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표제지 등]=0,1,2

제출문=0,3,1

목차=i,4,2

제1장 서론=1,6,2

1. 연구배경 및 필요성=3,8,2

2. 연구목적 및 내용=5,10,1

1) 세부과제 I - 감시 대상 증후군의 자료 신뢰도 향상=5,10,1

2) 세부과제 II - 응급실 증후군 감시체계 자료 분석 개선=6,11,1

3. 연구방법 및 수행체계=7,12,1

1) 세부과제 I - 감시 대상 증후군의 자료 신뢰도 향상=7,12,3

2) 세부과제 II - 응급실 증후군 감시체계 자료 분석 개선=9,14,3

4. 기대 성과 및 활용 발안=12,17,1

제2장 감시대상 증후군의 자료 신뢰도 향상=13,18,3

1. 운영실적 분석(2003. 1~2004. 6)=15,20,5

2. 설문지 분석내용=20,25,37

3. 운영결과 분석 및 설문지 응답을 통한 결과분석 요약=57,62,2

4. 보고율과 보고자료의 신뢰도 개선을 위한 제안=59,64,2

제3장 응급실 증후군 감시체계 자료수집 개선방안=61,66,2

1. 증후군 감시체계(Syndromic Surveillance System)의 개요=63,68,5

2. 증후군의 사례 정의=68,73,1

1) ICM-9-CM 코드=68,73,2

2) 응급실 내원 주증상=70,75,1

3) 최근의 경향=70,75,1

3. 국외 사례=71,76,1

1) 뉴욕시의 증후군 감시체계=71,76,2

2) 미국 내에서 시행중인 데이터 수집 방법에 의한 증후군 감시체계의 분류=73,78,3

4. 급성 설사증후군에서 유의 인자 분석=76,81,2

5. 제언=78,83,7

제4장 응급실 증후군 감시체계의 이상징후 판단 분석기법 개발=85,90,3

1. 증후군별 환자보고 현황=87,92,4

2. 응급실 증후군 감시체계의 이상징후 판단 분석기법=91,96,1

1) 오즈비(Odds Ratio) 검정=91,96,6

2) Pearson통계량과 Chi-Square 분포를 이용한 이상징후 경보모형=97,102,5

3) 붓스트랩(Bootstrap) 방법을 이용한 이상징후 경보모형=102,107,5

4) 단순이동평균법을 이용한 이상징후 경보모형=107,112,6

3. 결론 및 개선 방안=113,118,2

제5장 부록=115,120,2

부록1. 미국질병관리본부에서 발표한 응급실 증후군 관련 ICD-9-CM 코드 및 사례정의=117,122,14

부록2. 응급실 증후군 감시체계 평가설문=131,136,8

부록3. 생물테러대비 응급실 증후군 감시체계 교육 참가명단=139,144,12

제6장 참고문헌=151,156,5

칼라목차

jpg

(그림2-4. 증후군별 연령분포)=17,22,1

(그림2-21. 보고기준 불명확으로 인해 보고율이 낮다고 응답한 사람들의 사례정의 명확도)=35,40,1

(그림2-28. 사례정의 명확도에 따른 보고율)=42,47,1

(그림2-29. 환자선별자에 따른 사례정의 명확성의 비율(급성설사증후군))=44,49,1

(그림2-30. 환자선별자에 따른 사례정의 명확성의 비율(급성호흡기증후군))=44,49,1

(그림2-31. 환자선별자에 따른 사례정의 명확성의 비율(급성발진증후군))=46,51,1

(그림2-32. 환자선별자에 따른 사례정의 명확성의 비율(급성신경증후군))=46,51,1

(그림2-33. 환자선별자에 따른 사례정의 명확성의 비율(급성출혈열증후군))=47,5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