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표제지]=0,1,2

제출문=0,3,1

목차=i,4,3

제1장 사업의 개요=1,7,2

1.1. 사업의 배경 및 목적=3,9,4

1.2. 환경영향평가 실시근거=7,13,1

1.3. 사업의 추진경위=7,13,2

1.4. 사업의 내용=8,14,5

제2장 환경영향평가 대상지역의 설정=13,19,2

2.1. 행정구역상 평가대상지역=15,21,1

2.2. 환경항목별 평가대상지역=15,21,2

2.3. 환경영향 예측ㆍ분석기법 및 내용=16,22,5

제3장 지역개황=21,27,2

3.1. 사업지구 및 주변지역의 토지이용 현황=23,29,3

3.2. 환경관련 지구ㆍ지역 지정현황=25,31,1

3.3. 멸종위기 야생 동ㆍ식물, 보호 야생 동ㆍ식물 서식 및 철새 도래 현황=25,31,1

3.4. 환경피해유발시설물=26,32,2

3.5. 주요 보호대상 시설물=27,33,2

3.6. 환경기초시설=28,34,5

제4장 평가항목의 설정=33,39,2

4.1. 환경영향요소 추출=35,41,2

4.2. 중점평가항목의 설정=36,42,4

4.3. 환경영향요소와 평가항목간 행렬식 대조표=40,46,3

제5장 환경현황조사, 예측ㆍ분석, 저감방안=43,49,2

5.1. 자연환경=45,51,2

5.1.1. 기상=47,53,21

5.1.2. 지형ㆍ지질=68,74,35

5.1.3. 동ㆍ식물상=103,109,89

5.1.4. 수리ㆍ수문=192,198,19

5.2. 생활환경=211,217,2

5.2.1. 토지이용=213,219,7

5.2.2. 대기질=220,226,21

5.3.3. 수질=241,247,77

5.2.4. 토양=318,324,7

5.2.5. 폐기물=325,331,9

5.2.6. 소음ㆍ진동=334,340,19

5.2.7. 위락ㆍ경관=353,359,14

5.3. 사회ㆍ경제환경=367,373,2

5.3.1. 인구 및 주거=369,375,6

5.3.2. 산업=375,381,4

5.3.3. 공공시설=379,385,1

5.3.4. 교육=380,386,2

5.3.5. 교통=382,388,5

5.3.6. 문화재=387,393,4

제6장 불가피한 환경영향=391,397,4

제7장 주민의 생활환경, 재산상의 환경오염피해 및 대책=395,401,4

제8장 대안설정 및 평가=399,405,14

제9장 종합평가 및 결론=413,419,8

제10장 부록=421,427,2

10.1. 평가대행자등의 인적사항=423,429,3

10.2. 평가서 초안 작성 관련자료=426,432,2

10.3. 용어해설=427,433,7

10.4. 기타=434,440,160

칼라목차

jpg

(그림 1.4-2) 사업지구 위치도=11,17,1

(그림 2-1) 평가대상지역 설정도=19,25,1

(그림 3-1) 지역개항도=31,37,1

(그림 5.1.2-2) 댐 주변 광역지질도=71,77,1

(그림 5.1.3-1) 동ㆍ식물상 조사지역 위치도=107,113,1

(그림 5.1.3-2) 현존식생도=121,127,1

(그림 5.1.3-3) 녹지자연도=125,131,1

(그림 5.1.4-1) 한탄강유역 하천현황=193,199,1

(그림 5.2.3-6) 모델구획도 I (Top View And End View)=289,295,1

(그림 5.2.3-7) 모델구획도 II (Side View)=291,297,1

(그림 5.2.7-2) 댐건설 전 경관도(조망점 1)=357,363,1

(그림 5.2.7-3) 댐건설 후 경관도(조망점 1)=357,363,1

(그림 5.2.7-4) 댐건설 전 경관도(조망점 2)=359,365,1

(그림 5.2.7-5) 댐건설 후 경관도(조망점 2)=359,365,1

(그림 5.2.7-6) 댐건설 전 경관도(조망점 3)=361,367,1

(그림 5.2.7-7) 댐건설 후 경관도(조망점 3)=361,367,1

(그림 8-1) 대안별 건설지점 위치도=405,411,1

(부록 그림 5.2.3-1) 월간 수질 변화 1=563,569,1

(부록 그림 5.2.3-2) 월간 수질 변화 2=565,571,1

(부록 그림 5.2.3-3) 월간 수질 변화 3=567,573,1

(부록 그림 5.2.3-4) 월간 수질 변화 4=569,575,1

(부록 그림 5.2.3-5) 월간 수질 변화 5=571,577,1

(부록 그림 5.2.3-6) 월간 수질 변화 6=573,579,1

(부록 그림 5.2.3-7) 지점별 주요수질항목의 일주변화 1=575,581,1

(부록 그림 5.2.3-8) 지점별 주요수질항목의 일주변화 2=577,583,1

(부록 그림 5.2.3-9) 온도변화 예측=579,585,1

(부록 그림 5.2.3-10) DO농도 변화 예측=579,585,1

(부록 그림 5.2.3-11) SS농도 변화 예측=581,587,1

(부록 그림 5.2.3-12) BOD농도 변화 예측=581,587,1

(부록 그림 5.2.3-13) 조류생체량 농도 변화 예측=583,589,1

(부록 그림 5.2.3-14) 인 농도 변화 예측=583,589,1

(부록 그림 5.2.3-15) T-N 농도 변화 예측=585,5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