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표제지]=0,1,1

제출문=0,2,1

목차=0,3,1

학술용역연구 최종보고서=(1),4,1

연구요약=(2),5,1

I. 연구배경 및 목적=1,6,1

1. 인삼의 역사와 효능=1,6,1

(1) 인삼의 역사=1,6,1

(2) 인삼의 성분=1,6,4

(3) 사포닌의 약리 작용=4,9,2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6,11,1

II. 재료 및 방법=7,12,1

1. 2004년 홍삼 시료 수집 및 2005년 인삼 수집=7,12,1

(1) 지역별 기후 조사=7,12,2

(2) 2004년 지역별 홍삼 시료 수집=9,14,1

(3) 2005년 지역별 인삼 시료 수집=10,15,1

2. 인삼의 조직학적 분석=11,16,1

(1) 아밀로펙틴과 아밀로스의 함량 측정방법=11,16,2

(2) 조직밀도의 측정 및 홍삼의 경도 차이 조사=12,17,2

3. 인삼의 주요 성분 비교=14,19,1

(1) 사포닌 분석 및 차이구명=14,19,7

(2) 향기성분 차이조사=21,26,1

4. 지역별 인삼근권 토양의 미생물상 비교=21,26,1

(1) T-RFLP 원리 및 방법=21,26,3

III. 연구결과=24,29,1

1. 2004년 홍삼 분석 결과=24,29,1

(1) 지역별 홍삼의 Total Extract 및 Saponin 분석=24,29,2

(2) T-RFLP를 이용한 2004년 병든 인삼과 정상인삼의토양 미생물 다양성 비교분석=26,31,2

2. 2005년 지역별 인삼 실험 결과=28,33,1

(1) Amylose And Amylopectin분석=28,33,2

(2) 지역별인삼의 밀도 측정 결과=29,34,1

(3) 지역별 홍삼의 경도측정 결과=30,35,1

(4) 지역별 사포닌 분석=30,35,5

(5) 지역별 인삼의 향기성분 분석 결과=35,40,1

IV. 결론 및 제언=36,41,2

V. 참고문헌=38,43,2

칼라목차

jpg

그림20. 전자코를 이용한 지역별 향기성분의 조성 비교=35,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