 수출신용기관=194,213,1

(표V-10) OECD 공적수출신웅 가이드라인에 관한 협약 주요 내용=195,214,2

(표V-11) 선진국 개발원조기관 현황=208,227,1

(표V-12) 주요 국제상업은행=222,241,1

(표V-13) 세계 3대 외국본드와 유로 본드의 특징=229,248,1

(표V-14) 투자가 활발한 주요 국제투자은행=230,249,1

(표VI-1) 국내 금융기관의 단기 수신 규모(잔액기준)=248,267,1

(표VI-2) 사모투자전문회사와 기타 투자기구간 비교=277,296,1

(표VI-3) PEF 등록현황(2005. 12 현재)=279,298,1

(표VI-4) 해외 주요 투자기관의 PEF 투자현황=283,302,1

(표VI-5) 투자자산별 수익대비 위험도=285,304,1

(표VI-6) 펀드 유형별 주요 내용 비교=310,329,1

(표VI-7) Project Fund와 Blind Fund 비교=313,332,1

(표VI-8) 한국수출보험공사의 해외공사보험=330,349,1

그림차례

(그림II-1) 개도국 인프라 민자참여 추이=11,30,1

(그림II-2) 부문별 개도국 인프라 민자참여 추세=15,34,1

(그림II-3) 지역별 개도국 인프라 민자참여 추이=16,35,1

(그림III-1) 프로젝트 구조도=66,85,1

(그림III-2) 주요 건설 일정=72,91,1

(그림III-3) 차입금의 조달구조=80,99,1

(그림III-4) 프로젝트 구조도=97,116,1

(그림III-5) 건설기간중 주요일정=107,126,1

(그림III-6/III-5) Santa Elena 프로젝트 차입거래 Scheme=122,141,1

(그림III-7/III-6) Escrow 판매절차=126,145,1

(그림IV-1) AIMAC 그룹 조직도=139,158,1

(그림IV-2) AIDEC 펀드의 분야별 운영 현황=143,162,1

(그림IV-3) AIDCE II의 조직=145,164,1

(그림IV-4) AIDEC II의 투자 절차=146,165,1

(그림V-1) 국민 1인당 ODA 부담액=209,228,1

(그림V-2) 일본의 국민생산액중 ODA 비중=210,229,1

(그림V-3) 일본의 ODA 지원체계=211,230,1

(그림V-4) JBIC Project Cycle과 차관 수속절차=215,234,1

(그림VI-1) 기업의 성장단계별 대응 PEF의 형태=257,276,1

(그림VI-2) 외국의 주요 PEF 투자자 및 총자산중 PEF 투자비율=257,276,1

(그림VI-3) PEF Market 참여자=259,278,1

(그림VI-4) PEF 구조도=264,283,1

(그림VI-5) 북미지역 투자현황=274,293,1

(그림VI-6) 유럽지역 투자현황=275,294,1

(그림VI-7) 아태지역 투자현황=276,295,1

(그림VI-8) 아태지역 PEF 투자비중=276,295,1

(그림VI-9) PEF와 MSCI 운용실적 비교=282,301,1

(그림VI-10) PE 자산 편입율 증가에 따른 투자효용곡선 이동=284,303,1

(그림VI-11) 역외 펀드 구조도=287,306,1

(그림VI-12) 인프라펀드 구조도=288,307,1

(그림VI-13) 해외건설 PEF 구조도=304,323,1

(그림VI-14) 역외펀드 구조도=307,326,1

(그림VI-15) 펀드설립 형태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312,331,1

(그림VI-16) 펀드모집 유형별 투자 절차=315,334,1

(그림VI-17) 주요 해외건설업체의 펀드설립에 대한 의견=327,346,1

(그림VI-18) 주요 해외건설업체의 펀드 활용계획=327,34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