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표제지]=0,1,1
목차=i,2,2
표목차=iii,4,3
그림목차=vi,7,2
I. 개요=1,9,1
1.1. 조사배경 및 목적=1,9,1
1.2. 체계도=2,10,1
1.3. 세부내용=3,11,1
1.3.1. 조사공정 및 사업량=3,11,1
1.4. 조사참여자=4,12,1
II. 자연 및 인문환경=5,13,1
2.1. 자연환경=5,13,1
2.1.1. 지형 및 유역현황=5,13,2
2.1.2. 기상 및 수문=7,15,3
2.1.3. 토양 및 지질=10,18,5
2.2. 인문환경=15,23,1
2.2.1. 행정구역=15,23,2
2.2.2. 인구=17,25,3
2.2.3. 산업 및 경제=20,28,3
2.2.4. 토지이용=23,31,1
III. 지하수환경=24,32,1
3.1. 현황=24,32,1
3.1.1. 지하수현황=24,32,17
3.1.2. 잠재오염원 현황=41,49,8
3.2. 지하수 산출특성=49,57,1
3.2.1. 지하수 수리특성=49,57,11
3.2.2. 지하수 수질특성[원문불량;p.74]=60,68,20
IV. 지하수 특성분석=80,88,1
4.1. 수량 및 대수층 분석=80,88,1
4.1.1. 이용량 분석=80,88,11
4.1.2. 개발가능량 분석=91,99,14
4.1.3. 지하수개발 유망지역=105,113,1
4.2. 수질분석=106,114,1
4.2.1. 유역별 수질현황 분석=106,114,5
4.2.2. 오염취약성=111,119,13
V. 지하수관리 대책=124,132,1
5.1. 관리현황 및 개선대책=124,132,1
5.1.1. 현황 및 문제점=124,132,5
5.1.2. 개선대책=129,137,5
5.2. 계획수립=134,142,1
5.2.1. 지하수관리방안=134,142,3
5.2.2. 보전ㆍ관리계획=137,145,1
5.2.3. 추진계획=138,146,4
5.3. 종합 결언=142,150,6
참고문헌=148,156,5
부록 : 농촌지하수관리조사보고서 아송지구=153,161,4
목차=157,165,2
(부록-01) 행정현황=159,167,6
(부록-02) 축사현황 및 가축에 의한 오염부하량=165,173,10
(부록-03) 토지이용현황 및 토지이용에 따른 오염부하량=175,183,12
(부록-04) 인구현황 및 인구에 의한 오염부하량=187,195,6
(부록-05) 오수발생시설 현황=193,201,8
(부록-06) 폐수배출시설 현황=201,209,6
(부록-07) 유류저장시설 현황=207,215,4
(부록-08) 매립장 현황=211,219,4
(부록-09) 시추공 및 관정 주상도 내역=215,223,4
(부록-10) 현장조사관정 내역=219,227,20
(부록-11) 순간수위변화시험 결과=239,247,22
(부록-12) 양수시험 결과=261,269,22
(부록-13) 양음이온 분석결과=283,291,6
(부록-14) 유역별 Piper Diagram=289,297,6
(부록-15) 유역별 Stiff Diagram=295,303,6
(부록-16) 농경지 토양오염분석 결과=301,309,4
(부록-17) 물리탐사 결과=305,313,21
(그림2-1-1) 아송지구 하천 및 소유역 현황도=9,17,1
(그림2-1-2) 아송지구 수문학적 토양군 분류=13,21,1
(그림2-1-3) 아송지구 지질도=14,22,1
(그림2-2-1) 아산시 인구추이=19,27,1
(그림3-1-1) 아송지구 현장조사관정 위치도=25,33,1
(그림3-1-2) 조사관정의 개소수 비율=26,34,1
(그림3-1-3) 읍면별/용도별 조사관정현황=28,36,1
(그림3-1-4) 유역별/용도별 조사관정현황=28,36,1
(그림3-1-5) 구경별 조사관정현황=29,37,1
(그림3-1-6) 심도별 조사관정현황=31,39,1
(그림3-1-7) 표고별 조사관정현황=33,41,1
(그림3-1-8) 용도별 관정개발비율=35,43,1
(그림3-1-9) 용도별 지하수이용 현황=35,43,1
(그림3-1-10) 읍면별/용도별 지하수이용현황=36,44,1
(그림3-1-11) 유역별/용도별 지하수이용현황=36,44,1
(그림3-1-12) 읍면별 단위면적당 지하수이용현황=38,46,1
(그림3-1-13) 유역별 단위면적당 지하수이용현황=39,47,1
(그림3-1-14) 점오염원 위치도=42,50,1
(그림3-1-15) 아송지구 읍면별 오염부하량=44,52,1
(그림3-1-16) 잠재오염원별 오염부하량=46,54,1
(그림3-1-17) 읍면별 단위면적당 오염부하량=47,55,1
(그림3-1-18) 잠재오염원별 단위면적당 오염부하량=48,56,1
(그림3-2-1) 갈수기와 풍수기 충적 및 암반지하수 수두변화=50,58,1
(그림3-2-2) 갈수기 지하수두등고선도 및 유동방향도=51,59,1
(그림3-2-3) 풍수기 지하수두등고선도 및 유동방향도=52,60,1
(그림3-2-4) 갈수기 지하수두등고선도 및 유동방향도(3차원)=53,61,1
(그림3-2-5) 풍수기 지하수두등고선도 및 유동방향도(3차원)=53,61,1
(그림3-2-6) 유역별 암반지하수 개발심도 및 개발량=58,66,1
(그림3-2-7) 지질별 암반지하수 개발심도 및 개발량=58,66,1
(그림3-2-8) 유역별 암반지하수 투수량계수 및 수리전도도=58,66,1
(그림3-2-9) 지질별 암반지하수 투수량계수 및 수리전도도=59,67,1
(그림3-2-10) 현장수질측정관정 위치도=62,70,1
(그림3-2-11) 지하수내 용존이온별 함량=65,73,1
(그림3-2-12) 유역별 용존이온별 함량비교=66,74,1
(그림3-2-13) 전기전도도와 총고용물질과의 상관관계=67,75,1
(그림3-2-14) 총고용물질(TDS) 농도 분포도=68,76,1
(그림3-2-15) 전기전도도와 염소이온농도와의 관계=69,77,1
(그림3-2-16) 아송지구 지하수의 Piper Diagram=71,79,1
(그림3-2-17) 조사지구내 지하수의 Stiff Diagram=73,81,1
(그림3-2-18) 유역별 지하수의 Stiff Diagram[원문불량;p74]=74,82,2
(그림3-2-19) 조사지역내 토양시료 채취(채위) 위치도=77,85,1
(그림3-2-20) 농경지토양오염조사 현황=79,87,1
(그림4-1-1) 천안기상대 인근지역의 함양율과 CN값과의 관계=98,106,1
(그림4-1-2) 소유역별 지하수함양량 비교도=102,110,1
(그림4-1-3) 유역별 지하수이용량 및 개발가능량=103,111,1
(그림4-1-4) 유역별 지하수이용량/적정개발가능량=104,112,1
(그림4-2-1) 일반 오염취약성도(GDP)=115,123,1
(그림4-2-2) 일반 DRASTIC Potential 면적비=115,123,1
(그림4-2-3) 구조선 밀도도 산정 모식도=116,124,1
(그림4-2-4) 구조선 밀도도=117,125,1
(그림4-2-5) 변형 지하수오염취약성도(MDP)=118,126,1
(그림4-2-6) 변형 DRASTIC Potential 면적비=118,126,1
(그림4-2-7) 지하수오염예측도 작성 모식도=120,128,1
(그림4-2-8) 오염예측도(MDP+오염부하량)=122,130,1
(그림4-2-9) 소유역별 오염예측(MDP+오염부하량) 분류 히스토그램=123,131,1
(그림5-2-1) 지역지하수관리계획의 수립절차=138,146,1
jpg
(그림2-1-2) 아송지구 수문학적 토양군 분류=13,21,1
(그림2-1-3) 아송지구 지질도=14,22,1
(그림3-1-1) 아송지구 현장조사관정 위치도=25,33,1
(그림3-1-3) 읍면별/용도별 조사관정현황=28,36,1
(그림3-1-4) 유역별/용도별 조사관정현황=28,36,1
(그림3-1-10) 읍면별/용도별 지하수이용현황=36,44,1
(그림3-1-11) 유역별/용도별 지하수이용현황=36,44,1
(그림3-1-15) 아송지구 읍면별 오염부하량=44,52,1
(그림3-1-16) 잠재오염원별 오염부하량=46,54,1
(그림3-1-17) 읍면별 단위면적당 오염부하량=47,55,1
(그림3-1-18) 잠재오염원별 단위면적당 오염부하량=48,56,1
(그림3-2-2) 갈수기 지하수두등고선도 및 유동방향도=51,59,1
(그림3-2-3) 풍수기 지하수두등고선도 및 유동방향도=52,60,1
(그림3-2-4) 갈수기 지하수두등고선도 및 유동방향도(3차원)=53,61,1
(그림3-2-5) 풍수기 지하수두등고선도 및 유동방향도(3차원)=53,61,1
(그림4-2-1) 일반 오염취약성도(GDP)=115,123,1
(그림4-2-2) 일반 DRASTIC Potential 면적비=115,123,1
(그림4-2-4) 구조선 밀도도=117,125,1
(그림4-2-5) 변형 지하수오염취약성도(MDP)=118,126,1
(그림4-2-6) 변형 DRASTIC Potential 면적비=118,126,1
(그림4-2-8) 오염예측도(MDP+오염부하량)=122,130,1
(그림4-2-9) 소유역별 오염예측(MDP+오염부하량) 분류 히스토그램=123,131,1
(부록-17) 물리탐사 결과=309,317,17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