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표제지]=0,1,1

제출문=1,2,1

요약문=2,3,5

Summary=7,8,4

Contents=11,12,2

목차=13,14,2

제1장 서론=15,16,1

제1절 연구개발의 필요성=15,16,4

제2절 연구개발의 목적, 범위 및 평가 착안점=19,20,2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21,22,1

제1절 국외 기술개발 현황=21,22,4

제2절 국내 기술개발 현황=25,26,2

제3절 연구결과가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에서 차지하는 위치=26,27,2

제3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28,29,1

제1절 연구수행 내용 및 방법=28,29,1

1. 조사지점=28,29,2

2. 분석항목 및 조사항목=29,30,1

가. 미소 생태계(Sediments 위 및 내부)의 환경요인 조사=29,30,2

나. 미소 생태계(Sediments 위 및 내부)의 군집구조 분석=30,31,3

다. 분자 생물 기법을 이용한 질소 순환미생물 군집 구조 분석=32,33,2

라. 군집내 오염물질(질소 화합물 등) 분해 가능성 검증=33,34,1

마. 생태정보학을 통한 수질 지표개발=33,34,6

제2절 연구수행 결과=39,40,1

1. 수질분석=39,40,1

가. 물리적 환경요인=39,40,3

나. 화학적 환경요인=42,43,10

2. 군집구조 분석=52,53,1

가. 저서성 대형 무척추동물 군집구조=52,53,6

나. 부착조류=58,59,2

다. PCR-DGGE 방법을 이용한 미생물 군집 분석=59,60,9

라. 분자생물 기법을 이용한 질소 순환 미생물 군집 구조 분석=68,69,4

3. 통합수질지표모델개발=72,73,1

가. Self-Organizing Mapping(SOM)을 이용한 군집 유형화=72,73,11

나. 통합수질 지표 개발=83,84,16

제4장 연구개발 목표 달성도 및 대외기여도=99,100,1

제1절 적절한 오ㆍ폐수 생물군집의 설정=99,100,1

제2절 분자생물학적 기법에 의한 미생물 군집구조 분석=99,100,2

제3절 질소순환 미생물 군집 구조 분석=100,101,1

제4절 통합수질 지표 개발 및 제시=101,102,1

제5절 심포지움 결과의 반영=101,102,2

제5장 연구결과의 활용계획=103,104,1

제1절 추가 연구 필요성=103,104,1

제2절 타 연구에의 응용=104,105,1

제3절 기업화 추진 방안=105,106,1

제6장 참고문헌=106,107,4

부록 : SOM 분석에 이용된 Data=110,111,23

영문목차

[title page etc.]=0,1,7

Summary=7,8,4

Contents=11,12,4

Chapter1. Introduction=15,16,1

Section1. Necessity For Research And Development=15,16,4

Section2. Purpose And Scope Of Research And Development, And Criteria For Assessment Of The Research=19,20,2

Chapter2. Development Status Of The Relevant Domestic And Overseas Technologies=21,22,1

Section1. Overseas Technology Status=21,22,4

Section2. Domestic Technology Status=25,26,2

Section3. Prospective Effects Of This Study On Other Areas=26,27,2

Chapter3. Research Scopes And Results=28,29,1

Section1. Research Scopes And Methods=28,29,1

1. Sampling Sites=28,29,2

2. Analytical Parameters And Examination Items=29,30,10

Section2. Results And Discussion=39,40,1

1. Physicochemical Analysis Of Water Sample=39,40,13

2. Biological Community Analysis=52,53,1

A. Macroinvertebrate Community Structure=52,53,6

B. Algae Community Structure=58,59,2

C. Microbial Community Analysis Using PCR-DGGE And 16S rDNA Sequencing=59,60,9

D. Analysis Of Denitrifying Microbial Community Structure=68,69,4

Section3. Development Of Integrative Water Quality Index=72,73,1

A. Community Patterning By Self-Organizing Mapping(SOM)=72,73,11

B. Development Of Integrative Water Quality Index=83,84,16

Chapter4. Purposes Of The Research And Contribution To Other Relevant Researches=99,100,1

Section1. Selection Of The Sampling Sites=99,100,1

Section2. Microbial Community Analysis Using Molecular Biological Techniques=99,100,2

Section3. Analysis Of Denitrifying Microbial Community=100,101,1

Section4. Development Of Integrative Water Quality Index=101,102,1

Section5. Discussion And Suggestions From Evaluation Seminar=101,102,2

Chapter5. Application Plans For The Research=103,104,1

Section1. Necessity For Additional Research=103,104,1

Section2. Application To Other Researches=104,105,1

Section3. Commercialization Prospective For This Study=105,106,1

Chapter6. Reference=106,107,4

Appendix=110,111,23

칼라목차

jpg

그림2-1. 유전자 발현유형을 분석하기위한 DNA Microarray의 제작과 이용(http://www.microarrays.org)=22,23,1

그림2-2. PCR-DGGE를 이용한 미생물 군집분석과정=24,25,1

그림3-1. 본 연구에 적용된 조사지점=29,30,1

그림3-4. 조사지점별 수온(2003년 3월, 6월, 12월, 2004년 2월, 5월, 9월, 12월)=40,41,1

그림3-5. 조사지점별 유속(2003년 3월, 6월, 12월, 2월, 2004년 5월, 9월, 12월)=40,41,1

그림3-6. 조사지점별 수심(2003년 3월, 6월, 12월, 2004년 2월, 5월, 9월, 12월)=41,42,1

그림3-7. 조사지점별 전기전도도(2003년 3월, 6월, 12월, 2004년 2월, 5월, 9월, 12월)=42,43,1

그림3-8. 조사지점별 탁도(2003년 3월, 6월, 12월, 2004년 2월, 5월, 12월)=44,45,1

그림3-9. 조사지점별 BOD(2003년 3월, 6월, 12월, 2004년 2월, 9월, 12월)=44,45,1

그림3-10. 조사지점별 COD(2003년 3월, 12월, 2004년 2월, 5월, 9월, 12월)=45,46,1

그림3-11. 조사지점별 TOC(2003년 3월, 6월, 12월, 2004년 2월, 5월, 9월, 12월)(제목없음)=46,47,1

그림3-12. 2003년 3월, 12월, 2004년 2월, 5월, 9월, 12월 각 조사지점의 총인=47,48,1

그림3-13. 2003년 3월, 12월, 2004년 2월, 5월, 9월, 11월 각 조사지점의 TKN=48,49,1

그림3-14. 2003년 3월, 12월, 2004년 2월, 5월, 9월, 11월 각 조사지점의 NO₃-N=49,50,1

그림3-15. 2003년 3월, 12월, 2004년 2월, 5월, 9월, 11월 각 조사지점의 TN=50,51,1

그림3-16. 2003년 12월, 2004년 2월, 5월, 9월, 11월 각 조사지점의 NH₄-N=51,52,1

그림3-17. 오염원의 종류에 따른 전체 조사지점에서 출현한 저서생물 군집의 상대풍부도=53,54,1

그림3-18. 2003년 3월 각 조사지점에서 출현한 저서생물 군집의 상대풍부도=53,54,1

그림3-19. 2003년 6월 각 조사지점에서 출현한 저서생물 군집의 상대풍부도=54,55,1

그림3-20. 2003년 12월 각 조사지점에서 출현한 저서생물 군집의 상대풍부도=54,55,1

그림3-21. 2004년 2월 각 조사지점에서 출현한 저서생물 군집의 상대풍부도=55,56,1

그림3-22. 2004년 6월 각 조사지점에서 출현한 저서생물 군집의 상대풍부도=55,56,1

그림3-23. 2004년 9월 각 조사지점에서 출현한 저서생물 군집의 상대풍부도=56,57,1

그림3-24. 2004년 12월 각 조사지점에서 출현한 저서생물 군집의 상대풍부도=56,57,1

그림3-25. 오염종류에 따른 각 조사지점에서 출현한 부착조류의 상대풍부도=58,59,1

그림3-26. 오염종류에 따른 각 부착조류 분규군의 출현 종수=59,60,1

그림3-27. 여러 비오염 및 오염지역 시료에서의 DGGE Profiles(2003년 봄(3월))=61,62,1

그림3-28. 여러 비오염 및 오염지역 시료에서의 DGGE Profiles(2003년 여름(6월))=61,62,1

그림3-29. 여러 비오염 및 오염지역 시료에서의 DGGE Profiles(2003년 겨을(12월))=62,63,1

그림3-30. 여러 비오염 및 오염지역 시료에서의 DGGE Profiles(2004년 봄(2월))=63,64,1

그림3-31. 여러 비오염 및 오염지역 시료에서의 DGGE Profiles(2004년 여름(5월))=63,64,1

그림3-32. 여러 비오염 및 오염지역 시료에서의 DGGE Profiles(2004년 가을(9월))=64,65,1

그림3-33. 여러 비오염 및 오염지역 시료에서의 DGGE Profiles(2004년 겨울(12월))=65,66,1

그림3-34. 여러 비오염 및 오염지역 시료에서의 질소순환 미생물(2003년 3월(A), 6월(B))=68,69,1

그림3-35. 여러 비오염 및 오염지역 시료에서의 질소순환 미생물 증폭(2003년 12월(A), 2004년 12월(B), 5월(C) 시료)=69,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