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표제지]=1,1,1

[연구자]=1,2,1

[판권지]=1,2,1

[발간사]=3,3,2

[목차]=5,5,3

[표목차]=8,8,2

[그림목차]=10,10,1

연구조사 결과의 요약=11,11,28

I. 문제 제기=39,39,3

II. 노동소득분배율의 보정=41,41,4

III. 노동소득분배율의 이론과 쟁점=44,44,1

1. 노동소득분배율에 관한 이론=44,44,2

(1) 교섭력 이론=45,45,3

(2) 독점력(도) 이론=47,47,3

(3) 과부항아리 이론(Widow's Cruise Theory)=49,49,4

(4) 수요ㆍ공급의 이론=52,52,6

2. 최근 노동소득분배율의 쟁점=57,57,5

IV. 최근 노동소득분배율의 변화추이=61,61,1

1. 우리나라 노동소득분배율 변화 추이=61,61,4

2. 최근 노동소득분배율의 하락 원인=65,65,3

3. 노동소득분배율과 자영업자의 비율 국제비교=67,67,3

V. 노동소득분배율의 변동 원인=69,69,1

1. 고용구조의 변화=70,70,2

2. 근로자 교섭력의 강화=71,71,2

3. 기술진보와 산업구조의 변화=73,73,2

VI. 노동소득분배율의 상승과 문제점=74,74,1

1. 우리나라 국민소득분배의 추이=74,74,4

2. 노동소득분배율의 상승원인 분석=77,77,3

3. 기업의 투자 및 수익구조의 약화=79,79,7

VII. 국제비교를 위한 이론적 논거=85,85,1

1. 노동소득분배율의 정형화된 특성=85,85,1

가. 시계열적 항상성=85,85,4

나. 횡단면적 비항상성=89,89,3

2. 노동소득분배율 퍼즐에 대한 기존의 이론=91,91,1

가. 생산함수의 차이=91,91,4

나. 자본과 노동의 비단위탄력성=94,94,3

다. 자본공급자의 독점력=96,96,1

라. 산업구조의 차이=97,97,5

마. 자영업의 비중 차이에 따른 착시=101,101,8

VIII. 국제비교 모형의 설정과 결과분석=108,108,1

1. 국제비교를 위한 모형의 설정=108,108,4

2. OECD 국가의 보정노동소득분배율 국제비교=112,112,1

가. 최근 10년간 보정노동소득분배율의 국제비교=112,112,3

나. 1996년 보정노동소득분배율의 국제비교=114,114,3

다. 2004년 보정노동소득분배율의 국제비교=117,117,2

IX. 향후 정책과제=118,118,7

참고문헌=125,125,1

(첨부) 결과분석자료=126,126,18

표목차

(표1) 주요국 노동소득분배율 및 취업구조 비교(2002)=43,43,1

(표2) 임금 및 노동생산성 증감률 추이=62,62,1

(표3) 우리나라의 소득분배율 변화 추이=63,63,1

(표4) 최근 노동소득분배율과 고용형태 변화 추이=66,66,1

(표5) 주요국 평균 보정노동소득분배율 비교(1996)=69,69,1

(표6) 한국 및 대만의 산업별 피용자수 비중 변화=74,74,1

(표7) 국민소득(GDP) 배분구성 비율추이=75,75,1

(표8) 우리나라의 국민소득분배(율) 변화추이=76,76,1

(표9) 임금 및 노동생산성 등 증감률 추이=80,80,1

(표10) 제조업 수익성 등 지표 추이=81,81,1

(표11) 제조업 유형자산 등 증가율 추이=82,82,1

(표12) 주요국의 제조업 총자산 경상이익률 추이=83,83,1

(표13) 주요국의 투자 증가율 추이 비교=85,85,1

(표14) 산업구조 차이에 의한 노동소득분배율의 격차(예시)=99,99,1

(표15) 양국 산업구조가 동일하다고 가상한 노동소득분배율(예시)=101,101,1

(표16) 자영업 비중차이에 따른 착시현상(예시)=103,103,1

(표17) 자영업 비중차이를 감안한 노동소득분배율 조정=105,105,2

(표18) 주요국 평균 보정노동소득분배율 비교(1995~2004년)=113,113,1

(표19) 1996년 OECD 주요국 노동소득분배율 현황=115,115,1

(표20) 2004년 OECD 주요국 노동소득분배율 현황=117,117,1

(표21) 제조업 수익성 관련지표 비교=120,120,1

(표22) OECD 주요국 피용자보수 변화 추이=122,122,1

그림목차

(그림1) GDP 및 노동소득분배율 순환변동치의 추이=64,64,1

(그림2) 노동소득분배율 및 피용자 등 비중추이=71,71,1

(그림3) 노동소득분배율 및 노동조합수의 추이=72,72,1

(그림4) 각국의 임금지수(제조업) 추이 비교=78,78,1

(그림5) 미국 노동소득분배율의 역사적 추이=86,86,1

(그림6) 노동소득분배율의 국가별 비교=90,90,1

(그림7) 우리나라의 노동소득분배율과 1인당 GDP=91,91,1

(그림8) 우리나라의 노동소득분배율과 자영업자비율=104,104,1

(그림9) 자영업 비중차이를 감안한 노동소득분배율 국제비교(2004)=111,111,1

(그림10) 1995~2004년 주요국 매년 평균 보정노동소득분배율=114,114,1

(그림11) 1996년 OECD 주요국 노동소득분배율 현황=116,116,1

(그림12) 2004년 OECD 주요국 노동소득분배율 현황=118,11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