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표제지]=0,1,1

제출문=1,2,1

보고서 초록=2,3,1

요약문=3,4,6

Summary=9,10,6

Content=15,16,1

목차=16,17,1

제1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17,18,1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18,19,2

제3장 연구개발 수행내용 및 결과=20,21,1

제1절 유전자 조작법을 사용한 국지지진의 진원요소 결정=20,21,27

제2절 2003년 3월 홍도, 백령도 지진의 진원요소 및 Pn 속도(이미지참조)=47,48,7

제3절 한반도 남부의 지역규모식 검토=54,55,5

제4절 Coda 정규화법에 의한 한반도 남부에서의 P파 및 S파의 Q값=59,60,19

제5절 Lg Attenuation Structure in South Korea=78,79,86

제6절 3차원 토모그래피 방법으로 본 한반도 남부지역의 상부지각속도 특성=164,165,7

제7절 결론 및 토의=171,172,2

제4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173,174,1

제5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174,175,1

특정연구개발사업 연구결과 활용계획서=175,176,15

영문목차

[title page etc.]=0,1,9

Summary=9,10,6

Content=15,16,2

Chapter1. Introduction=17,18,1

Chapter2. Statu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Study Of This Field=18,19,2

Chapter3. Contents And Results Of The Study=20,21,1

Section1. Determination Of Hypocentral Parameters For Local Earthquake Using Genetic Algorithm=20,21,27

Section2. Estimation On Seismic Source Elements And Pn Velocity Using 2003 Earthquakes=47,48,7

Section3. Estimation Of Parameters In Equation For Local Magnitude In South Korea=54,55,5

Section4. Qp And Qs Using Coda-Wave Normalization Method In South Korea=59,60,19

Section5. Lg Attenuation Structure In South Korea=78,79,86

Section6. Applicaton Of 3-D Seismic Tomography To Southern Korea=164,165,7

Section7. Results And Discussion=171,172,2

Chapter4. The Degree Of Accomplishment To Milestone And Contribution=173,174,1

Chapter5. Future Plan For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is Study=174,175,1

Information Of State-Of-Art Technology Collected Through This Study=175,176,15

칼라목차

jpg

Figure 3-2-1. 2003년 3월 23일 홍도 지진과 20일 백령도 지진의 진앙 및 관측소 위치=48,49,1

Figure 3-2-5. 서해상에서 발생한 규모 4.0 이상 5개 지진의 진앙위치 및 발진기구=53,54,1

Figure 3-3-1. 광대역 관측소 위치 및 분석에 사용한 2000년부터 2004년 사이에 발생한 지진의 진앙위치=56,57,1

Figure 3-4-1. 분석에 사용한 지진의 진앙지와 관측소=61,62,1

Figure 3-4-4. 한반도 지체구조=63,64,1

Figure 18. SPRP법 연구에 쓰인 15 지진관측점(△)과 16 국내 Event(○)=122,123,1

Figure 3-5-30. 한국(Table 3-5-11)과 일본(Table 3-5-12)의 관측점 및 13 지진(Table 3-5-13)이 RTSM의 조합으로 이어진 선=145,146,1

Figure 3-6-1. 주요 지진관측기관의 관측소 분포도=165,166,1

Figure 3-6-3. (a) 1차원 모델 역산 결과, (b) RMS 변화=167,168,1

Figure 3-6-4. 깊이별 수평단면상의 P파의 상대적 속도변화=168,169,1

Figure 3-6-5. 연구지역의 위도에 평행한 수직 단면도=169,1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