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표제지]=0,1,1
제출문=i,2,2
목차=iii,4,3
제1장 서론=1,7,1
1.1. 연구의 배경=1,7,2
1.2. 조사 연구 목적 및 주요 내용=3,9,3
제2장 일반 현황=6,12,1
2.1. 유역 개요=6,12,1
2.1.1. 유역 개황=6,12,2
2.1.2. 소유역 구분=7,13,6
2.2. 수문 환경 특성=13,19,1
2.2.1. 지형 및 수계=13,19,7
2.2.2. 지표피복인자=20,26,6
2.3. 용수 이용 현황=25,31,1
2.3.1. 용수 이용 현황=25,31,2
2.3.2. 지하수 이용 현황=27,33,4
2.4. 기상 및 수문=31,37,1
2.4.1. 기상=31,37,1
2.4.2. 수문=32,38,2
2.5. 잠재오염원=33,39,3
제3장 지하수 수위 조사=36,42,1
3.1. 지하수 수위 조사 개요=36,42,2
3.2. 지하수 수위 일제 조사=37,43,1
3.2.1. 지하수 수위 관측망 설정=37,43,5
3.2.2. 낙동강권역 지하수위의 일반적 특성=41,47,8
3.2.3. 소유역별 지하수 수위 특성=48,54,16
3.2.4. 지하수 유동 특성=64,70,1
3.3. 국가 지하수 관측망 자료 분석=64,70,1
3.3.1. 수위 변동 특성=64,70,13
3.3.2. 암반 대수층의 유형=77,83,2
3.3.3. 지하수 함양량 분석=78,84,9
3.4. 해안지역 지하수의 조석 효과 분석=87,93,1
3.4.1. 이론적 배경=87,93,5
3.4.2. 조석효과 관측 및 해석=92,98,8
제4장 지하수 수질 조사=100,106,1
4.1. 지하수 수질 조사 개요=100,106,1
4.1.1. 조사 항목 및 분석 범위=100,106,2
4.1.2. 관측망 구성=102,108,2
4.2. 지하수 수질 특성=104,110,1
4.2.1. 현장 수질 조사 결과 분석=104,110,8
4.2.2. 주요 화학성분 분석=111,117,14
4.2.3. 지하수 수질 기준별 분석=124,130,15
4.2.4. 동위원소 분석=138,144,3
4.2.5. 수질 유형=140,146,19
제5장 충적층 특성 조사=159,165,1
5.1. 충적층 조사 개요=159,165,1
5.1.1. 충적층 조사 연구 목적 및 대상=159,165,2
5.1.2. 연구 내용=160,166,5
5.2. 충적층 기본 현황 조사=164,170,4
5.2.1. 낙동강 상류 충적층 특성=167,173,5
5.2.2. 낙동강 중류 충적층 특성=171,177,12
5.2.3. 낙동강 하류 충적층 특성=182,188,15
5.2.4. 동해안 및 남해안 유역 충적층 특성=196,202,3
5.3. 충적층 탄성파 탐사 조사=199,205,1
5.3.1. 탄성파 탐사 목적 및 대상 지역=199,205,1
5.3.2. 탐사 장비 및 조사 방법 개요=199,205,3
5.3.3. 자료해석 방법=201,207,8
5.3.4. 굴절파 탐사 해석 결과=208,214,9
5.3.5. 반사파 탐사 해석 결과=217,223,10
5.4. 충적층 지하수 수리지구화학 조사 대상 지역 선정=227,233,11
5.5. 충적층 수리지구화학 조사=238,244,1
5.5.1. 충적층 지하수 일반 및 수리지구화학 조사 목적=238,244,2
5.5.2. 시료 채취 및 분석 방법=239,245,3
5.5.3. 낙동강 중하류 월하 지구=241,247,32
5.5.4. 낙동강 하류 대산 지구=272,278,23
5.5.5. 낙동강 하류 용당 지구=294,300,26
5.5.6. 동해안 영덕 지구=319,325,16
제6장 광역 수문 지질=335,341,1
6.1. 광역 지질=335,341,1
6.1.1. 광역 지질개요=335,341,4
6.1.2. 지질각론=338,344,19
6.1.3. 지질구조=356,362,4
6.2. 수문지질단위=360,366,2
6.3. 리니아먼트=362,368,1
6.3.1. 리니아먼트 추출=362,368,1
6.3.2. 리니아먼트 분석=362,368,9
제7장 광역 지하수자원 평가=371,377,1
7.1. 지하수 개발 가능량=371,377,2
7.1.1. 지하수 개발 가능량 산정법=372,378,2
7.1.2. 지하수 개발 가능량 산정=373,379,4
7.1.3. 기타 지하수 개발 가능량 변화 요소=377,383,1
7.2. 지하수 개발 유망 지점 선정=377,383,2
7.2.1. 암반 지하수 개발 유망 지점=378,384,2
7.2.2. 충적층 지하수 개발 유망 지점=379,385,2
제8장 결론 및 토의=381,387,7
참고문헌=388,394,5
서지자료=393,399,2
[판권지]=395,401,1
jpg
그림2.1. 낙동강권역 소유역 구분 및 수계도=9,15,1
그림2.2. 낙동강권역 지형 경사분포도=15,21,1
그림3.4. 지하수 심도별 관측공 분포 현황=43,49,1
그림3.8. 소유역별 지하수 평균 심도 분포도=57,63,1
그림3.9. 소유역별 지하수 심도의 표준 편차 분포도=57,63,1
그림3.10. 낙동강권역 지하수 평균 심도 분포도=59,65,1
그림4.4. 낙동강권역 전기전도도 공간 분포도=110,116,1
그림4.5. 낙동강권역 총고용체 함량 공간 분포도=113,119,1
그림4.31(b) 낙동강권역 수질 현황도(2000년)=157,163,1
그림5.1. 낙동강권역 충적층, 토양 및 시범조사지역 현황도=161,167,1
그림6.1. 낙동강권역의 광역 지질도(1:250,000 지질도 참조)=336,342,1
그림6.2. 낙동강권역 수문지질현황도=363,369,1
그림6.3. 낙동강권역 수문지질단위 및 지형기복도=365,371,1
그림6.4. 낙동강권역의 선구조 및 밀도분포도=367,373,1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