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표제지]=0,1,1
제출문=1,2,1
요약문=2,3,3
Summary=5,6,3
Contents=8,9,1
목차=9,10,1
표목차=10,11,5
그림목차=15,16,4
제1장 서론=19,20,1
제1절 기술개발의 필요성=19,20,5
제2절 기술개발의 목표와 범위=23,24,3
제3절 기술개발 추진체계=26,27,1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27,28,8
제3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35,36,1
제1절 자연복원력 평가를 위한 기준, 지표 및 지수 개발=35,36,34
제2절 산불피해지 복원을 위한 적지적수 판정=69,70,12
제3절 산불피해지 토양안정화 기술 개발=81,82,59
제4절 소유역의 토양 및 식생의 안정성 평가=140,141,102
제4장 연구개발의 한계=242,243,9
제5장 연구개발목표 달성도 및 대외기여도=251,252,8
제6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259,260,4
제7장 참고문헌=263,264,7
별책 부록 현장매뉴얼[내용누락;p.270~]=270,271,1
그림1-1. 60년대 이후 우리나라 산불의 발생빈도와 피해면적=20,21,1
그림1-2. 연도에 따른 임목 피해액. 산림의 발달에 따라 임목 피해액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 추세=20,21,1
그림1-3. 고성군 죽왕면의 화강암 모재 토양=22,23,1
그림1-4. 고성군 일대 조림예정지로 대단위 면적 벌목지=23,24,1
그림3-1. 자연복원력 지수 개발 및 현지검증을 위한 추진체계=38,39,1
그림3-2. 자연복원력 지수 개발을 위한 기준 및 지표 설정 모델=46,47,1
그림3-3. 식생형과 영급에 따른 재생피도=52,53,1
그림3-4. 삼척지역에서 자연복원력 지수와 수관종 피도와의 관계=62,63,1
그림3-5. 산불후 재생군집에서 수관종 피도와 총 종 피도와의 관계=63,64,1
그림3-6. 속초와 강릉지역에서 자연복원력 지수와 수관종 피도와의 관계=64,65,1
그림3-7. 삼척, 속초 및 강릉지역에서 자연복원력 지수와 수관종 피도와의 관계=65,66,1
그림3-8. 고도에 따른 동해안 지역의 수종 분포 특성=72,73,3
그림3-9. 지형에 따른 동해안지역의 수종 분포 특성=75,76,3
그림3-10. 방위에 따른 동해안 지역의 수종분포 특성=77,78,3
그림3-11. 미조림지의 토사유출시험구=82,83,1
그림3-12. 식생피도가 낮은 대조구=82,83,1
그림3-13. 높은 식생피도 시험구=82,83,1
그림3-14. 토사저류구와 저장탱크=82,83,1
그림3-15. 우드 칩 처리=85,86,1
그림3-16. 통나무 경사막이 설치=85,86,1
그림3-17. 통나무 경사막이=85,86,1
그림3-18. 종자살포 1주일 후=85,86,1
그림3-19. 유량계=86,87,1
그림3-20. 조림지의 토사유출시험구=90,91,1
그림3-21. 조림지의 토사유출시험구=90,91,1
그림3-22. 조림지 대조구=90,91,1
그림3-23. 높은 식생피도 시험구=90,91,1
그림3-24. 조림지 멀칭 처리=93,94,1
그림3-25. 조림지 우드 칩 살포=93,94,1
그림3-26. 우드 칩 처리=93,94,1
그림3-27. 조림지 통나무 경사막이 처리=93,94,1
그림3-28. 통나무 경사막이와 종자살포 혼용 처리=93,94,1
그림3-29. 대조구=95,96,1
그림3-30. 멀칭 처리구=95,96,1
그림3-31. 통나무 경사막이 처리구=95,96,1
그림3-32. 미조림지에서 토양안정화 기법이 강우 및 토사유출량에 미치는 영향=101,102,1
그림3-33. 미조림지에서 강우유출에 따른 염기성양이온의 소실=105,106,1
그림3-34. 미조림지에서 강우유출을 통한 산성 양이온 소실량=106,107,1
그림3-35. 미조림지에서 강우유출에 따른 NH₄+와 NO₃-의 소실(이미지참조)=107,108,1
그림3-36. 미조림지에서 강우유출에 따른 Cl-와 SO₄²-의 소실(이미지참조)=107,108,1
그림3-37. 미조림지에서 토사유출을 통한 전질소와 유효인산의 소실=109,110,1
그림3-38. 미조림지에서 토사 염기성 양이온의 소실=110,111,1
그림3-39. 미조림지에서 강우량에 따른 pH와 전기전도도의 변화=111,112,1
그림3-40. 조림지에서 토양안정화 기법 처리가 강우 및 토사유출에 미치는 영향=119,120,1
그림3-41. 조림지에서 2003년 9월 11일~13일 간의 시간당 강우유출량=120,121,1
그림3-42. 조림지 강우유출에 의한 염기성 양이온 소실=123,124,1
그림3-43/그림3-44. 조림지에서 강우유출에 따른 NH₄+와 NO₃-의 소실(이미지참조)=124,125,1
그림3-44/그림3-43. 조림지에서 강우유출에 따른 산성양이온 소실=125,126,1
그림3-45. 조림지에서 강우유출에 따른 Cl-와 SO₄²- 소실(이미지참조)=126,127,1
그림3-46. 조림지에서 토사유출을 통한 전질소와 유효인산의 소실=128,129,1
그림3-47. 조림지에서 토사유출에 따른 염기성양이온 소실=128,129,1
그림3-48. 강우량과 강우유출수의 pH 및 전기전도도의 관계=129,130,1
그림4-1. 삼척 임원의 3 지소에서의 강우량에 따른 강우유출량의 관계의 예=142,143,1
그림4-2. 삼척 임원의 3 지소에서의 강우량에 따른 토사유출량의 관계의 예=143,144,1
그림4-3. 삼척 임원의 3 지소에서의 강우량에 따른 총질소유출량의 관계의 예=143,144,1
그림4-4. 삼척 임원의 3 지소에서의 강우량에 따른 총염기성양이온유출량의 관계의 예=144,145,1
그림4-5. 강릉시 사천면 지역에서 조사한 소유역의 위치도=154,155,1
그림4-6. 삼척시 임원리 지역에서 조사한 소유역의 분포도=155,156,1
그림4-7. 강릉시 옥계면에서 조사한 소유역의 분포도=156,157,1
그림4-8. 강릉시 옥계면에서 조사한 소유역의 위치도=157,158,1
그림4-9. 강릉시 사천면에 위치한 9번(K9) 소유역내 주요 식생유형별 분포도=158,159,1
그림4-10. 삼척시 원덕면에 위치한 11번(I11) 소유역내 주요 식생유형별 분포도=160,161,1
그림4-11. 산불피해지역의 자연방치지에서 표 4-7의 식생회복지수(Ivcr) 예측모형에 의한 예측치와 실측치의 관계=165,166,1
그림4-12. 산불피해지역의 벌목조림지에서 표 4-7의 식생회복지수(Ivcr) 예측모형에 의한 예측치와 실측치의 관계=166,167,1
그림4-13. 산불피해지역의 녹화사방지에서 표 4-7의 식생회복지수(Ivcr) 예측모형에 의한 예측치와 실측치의 관계=167,168,1
그림4-14. 산불피해지역의 지표화 피해지 및 산불미발생지에서 표 4-7의 식생회복지수(Ivcr) 예측모형에 의한 예측치와 실측치의 관계=168,169,1
그림4-15. 산불피해지역에서 표 4-8에 의해 예측된 모든 식생유형의 식생회복지수(Ivcr)와 실측한 Ivcr의 관계=169,170,1
그림4-16. 산불피해지역에서 표 19에 의해 예측된 모든 식생유형의 강우유출량(L/㎡)과 실측한 강우유출량(L/㎡)의 관계=173,174,1
그림4-17. 산불피해지역에서 표 20에 의해 예측된 모든 식생유형의 토사유출량(L/㎡)과 실측한 토사유출량(L/㎡)의 관계=174,175,1
그림4-18. 산불피해지역에서 표 21에 의해 예측된 모든 식생유형의 양이온유출량(㎎/㎡)과 실측한 양이온유출량(㎎/㎡)의 관계=175,176,1
그림4-19. 산불피해지역에서 표 22에 의해 예측된 모든 식생유형의 질소유출량(㎎/㎡)과 실측한 질소유출량(㎎/㎡)의 관계=176,177,1
그림4-20. 동해안 산불피해지역 전체식생을 대상으로 한 식생회복지수와 토사유출민감도의 관계=181,182,1
그림4-21. 동해안 산불피해지역 전체식생을 대상으로 한 식생회복지수와 강우유출민감도의 관계=182,183,1
그림4-22. 동해안 산불피해지역 전체식생을 대상으로 한 식생회복지수와 총 질소 유출 민감도의 관계=183,184,1
그림4-23. 동해안 산불피해지역 전체식생을 대상으로 한 식생회복지수와 총 염기성양이온 유출 민감도의 관계=184,185,1
그림4-24. 동해안 산불피해지역 전체식생을 대상으로한 식생회복지수와 100년 빈도 24시간 확률강우량에 대한 강우유출량(L/㎡)의 관계=185,186,1
그림4-25. 동해안 산불피해지역 전체식생을 대상으로한 식생회복지수와 100년 빈도 24시간 확률강우량에 대한 토사유출량(g/㎡)의 관계=186,187,1
그림4-26. 동해안 산불피해지역 전체식생을 대상으로한 식생회복지수와 100년 빈도 24시간 확률강우량에 대한 총질소유출량(㎎/㎡)의 관계=187,188,1
그림4-27. 동해안 산불피해지역 전체식생을 대상으로 한 식생회복지수와 100년 빈도 24시간 확률강우량에 대한 염기성양이온(Ca+Mg+K+Na) 유출량(㎎/㎡)의 관계=188,189,1
그림4-28. 소유역의 식생회복력(Wivcr)과 토양안정성 지표(WSQR)의 관계=214,215,1
그림4-29. 소유역의 식생회복력(Wivcr)과 토양안정성 지표(WSQSR)의 관계=215,216,1
그림4-30. 소유역의 식생회복력(Wivcr)과 토양안정성 지표(WSNR)의 관계=216,217,1
그림4-31. 소유역의 식생회복력(Wivcr)과 토양안정성 지표(WSCATIONR)의 관계=217,218,1
그림4-32. 소유역의 식생회복력(Wivcr)과 토양안정성 지표(WQ100)의 관계=218,219,1
그림4-33. 소유역의 식생회복력(Wivcr)과 토양안정성 지표(WQS100)의 관계=219,220,1
그림4-34. 소유역의 식생회복력(Wivcr)과 토양안정성 지표(WN100)의 관계=220,221,1
그림4-35. 소유역의 식생회복력(Wivcr)과 토양안정성 지표(WCATION100)의 관계=221,222,1
그림4-36. 2004년 3월부터 12월까지 삼척시 임원 산불피해지역에서 대표적인 5가지 식생유형을 대표하는 소유역 계류수의 pH, 총질소(NH₄+ NO₃), 염기성양이온(Ca+Mg+K+Na) 및 음이온(NO₃+Cl+SO₄)의 계절적인 변화=225,226,1
그림4-37. 2004년 3월부터 12월까지 삼척시 임원지역에 내린 누적강우량에 대한 5개 소유역의 누적 계류유출수량(상단)과 토사유출량(하단)의 변화=230,231,1
그림4-38. 2004년 3월부터 12월까지 삼척시 임원지역에 내린 강우량에 대한 5개 소유역의 계류유출수로 인한 총질소, 염기성양이온 및 총음이온 유실량의 계절변화=231,232,1
그림4-39. 2004년 3월부터 12월까지 삼척시 임원지역에 내린 강우량에 대한 5개 소유역의 월별 토사유출량, 총질소 및 염기성양이온 유실량의 변화=232,233,1
그림4-40. 소유역의 식생회복력(Wivcr)과 2004년 3월부터 12월까지 삼척시 임원지역에 내린 누적강우량 1,097㎜에 대한 누적 계류유출수량(ton/ha)의 관계=233,234,1
그림4-41. 소유역의 식생회복력(Wivcr)과 2004년 3월부터 12월까지 삼척시 임원지역에 내린 누적강우량 1,097㎜에 대한 누적 토사유출량(㎏/ha)의 관계=234,235,1
그림4-42. 소유역의 식생회복력(Wivcr)과 2004년 3월부터 12월까지 삼척시 임원지역에 내린 누적강우량 1,097㎜에 대한 계류유출과 토사유실로 인한 누적 총질소유실량(㎏/ha)의 관계=235,236,1
그림4-43. 소유역의 식생회복력(Wivcr)과 2004년 3월부터 12월까지 삼척시 임원지역에 내린 누적강우량 1,097㎜에 대한 계류유출과 토사유실로 인한 누적 총염기성양이온유실량(㎏/ha)의 관계=236,237,1
그림4-44. 2004년도에 조사된 식생회복력 및 토양안정성 지표의 자료에 근거한 소유역의 DCA 서열=238,239,1
그림4-45. 그림 4-44에서 산사태 발생 소유역들을 제외한 소유역들을 대상으로 한 2004년도에 조사된 식생회복력 및 토양안정성 지표의 자료에 근거한 DCA 서열=240,241,1
영문목차
[title page etc.]=0,1,5
Summary=5,6,3
Contents=8,9,11
Chapter 1. Introduction=19,20,1
1. Necessity Of Technology Development=19,20,5
2. Aims And Scope Of The Report=23,24,3
3. Procedure=26,27,1
Chapter 2. Status Of Technology Development=27,28,8
Chapter 3. Results=35,36,1
1. Development Of Index, Criterion And Indicator For The Assessment Of Natural Regeneration Potential=35,36,34
2. Assessment Of Proper Tree Selection System For Postfire Restoration=69,70,12
3. Development Of Postfire Restoration Technology For Improving Vegetation Recovery And Soil Stabilization=81,82,59
4. Postfire Evaluation Of Soil And Vegetataion Stability In Watersheds=140,141,102
Chapter 4. Limitation=242,243,9
Chapter 5. Achievement And Contribution=251,252,8
Chapter 6. Application Plan=259,260,4
Chapter 7. References=263,264,7
Supplement : The Field Manual=270,271,1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