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표제지 등]=0,1,4

머리말=0,5,1

연구요약=i,6,2

차례=iii,8,3

표차례=vi,11,2

I. 서론=1,13,1

1. 연구 목적 및 필요성=1,13,2

2. 연구 내용=2,14,1

가. 교육용 콘텐츠 개발을 위한 기초 논의=2,14,1

나. 교육용 콘텐츠에 대한 의견 수렴=3,15,1

다. 교육용 콘텐츠의 현황과 문제점 진단=3,15,1

라. 교육용 콘텐츠 중장기 계획 수립=3,15,1

3. 연구 방법=4,16,1

가. 관련 문헌, 자료, 웹사이트 분석=4,16,1

나. 설문 조사 및 분석=4,16,1

다. 수업 관찰 및 교사 면담=4,16,1

라. 전문가 협의회 및 집중작업=4,16,1

II. 교육용 콘텐츠 중장기 개발 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 논의=5,17,1

1. 21세기 미래 사회와 학교 교육의 기대와 전망=5,17,3

2. 학교 교육의 질 개선과 교육용 콘텐츠=8,20,1

가. 학교 교육의 질 개선=8,20,3

나. 교육용 콘텐츠 개념 정의=11,23,1

다. 현행 교육용 콘텐츠의 문제점과 한계=12,24,2

라. 학교 교육 질 개선을 위한 교육용 콘텐츠 유형과 개발 방향=13,25,4

III. 설문 조사 결과=17,29,1

1. 교육용 콘텐츠 개발 계획 수립 요구 조사 결과(객관식)=17,29,1

가. 2002년 조사 결과=17,29,3

나. 2005년 조사 결과=19,31,6

2. 교육용 콘텐츠 개발 계획 수립 요구 조사 결과(주관식)=25,37,1

가. 초등학교=25,37,6

나. 중등학교=30,42,3

1) 중등 국어 자료=32,44,4

2) 중등 도덕 자료=35,47,3

3) 중등 사회 자료=37,49,3

4) 중등 수학 자료=39,51,3

5) 중등 과학 자료=41,53,2

6) 기술ㆍ가정 자료=43,55,2

7) 중등 체육 자료=44,56,2

8) 중등 음악 자료=45,57,3

9) 중등 미술 자료=47,59,2

10) 중등 영어 자료=48,60,3

IV. 교육용 콘텐츠 중장기 개발 계획 수립=51,63,1

1. 교육용 콘텐츠 중장기 개발 계획의 기본 방향=51,63,2

가. 학교급 공통의 교육용 콘텐츠 개발 방향=52,64,4

나. 초등학교의 교육용 콘텐츠 개발 방향=55,67,2

다. 중등학교의 교육용 콘텐츠 개발 방향=56,68,2

라. 기타 논의 사항=57,69,2

2. 교과별 교육용 콘텐츠 중장기 개발 계획=58,70,1

가. 국어과=58,70,14

나. 도덕과=71,83,11

다. 사회과=82,94,12

라. 수학과=94,106,18

마. 과학과=111,123,15

바. 체육과=125,137,13

사. 음악과=137,149,12

아. 미술과=148,160,15

자. 영어과=162,174,15

3. 교과 외 교육용 콘텐츠 중장기 개발 계획=177,189,1

가. 특별활동/재량활동 교육용 콘텐츠 중장기 개발 계획=177,189,15

나. 교육평가 콘텐츠 중장기 발전 방안=191,203,14

V. 요약 및 제언=205,217,1

1. 요약=205,217,6

2. 제언 : 우수 교육용 콘텐츠 확보를 위한 노력과 제도 개선=210,222,2

참고문헌=212,224,2

[판권지]=214,226,1

표차례

(표III-1) 배경 변인에 따른 설문 응답자 수=20,32,1

(표III-2) 온라인 수업관찰/분석 프로그램에서 구현되어야 할 메뉴(복수응답가능)=21,33,2

(표III-3) 수준별 수업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제도, 지원, 여건(복수응답가능)=22,34,2

(표III-4) 수업에 필요한 교수ㆍ학습 자료 확보 방법(복수응답가능)=24,36,1

(표III-5) 초등학교의 영역별 자료 요구 유형=26,38,1

(표III-6) 중등학교의 영역별 자료 요구 유형=31,43,2

(표IV-1) 교사 지원 프로그램 개발 관련 국어과 설문 조사 의견=63,75,1

(표IV-2) 국어과와 관련하여 학교 현장에 개발ㆍ보급해야 할 자료 제안=67,79,1

(표IV-3) 국어과 교육용 콘텐츠 중장기 개발 계획(안)=70,82,1

(표IV-4) 도덕과 교사가 수업시 가장 많이 고려하는 사항 (복수응답)=75,87,1

(표IV-5) 교사가 수업하기 어려워하는 주제 및 그에 따른 교육용 콘텐츠 개발 방향=76,88,1

(표IV-6) 교사가 요망하는 현장 보급 자료 및 그에 따른 교육용 콘텐츠 개발 방향=77,89,1

(표IV-7) 도덕과 교사의 전문성 발달을 위한 교사용 콘텐츠 개발 방향=79,91,1

(표IV-8) 도덕과 교육용 콘텐츠 중장기 개발 계획(안)=81,93,1

(표IV-9) 학교 현장에 개발ㆍ보급해야 할 자료=91,103,1

(표IV-10) 사회과 교육용 콘텐츠 중장기 개발 계획(안)=93,105,1

(표IV-11) 교사가 가르치기 어려워하는 수학 주제=100,112,1

(표IV-12)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에서 학생이 학습하기 어려워하는 수학 주제=101,113,2

(표IV-13) 선택과목에서 학생들이 학습하기 어려워하는 수학 주제=102,114,1

(표IV-14) 교사들이 소개한 PCK의 범주=104,116,1

(표IV-15) 현장 교사들이 요청한 수학과 교수 자료=108,120,1

(표IV-16) 현장 교사들이 요청한 교사 전문성 자료=108,120,1

(표IV-17) 수학과 교육용 콘텐츠 중장기 개발 계획(안)=110,122,1

(표IV-18) 교사와 학생이 어려워하는 과학과 교수ㆍ학습 주제=114,126,2

(표IV-19) 과학과 현장 PCK 사례(예시)=117,129,1

(표IV-20) 학교 현장에 개발ㆍ보급해야 할 자료 제안=121,133,1

(표IV-21) 과학과 교육용 콘텐츠 중장기 개발 계획(안)=123,135,1

(표IV-22) KICE 설문 조사와 체육과 교육용 콘텐츠 개발 방향=131,143,1

(표IV-23) KICE 설문 조사와 체육 교사교육용 콘텐츠 개발 방향=133,145,1

(표IV-24) 체육과 교육용 콘텐츠 중ㆍ장기 개발 계획(안)=137,149,1

(표IV-25) 온라인 수업 관찰ㆍ분석 프로그램 개발 관련 음악과 설문 조사 의견=140,152,2

(표IV-26) 초등 음악 수업에서 교사가 가르치기 어려운 내용과 그 이유=142,154,1

(표IV-27) 중등 음악 수업에서 교사가 가르치기 어려운 내용과 그 이유=142,154,1

(표IV-28) 초등 음악 수업에서 학생들이 어려워하는 내용과 그 이유=143,155,1

(표IV-29) 중등 음악 수업에서 학생들이 어려워하는 내용과 그 이유=143,155,1

(표IV-30) 학교 현장에 개발ㆍ보급해야 할 자료 제안=144,156,1

(표IV-31) 음악과 교육용 콘텐츠 중장기 개발 계획(안)=148,160,1

(표IV-32) 미술 교사가 가르치기 어려운 주제와 이유=149,161,1

(표IV-33) 학교 현장에 개발ㆍ보급해야 할 자료 제안=151,163,1

(표IV-34) 미술 교사들의 효과적인 지도 방법 소개=152,164,2

(표IV-35) 미술과 교육용 콘텐츠 중ㆍ장기 개발 계획(안)=162,174,1

(표IV-36) 교사와 학생이 어려워하는 내용/주제=166,178,1

(표IV-37) 교사들이 배우고 싶은 주제 및 지도 방법=168,180,1

(표IV-38) 교사 자신의 수업에서 고치고 싶은 것=169,181,1

(표IV-39) 향후 개발되어야 할 영어과 교육용 콘텐츠=171,183,1

(표IV-40) 영어과 교육용 콘텐츠 중장기 개발 계획(안)=174,186,1

(표IV-41) 전국 교수ㆍ학습 콘텐츠 인터넷 서비스 현황 보고=178,190,1

(표IV-42) 수학교과 복소수 영역의 성취기준 및 구체적 학습활동=194,206,1

(표IV-43) 복소수 평가기준에서의 상ㆍ중, 중ㆍ하 수준의 의미=194,206,1

(표V-1) 교육용 콘텐츠 중장기 계획(안)=206,21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