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표제지]=0,1,1

제출문=0,2,1

보고서 초록=0,3,1

요약문=i,4,3

Summary=iv,7,3

Contents=vii,10,3

Table Of Contents=x,13,1

Figure Of Contents=xi,14,7

목차=xviii,21,3

표차례=xxi,24,1

그림차례=xxii,25,5

1장 서론=1,30,7

2장 국내ㆍ외 연구 현황=8,37,4

3장 연구수행 내용 및 결과=12,41,1

1절 아시아갈색구름(ABC-EAREX) 집중관측=12,41,1

1. 인프라 구축 및 고산수퍼수퍼사이트 운영=12,41,2

2. 기후변화 감시 협력체계 구축=13,42,2

3. 아사이갈색구름 집중관측수행=14,43,6

가. 기상연구소에서 관측하는 관측 장비 및 요소=19,48,1

(1) 태양 및 지구복사관측=19,48,1

(2) 에어러솔 관측 및 대기복사 관측=19,48,3

나. 공동연구기관(서울대학교 등)에서 운용중인 관측장비 및 관측 요소=21,50,1

(1) Micro Pulse Lidar(MPL)=21,50,4

(2) 미량기체 관측 및 광학요소 관측=25,54,3

2절 ABC 공동관측을 통한 관측자료 검증 및 DB화=28,57,1

1. 라이다 비교 및 검증=28,57,2

가. 분석 방법=29,58,1

(1) 라이다 이론=29,58,3

(2) Fernald Method=31,60,3

(3) Sunphotometer로 산출한 대기혼탁도(Aerosol Optical Depth)를 활용한 라이다 상수 및 연직 에어러솔 소산계수 산출 알고리즘=33,62,3

나. 비교 및 검증 결과=36,65,1

(1) Fernald Method를 이용한 결과 비교=36,65,1

(가) 거리보정 결과 비교=36,65,2

(나) 소산계수 비교=37,66,2

(2) Sunphotometer(Sunphtometer)에서 관측된 자료로 산출된 AOD를 활용한 라이다 상수 및 에어러솔 소산계수 산출 알고리즘 결과=38,67,4

2. Sunphotometer 비교 및 검증=42,71,1

가. Sunphotometer 자료 및 분석 방법=42,71,1

(1) AOD 산출=42,71,2

(2) 단산란 알베도(Single Scattering Albedo, SSA) 산출=43,72,1

나. 비교 결과=44,73,2

(1) AOD=46,75,5

(2) 단산란 알베도(SSA)=51,80,2

3. 에어러솔 화학 특성 측정 자료의 비교 및 검증=53,82,3

3절 ABC-EAREX2005 기간 동안 에어러솔 특성 분석=56,85,1

1. 집중측정 기간 동안의 기상 특성 및 개황=56,85,2

가. 3월 6일-3월 10일=57,86,2

나. 3월 11일-3월 16일=58,87,1

다. 3월 17일-3월 21일=58,87,3

라. 3월 22일-3월 27일=60,89,1

마. 3월 28일-4월 6일=60,89,2

2. 집중 측정 기간 동안의 황사 및 오염사례 분석=62,91,1

가. 황사 사레=62,91,4

나. 오염 사례(3월 17일, 3월 31일~4월 1일)=66,95,3

3. 라이다 관측을 통한 연직 에어러솔 분포에 따른 광학적 특성 분석=69,98,7

4. 위성 자료를 이용한 에어러솔 광학 특성 분석=76,105,1

가. 위성 자료의 분석 방법 및 자료 설명=76,105,3

나. 최근 6년간(2000-2005) 동아시아 에어러솔의 특성 분석=78,107,1

(1) 6년 평균 자료의 공간 특성 분석=78,107,6

다. ABC-EAREX2005 기간 동안의 에어러솔 공간 특성=84,113,1

(1) 2005년의 월별, 계절별 분석=84,113,2

(2) ABC-EAREX2005 기간 동안 에어러솔 공간 특성=85,114,4

라. 주요 에어러솔의 유형 분류=89,118,1

(1) 유형 분류 방법=89,118,4

(2) 유형 분류 결과=93,122,6

5. ABC-EAREX2005기간동안 한반도 배경지역의 에어러솔 특성=99,128,1

가. 고산, 안면도 기상2000호 선박 관측한 OPC 농도 특성=99,128,4

나. 안면도에서 SMPS 등에 의해 관측된 에어러솔 특성=103,132,1

(1) 황사 사례=103,132,2

(2) 입자생성 및 성장=104,133,4

4절 대기오염 모니터링 및 위성자료를 이용한 황해 대기오염 episode 분석=108,137,2

1. 대기오염 사례 연구=109,138,1

가. 2005년 7월 6-7일 사례=109,138,2

나. 2005년 7월 29-31일 사례=111,140,1

다. 2005년 8월 27-31일 사례=112,141,2

라. 2005년 10월 24-25일 사례=113,142,3

마. 2005년 11월 11일 사례=116,145,2

바. 2005년 12월 31일 사례=117,146,2

사. 2006년 1월 27일 사례=119,148,5

4장 연구목표 달성도 및 대외기여도=124,153,1

5장 연구결과의 활용계획=125,154,1

6장 연구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125,154,1

7장 참고문헌=126,155,6

자체평가의견서=132,161,5

연구결과 활용계획서=137,166,11

표차례

Table 1.1. 국외의 기술동향 및 수준=5,34,1

Table 2.1. ABC 프로젝트 및 K-ABC 위원=11,40,1

Table 3.1. ABC-EAREX2005 참가 기관, 관측 항목 및 사용된 관측법=15,44,4

Table 3.2. 기상연구소에 의해 제주고산 수퍼사이트에서 운용중인 연구 기자재 및 연구 시설=23,52,1

Table 3.3. 공동연구기관(서울대학교)에 의해 제주고산 수퍼사이트에서 운용중인 연구 기자재 및 연구 시설=23,52,1

Table 3.4. MPL과 NIES Lidar 사양=24,53,1

Table 3.5. ABC-EAREX2005 기간동안 고산에 설치한 7개의 Sunphotometer=45,74,1

Table 3.6. 670 nm와 870 nm에서 sun/sky Radiometer로 관측한 AOD의 Bias Difference(BD), Root Mean Square Difference(RMSD) 그리고 관측수에 대한 상호 비교=49,78,1

Table 3.7. 측정 자료 및 DB 구축 기간=55,84,1

Table 3.8. 봄철(3, 4, 5월)고산의 기상요소들의 특성=57,86,1

Table 3.9. 청원, 충남, 충북, 제주, 서귀포에서 2006년 1월 27일부터 28일까지 PM10의 질량 농도 (㎍/㎥)=123,152,1

그림차례

Fig. 1.1. 2004년 5월 31일 서해안에 발생한 갈색구름(백령도기상대 김춘자 제공)과 2005년 4월 4일 제주고산 수퍼사이트에서 관측된 갈색구름=6,35,1

Fig. 1.2. ABC 프로젝트의 개념도와 프로젝트 소개 표지=6,35,1

Fig. 1.3. 제주고산 수퍼사이트에서 수행된 동아시아 갈색구름 국제집중관측 착수 및 워크숍=7,36,1

Fig. 1.4. 동아시아 갈색구름(ABC) 수퍼사이트 및 제주고산 국제 집중관측(ABC-EAREX2005)사이트=7,36,1

Fig. 2.1. 몰디브 수퍼사이트에 설치된 관측 타워와 복사계=8,37,1

Fig. 3.1. ABC-EAREX2005가 실시된 제주고산 수퍼사이트 전경=13,42,1

Fig. 3.2. 기상청 기상연구소가 제주 고산 사이트에서 운영중인 대기복사 관측 장비=20,49,1

Fig. 3.3. ABC-EAREX2005 기간에 사용된 서울대학교 지구환경학부 소속 에어로솔 관측 장비=26,55,1

Fig. 3.4. 제주 고산관측소에 설치된 대기복사관측 시스템=26,55,1

Fig. 3.5. ABC-EAREX200S 집중관측 기간동안 작성된 Daily Report(17 March 2005)=27,56,1

Fig. 3.6. ABC-EAREX2005 홈페이지(http://abc-gosan.snu.ac.kr)=27,56,1

Fig. 3.7. Sun Photometer 관측을 통해 얻어진 AOD를 사용하여 에어로솔 광소산계수를 구하는데 도입된 계산도=34,63,1

Fig. 3.8. 2005년 3월 25일부터 29일까지 제주 고산관측소에 설치된 Range-corrected MPL과 NIES Lidar를 이용한 에어로솔의 연직 분포 관측결과=36,65,1

Fig. 3.9. 2005년 3월 25일 07:00 UTC에 MPL과 NIES Lidar로부터 얻어진 에어로솔 광소산계수 관측값 비교=37,66,1

Fig. 3.10. 지상 Lidar 관측과 항공기를 이용한 직접관측을 통해 얻어진 에어로솔 광소산계수의 상호 비교=39,68,1

Fig. 3.11. (a) Fixed Lidar Ratio, Sun Photometer로부터 얻어진 AOD을 이용한 (b) Variable Lidar Ratio 그리고 (c) 이것의 일평균 Lidar Ratio을 이용해 계산한 에어로솔 광소산계수의 시계열값=40,69,1

Fig. 3.12. ABC-EAREX2005 기간동안에 관측된 AOD와 Ångstrom Exponent(Circle)의 시계열(이미지참조)=48,77,1

Fig. 3.13. AOD에 존재하는 Bias Difference(BD)에 대한 Root Mean Squared Difference(RMSD). 670 nm 와 870 nm에서 관측되어진 결과를 선행연구에서 얻어진 결과와 각각 비교하고 있다=48,77,1

Fig. 3.14. SNU-SKYNET과 MRI(POM2) 이용해 파장 500nm에서 얻어진 SSA 상호 비교=52,81,1

Fig. 3.15. PILS에 의해 관측된 PM2.5의 질량 농도 시계열 변화 (Y. Kendo, The 2nd ABC Data Workshop)=54,83,1

Fig. 3.16. EC와 OC 농도의 시계열 변화=54,83,1

Fig. 3.17. 고산관측소 지상, 700, 850, 925 hPa 바람장미. 왼쪽은 지난 1988년부터 2004년까지의 평균이며 오른쪽은 2005년 3월 평균이다=59,88,1

Fig. 3.18. ABC-EAREX2005 기간동안 제주 고산관측소에서 측정한 기상인자들의 시계열 변화=61,90,1

Fig. 3.19. AOD(670 nm), Ångstrom Exponent, 흡수 및 산란계수, CO, O3, PM10, PM2.5 농도의 시계열 변화(이미지참조)=63,92,1

Fig. 3.20. 한국 기상청에서 운용하는 ADAM의 모사 결과(3월 17일 12UTC-3월 19일 00UTC)=64,93,1

Fig. 3.21. 제주 고산기상대에서 관측된 PM10 농도=64,93,1

Fig. 3.22. 2005년 3월 18일 (a) 일기도, (b) Backward Trajectory 분석 결과=65,94,1

Fig. 3.23. 3월 16일부터 20일 까지 Lidar 관측 결과=65,94,1

Fig. 3.24. PM2.5 질량농도 변화 (Y. Kendo, The 2nd ABC Data Workshop)=67,96,1

Fig. 3.25. 2005년 3월 17일 (a) 일기도, (b) Backward Trajectory 분석 결과=68,97,1

Fig. 3.26. 2005년 3월 31 (a) 일기도와 2005년 4월 1일 (a) 일기도, (b) Backward Trajectory 분석 결과=68,97,1

Fig. 3.27. Sun photometer를 이용해 지난 2001년부터 2005년까지 관측된 월 평균 AOD (670 nm)와 Ångstrom Exponent(440 - 870 nm)(이미지참조)=70,99,1

Fig. 3.28. 2005년 3월 16일부터 20일까지 관측된 에어로솔 광소산계수의 시계열 변화와 (오른쪽); (윗쪽) SNU MPL (523.5 nm)에서 얻어진 AEC; (중간) NIES Lidar (532 nm) 에서 얻어진 AEC; (아랫부분) NIES Lidar 얻어진 Depolarization Ratio=72,101,1

Fig. 3.29. 왼쪽이 2005년 3월 26일 30일까지 관측되어진 값이란 것과 오른쪽이 4월 10일부터 11일까지 관측된 값이란 것만 빼고는 Fig. 3.28 일치한다=73,102,1

Fig. 3.30. 왼쪽이 2005년 3월 15일 19일까지 관측되어진 값이란 것과 오른쪽이 4월 20일부터(붜) 24일까지 관측된 값이란 것만 빼고는 Fig. 3.28 일치한다=74,103,1

Fig. 3.31. 왼쪽이 2005년 3월 10일 14일까지 관측되어진 값이란 것과 오른쪽이 4월 25일부터 29일까지 관측된 값이란 것만 빼고는 Fig. 3.28 일치한다=75,104,1

Fig. 3.32. 후방 산란 개념 정립을 위한 모식도[내용누락;p.76]=76,105,1

Fig. 3.33. 지표와 해양에서의 AOD 계산 알고리즘=78,107,1

Fig. 3.34. 동아시아 지역 (20-55°N, 100~150°E) 550 nm로 관측한 3.34. (a) AOD의 공간 분포 (2000년 3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MODIS 관측 결과)=81,110,1

Fig. 3.35. 850 hPa 바람장과 계절별 AOD의 공간분포=81,110,1

Fig. 3.36. (a) 550 nm에서 관측된 AOD와 FMF의 월변화 (b) 2000년 3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MODIS 위성 550 nm에서 관측된 AOD와 FMF의 연간변화=82,111,1

Fig. 3.37. (a) 2003년 3월에 관측된 Biomass Burning 지점; (b) 2003년 3월 MODIS 위성 550 nm 채널로부터 얻어낸 AOD; (c) 2003년 3월20일 관측된 MODIS RGB 영상과 흑백 영상=82,111,1

Fig. 3.38. 2000년부터 2005년까지 MODIS 위성에서 얻어낸 각 월별 AOD=83,112,1

Fig. 3.39. (a) 2005년 계절별 AOD 변화 공간분포; (b) 6년 평균 AOD; (c) (a)와 (b)의 차이=84,113,1

Fig. 3.40. (a) 2005년 각 월별 AOD 변화 공간분포; (b) 6년 평균 AOD; (c) (a)와 (b)의 차이=86,115,1

Fig. 3.41. (a) MODIS RGB 영상(http://modis-atmos.gsfc.nasa.gov/IMAGES/index.html); (b) MODIS-derived AOD; (c) MODIS-derived FMF. 왼쪽은 2005년 4월 1일을 가리키며 오른쪽은 같은해 3월 19일 관측값이다=87,116,1

Fig. 3.42. 2005년 3월 29일 관측값=88,117,1

Fig. 3.43. 에어로솔의 분류(Higurashi And Nakajima, 2002)=91,120,1

Fig. 3.44. 학문에서의 에어로솔 분류=91,120,1

Fig. 3.45. 학문분야에서의 에어로솔 분류 알고리듬=92,121,1

Fig. 3.46. 월별/계절별 동아시아 지역에서의 각 에어로솔 유형의 공간분포=95,124,1

Fig. 3.47. (a) 2000년 3월부터 2005년 까지 관측된 평균적 에어로솔 유형 분포; (b) MODIS+TOMS를 이용한 에어로솔 유형 분류; (c) MODIS+OMI를 이용한 에어로솔 유형 분류=96,125,1

Fig. 3.48. (a) MODIS-derived AOD; (b) MODIS-derived FMF; (c) TOMS-derived AI; (d) OMI-derived AI; (e) MODIS+TOMS를 이용한 에어로솔 유형 분류; (f) M2005년 3월 29 MODIS+OMI 관측자료를 이용한 에어로솔 유형 분류=97,126,1

Fig. 3.49. 2005년 4월 1일 관측값=98,127,1

Fig. 3.50. ABC-EAREX2005기간동안 한반도 서해안 대기 중 에어러솔 수농도 관측을 위해 운항 한 기상청 소속 Kisang2000호와 운항 항적도=100,129,1

Fig. 3.51. ABC EAREX2005 기간 동안 Kisang2000에서 관측된 기상요소의 시계열 변화=100,129,1

Fig. 3.52. ABC EAREX2005 기간 동안 Kisang2000에서 관측된 한반도 서해안 대기 중 에어러솔의 수농도 변화=101,130,1

Fig. 3.53. ABC EAREX2005 기간 동안 Kisang2000에서 관측된 한반도 서해안 대기 중 에어러솔의 부피농도=102,131,1

Fig. 3.54. 2005년 3월 2번의 황사기간중 β-ray PM10(Solid Line)과 Aethalometer(Dotted Line) 통해 관측한 에어로솔의 입자 성장: (a) 18(JD 77; 왼쪽), (b) 29(JD 88; 오른쪽)=105,134,1

Fig. 3.55. 2005년 3월 18일 KGAWO에서 OPC(맨위), SMPS(중간)로 관측한 에어로솔의 입경분포 ((JD 77; 왼쪽(족)), 29(JD 88; 오른쪽))=105,134,1

Fig. 3.56. 2005년 3월 13일부터 15일까지 KGAWO에서 OPC(맨위), SMPS(중간)로 관측한 에어로솔의 입경분포 ((JD 77; 왼쪽(족)), 29(JD 88; 오른쪽))=106,135,1

Fig. 3.57. 2월 13일부터 15일까지를 제외하면 Fig. 3.56 같은 의미이다=107,136,1

Fig. 3.58. 서해로부터 시작해 한반도 동해안으로 뻗어나가는 거대한 갈색띠(7월 6일 2005)[내용누락;p.109]=109,138,1

Fig. 3.59. 2005년 7월 5일부터 7일까지 청원에서 관측된 PM10, PM2.5, 시정 , NO2, O3, CO and SO2=110,139,1

Fig. 3.60. 2005년 7월 6일 태안반도로 불어 들어온 Air Mass의 Back Trajectories=110,139,1

Fig. 3.61. 서해안에서부터 한반도 동해안에 이르는 거대한 오염띠 (2000년 7월 30일)=111,140,1

Fig. 3.62. 2005년 7월 28일부터 30일까지 청원에서 관측된 PM10, PM2.5, 시정, NO2, O3 and CO 농도의 시계열 변화=111,140,1

Fig. 3.63. 기상청에서 제공된 2005년 8월 28일에 대한 위성영상과 일기도=112,141,1

Fig. 3.64. 2005년 8월 26일부터 31일까지 청원에서 관측된 PM10, PM2.5, 시정, NO2 and CO 농도의 시계열 변화=113,142,1

Fig. 3.65. 강한 오염띠가 한반도 서해안을 가로질러 한반도에 도달하는 두개의 위성 영상 (2005년 10월 24-25일)=114,143,1

Fig. 3.66. 2005년 10월 24일에서부터 27일까지 청원에서 관측된 PM10, PM2.5, 시정, NO2 and CO 농도의 시계열 변화=115,144,1

Fig. 3.67. 기상청에서 제공한 일기도와 2005년 10월 25일 태안반도로 불어 들어온 Air Mass의 Back Trajectories=115,144,1

Fig. 3.68. 서해안에서부터 한반도 동해안에 이르는 거대한 오염띠 (2000년 11월 10일)=116,145,1

Fig. 3.69. 2005년 11월 10일부터 12일까지 청원에서 관측된 PM10, PM2.5, 시정, NO2, O3 and CO 농도의 시계열 변화=116,145,1

Fig. 3.70. 기상청에서 제공한 일기도와 2005년 11월 10일 태안반도로 불어 들어온 Air Mass의 Back Trajectories=117,146,1

Fig. 3.71. 서해안에서부터 한반도 동해안에 이르는 거대한 오염띠 (2000년 12월 29일)=118,147,1

Fig. 3.72. 2005년 11월 29일부터 30일까지 청원에서 관측된 PM10, 시정, SO2 농도의 시계열 변화=118,147,1

Fig. 3.73. 2005년 12월 30일 태안반도로 불어 들어온 Air Mass의 Back Trajectories=118,147,1

Fig. 3.74. 강한 오염띠가 한반도 서해안을 가로질러 한반도에 도달하는 두개의 위성 영상 (2005년 1월 27일)=121,150,1

Fig. 3.75. 충남, 충북, 청원에서 2006년 1월 27일부터 28일까지 관측한 PM10 농도 시계열 변화=121,150,1

Fig. 3.76. 기상청에서 제공된 2006년 1월 27일에 대한 위성영상과 일기도=122,151,1

Fig. 3.77. 2006년 1월 27일 제주 고층 기상관측소에서의 상층 기상 관측 결과=122,151,1

영문목차

[title page etc.]=0,1,6

Summary=iv,7,3

Contents=vii,10,3

Table Of Contents=x,13,1

Figure Of Contents=xi,14,16

1. Introduction=1,30,7

2. Current Research Status On ABC=8,37,4

3. Experiment And Result=12,41,1

3.1. ABC-EAREX2005=12,41,1

3.1.1. Building Infrastructure And Operation Of Gosan Supersite=12,41,2

3.1.2. International Collaboration=13,42,2

3.1.3. Intensive Observation Period (IOP)=14,43,6

A. Instruments Operated By METRI=19,48,1

(1) Solar And The Earth Radiation Measurement=19,48,1

(2) Aerosols And Their Forcing Measurement=19,48,3

B. Instruments Operated By SNU=21,50,1

(1) Micro Pulse Lidar(MPL)=21,50,4

(2) Trace Gases And Optical Parameter Measurement=25,54,3

3.2. IOP, Intercomparison, And Building DB=28,57,1

3.2.1. Lidar Intercomparison=28,57,2

A. Experiment=29,58,1

(1) Lidar Measurement=29,58,3

(2) Fernald Method=31,60,3

(3) Algorithm For Calculation Of Vertical Aerosol Extinction Coefficient Using AOD From Sunphotometer=33,62,3

B. Intercomparison=36,65,1

(1) Intercomparison Using Fernald Method=36,65,1

(1-1) Path-Length Correction Comparison=36,65,2

(1-2) Extinction Coefficient Comparison=37,66,2

(2) Result From The Algorithm For Calculation Of Vertical Aerosol Extinction Coefficient Using AOD From Sunphotometer=38,67,4

3.2.2. Sunphotometer Intercomparison=42,71,1

A. Data Acquired Through Sunphotometer Measurement=42,71,1

(1) AOD Calculation=42,71,2

(2) Single Scattering Albedo (SSA) Calculation=43,72,1

B. Result Of Intercomparison=44,73,2

(1) AOD=46,75,5

(2) SSA=51,80,2

3.2.3. Aerosol Chemistry=53,82,3

3.3 Atmospheric Aerosol Measurement=56,85,1

3.3.1. Description On Weather Condition During ABC-EAREX2005 IOP=56,85,2

A. March 6 ~ 10=57,86,2

B. March 11 ~ 16=58,87,1

C. March 17 ~ 21=58,87,3

D. March 22 ~ 27=60,89,1

E. March 28 ~ 6=60,89,2

3.3.2 Asian Dust And Pollutant Transport During ABC-EAREX2005 IOP=62,91,1

A. Asian Dust Case=62,91,4

B. Transport Case (March 17, March 31 ~ April 1)=66,95,3

3.3.3. Optical Property Change With Vertical Aerosol Distribution=69,98,7

3.3.4. Analysis Of Aerosol Optical Property Using Satellite Data=76,105,1

A. Satellite Data Analysis=76,105,3

B. East-Asia Aerosol Property For The Period 2000-2005=78,107,1

(1) Distribution Characteristics=78,107,6

C. Aeroso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During ABC-EAREX2005=84,113,1

(1) Monthly And Seasonal Trend In Year 2005=84,113,2

(2)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During ABC-EAREX2005=85,114,4

D. Classification Of Atmospheric Aerosol Type=89,118,1

(1) Classification=89,118,4

(2) Result=93,122,6

3.3.5. Atmospheric Aerosol Measurement Over West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During ABC-EAREX2005=99,128,1

A. OPC Measurement Result At Gosan, KGAWO, And Kisang200=99,128,4

B. SMPS Measurement Result At KGAWO=103,132,1

(1) Asian Dust Case=103,132,2

(2) Nucleation Growth=104,133,4

4. Monitoring Of Atmospheric Pollutant Transport Over West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108,137,2

4.1. Case Study For Atmospheric Pollutant Transport=109,138,1

A. Case Of July 6-7 In Year 2005=109,138,2

B. Case Of July 29-31 In Year 2005=111,140,1

C. Case Of August 27-31 In Year 2005=112,141,2

D. Case Of October 24-25 In Year 2005=113,142,3

E. Case Of November 11 In Year 2005=116,145,2

F. Case Of December 31 In Year 2005=117,146,2

G. Case Of January 27 In Year 2005=119,148,5

5. Estimation And Distribution=124,153,1

6. Future Plan=125,154,1

7. Result Of International Collaboration[내용누락;p.125]=125,154,1

[8. Reference etc.]=126,155,22

Table Of Contents

Table 1.1. Current Research Status=5,34,1

Table 2.1. ABC And Korean Members Of ABC-EAREX2005=11,40,1

Table 3.1. Institutes, Species, And Instruments In ABC-EAREX2005=15,44,4

Table 3.2. Instruments And Infrastructures Of METRI At Gosan Supersite=23,52,1

Table 3.3. Instruments And Infrastructures Of METRI At Gosan Supersite=23,52,1

Table 3.4. MPL Of SNU And NIES Lidar=24,53,1

Table 3.5. Sunphotometers Installed During ABC-EAREX2005=45,74,1

Table 3.6. Bias Difference(BD) And Root Mean Square Difference(RMSD) And Number Of Observations(N) Between Sun/Sky Radiometer A And B In 670 nm And 870 nm Aerosol Optical Depth Comparison=49,78,1

Table 3.7. Data And Database=55,84,1

Table 3.8. Weather Condition During March Through May=57,86,1

Table 3.9. Dust Concentrations(㎍/㎥) In PM10 Measured In Chonnam, Chonbook, Choongnam, Chongwon, Jheju And Seogueepo During 27~28 January 2006=123,152,1

Figure Of Contents

Fig. 1.1. ABC Observed At Gosan Supersite In April 4 2004 And At Baekryoeng-island In May 31 2004=6,35,1

Fig. 1.2. Schematic Diagram For ABC And Cover Of The Book Of Introduction To ABC=6,35,1

Fig. 1.3. Kick-Off Meeting For ABC-EAREX2005 IOP=7,36,1

Fig. 1.4. Gosan Supersite For ABC-EAREX 2005=7,36,1

Fig. 2.1. Measurement Tower And Radiometer At Maldive Supersite=8,37,1

Fig. 3.1. Environment Of Gosan Supersite For ABC-EAREX 2005=13,42,1

Fig. 3.2. Radiation Measurement System Installed By METRI/KMA=20,49,1

Fig. 3.3. Instrumentations For Aerosol Measurement At Gosan Supersite During ABC-EAREX2005=26,55,1

Fig. 3.4. Radiometers Installed At Gosan Supersite During ABC-EAREX2005=26,55,1

Fig. 3.5. Daily Report (17 March 2005) Of ABC-EAREX2005=27,56,1

Fig. 3.6. ABC-EAREX2005 홈페이지(http://abc-gosan.snu.ac.kr)=27,56,1

Fig. 3.7. Schematic Diagram For The Calculation Of The Aerosol Extinction Coefficient In Conjunction With The Columnar AOD Obtained From Co-Located Sunphotometer=34,63,1

Fig. 3.8. Time-Height Image(THI) Of Range-Corrected MPL And NIES Lidar Signal From 25 To 29 May 2005=36,65,1

Fig. 3.9. Comparison Of Aerosol Extinction Coefficients Measured By The MPL(Blue) And The NIES Lidar(Red), Retrieved From Fernald Method On 07 UTC, 25 May 2005=37,66,1

Fig. 3.10. Intercomparison Of Aerosol Extinction Coefficient Determined From Ground-Based Lidar And Aircraft-Based In Situ Measurements(Red)=39,68,1

Fig. 3.11. Time Series Of Aerosol Extinction Coefficient Retrieved From The Algorithm Of(a) Fixed Lidar Ratio And(b) Variable Lidar Ratio Determined Using The AOD Data Of Sun Photometer.(c) Daily Averaged Lidar Ratio Used In(b)=40,69,1

Fig. 3.12. Time Series Of Daily Mean Aerosol Optical Depth(Bar) And Ångstrom Exponent(Circle) During ABC-EAREX2005 Campaign(이미지참조)=48,77,1

Fig. 3.13. Root Mean Square Difference(RMSD) In Aerosol Optical Depth Plotted Against Bias Difference(BD). As Well The Two Different Data Sets At 670 And 870 nm Wavelengths During The ABC-EAREX2005 Campaign, Four Additional Results From Kim et al=48,77,1

Fig. 3.14. Intercomparison Of Single Scattering Albedo At 500 nm Obtained By SNU-SKYNET And MRI(POM2) During The ABC-EAREX2005 Campaign:=52,81,1

Fig. 3.15. Time Series Of PM2.5 Mass Loading Measured By PILS During ABC-EAREX2005(Y. Kondo, The 2nd ABC Data Workshop)=54,83,1

Fig. 3.16. Time Series Of EC And OC Concentrations During ABC-EAREX2005=54,83,1

Fig. 3.17. Wind Rose At The Level Of 700, 850, 925 hPa And Surface At Gosan Supersite. The Left Panel Shows Wind Rose Averaged For March From 1988 To 2004, And The Right Panel Shows Wind Rose Averaged For March In 2005=59,88,1

Fig. 3.18. Time Series Of Meteorological Parameters At Gosan Supersite During ABC-EAREX2005=61,90,1

Fig. 3.19. Time Series Of CO, O3, PM10, PM2.5, Scattering And Absorption Coefficients, Aerosol Optical Depth At 670 nm And Ångstrom Exponent(이미지참조)=63,92,1

Fig. 3.20. Simulation Results Of ADAM From METRI/KMA (March 17 - March 19 00 UTC)=64,93,1

Fig. 3.21. PM10 Concentration Measured At The Gosan Weather Station(Time In Horizontal Axis Is Local Standard Time: GMT+9h)=64,93,1

Fig. 3.22. (a) Weather Chart And (b) The Result Of Backward Trajectory Analysis On 18 March 2005=65,94,1

Fig. 3.23. Lidar Observation At Gosan Supersite From 16 To 20 March 2005=65,94,1

Fig. 3.24. PM 2.5 Mass Loading During ABC-EAREX2005(Y. Kondo, The 2nd ABC Data Workshop)=67,96,1

Fig. 3.25. Same As Fig. 3.22 Except On 17 March 2005=68,97,1

Fig. 3.26. Weather Charts On (a) 31 March And (b) 1 April 2005, And (c) Result Of Backward Trajectory Analysis On 1 April 2005=68,97,1

Fig. 3.27. Monthly Mean Aerosol Optical Depth At 670 nm And Ångstrom Exponent(440 - 870 nm) For March And April At Gosan Obtained By AERONET Sun Photometer From 2001 To 2005(이미지참조)=70,99,1

Fig. 3.28. Time-Height Image(THI) Of Aerosol Extinction Coefficient(AEC) And Depolarization Ratio From 16 To 20 March 2005(Left Column) And From 21 To 25 March 2005(Right Column):(Upper Panel) AEC Obtained By The SNU MPL At 523.5 nm=72,101,1

Fig. 3.29. Same As Fig. 3.28 Except For 26 To 30 March 2005(Left Column) And From 10 To 14 April 2005(Right Column)=73,102,1

Fig. 3.30. Same As Fig. 3.28 Except For 15 To 19 April 2005(Left Column) And From 20 To 24 April 2005(Right Column)=74,103,1

Fig. 3.31. Same As Fig. 3.28 Except For 10 To 14 May 2005(Left Column) And From 25 To 29 May 2005(Right Column)=75,104,1

Fig. 3.32. Backscattered Reflectance Based On Lambertian Surface Reflection[내용누락;p.76]=76,105,1

Fig. 3.33. Scheme Of The Steps Used In The Retrieval Procedure For The Aerosol Optical Depth Over Land And Ocean Surfaces=78,107,1

Fig. 3.34. Spatial Distribution Of (a) Aerosol Optical Depth(AOD) And (b) Fine Mode Fraction(FMF) At 550 nm Over East Asia(20~55°N, 100~150°E) Determined From MODIS Measurements From March 2000 To December 2005=81,110,1

Fig. 3.35. Spatial Distribution Of Monthly And Seasonal Mean AOD(550 nm) Over East Asia Overlapped Wind Vectors At 850 hPa(The AOD Data Were Averaged During 2000~2005)=81,110,1

Fig. 3.36. (a) Monthly Variation Of AOD And FMF At 550 Nm (b) Time Series Of Interannual AOD And FMF At 550 nm Over East Asia Determined From MODIS Measurements From March 2000 To December 2005=82,111,1

Fig. 3.37. (a) Fire Position From MODIS Fire Product(Mod14) During The Period 1~23 May 2003, (b) MODIS Retrieved AOD At 550 nm In May 2003, And (c) MODIS RGB Color Composite Image And Gray-Scale Image Of Band Reflectance On 20 May 2003=82,111,1

Fig. 3.38. Difference Of AOD Between Whole The Analysis Period And Each Year For March Through June=83,112,1

Fig. 3.39. Spatial Distribution Of (a) Seasonal Mean AOD(550 nm) In 2005, (b) 6-Year Mean AOD(550 nm), (c) The Difference Of AOD(550 nm) Between 6-Year And 2005=84,113,1

Fig. 3.40. Spatial Distribution Of (a) Monthly Mean AOD(550 nm) In 2005, (b) 6-Year Mean AOD(550 nm), (c) The Difference Of AOD(550 nm) Between 6-Year And 2005=86,115,1

Fig. 3.41. (a) MODIS RGB Image, (b) MODIS-Derived AOD, And (c) MODIS-Derived FMF On 1 April 2005 (Left Panel) And 19 March 2005 (Right Panel)=87,116,1

Fig. 3.42. Same As Fig. 3.48 Except On 29 March 2005=88,117,1

Fig. 3.43. Principle For Aerosol Type Classification(Higurashi And Nakajima, 2002)=91,120,1

Fig. 3.44. Principle For Aerosol Type Classification In This Study=91,120,1

Fig. 3.45. Aerosol Classification Algorithm Used In This Study=92,121,1

Fig. 3.46. Spatial Distribution Of Monthly And Seasonal Mean Aerosol Types Over East Asia=95,124,1

Fig. 3.47. (a) Mean Aerosol Type In March From 2000 To 2005, (b) Aerosol Type Classification Using MODIS+TOMS Data During The ABC-EAREX2005 Campaign, (c) Same As(b) Except For Using MODIS+OMI Data=96,125,1

Fig. 3.48. (a) MODIS-Derived Aerosol Optical Depth(AOD), (b) MODIS-Derived Fine Mode Fraction(FMF), (c) TOMS-Derived Aerosol Index(AI), (d) OMI-Derived Aerosol Index(AI), (e) Aerosol Type Classification Using MODIS+TOMS Data=97,126,1

Fig. 3.49. Same As Fig 3.48 Except For On 1 April 2005=98,127,1

Fig. 3.50. Ship Tracks Of Kisan2000 For Measurement Of Atmospheric Aerosol Over West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During ABC-EAREX2005=100,129,1

Fig. 3.51. Time Series Of Wether Condition Change On Kisang2000=100,129,1

Fig. 3.52. Variation Of Number Concentration Of Atmospheric Aerosol=101,130,1

Fig. 3.53. Variation Of Volume Concentration Of Atmospheric(Atmospehric) Aerosol=102,131,1

Fig. 3.54. Time Evolution Of The Mass Concentration Measured By β-Ray PM10(Solid Line) And Aethalometer(Dotted Line) For 2 Asian Dust Events:(a) 18(JD 77; Left) And (b) 29(JD 88; Right) March 2005=105,134,1

Fig. 3.55. OPC(Top) And SMPS(Middle) Number Size Distributions Measured In KGAWO At 18(JD 77; Left) And 29(JD 88; Right) March 2005. The Contours Represent The Number Concentration(#/cm3) At A Given Size Shown On The Ordinate For Each Time On The Abscissa=105,134,1

Fig. 3.56. The Same As Figure 2.2.2 Except For The Particle Formation And Growth Cases From 13 To 15(JD 71 ~ 73; Left) And From 25 To 26(JD 83 ~ 84; Right) March 2005=106,135,1

Fig. 3.57. The Same As Fig. 3.54 Except For Measurements At The Nucleation And Particle Growth Cases(Upper : 13 ~ 15 March 2005, Bottom : 25 ~ 26 March 2005)=107,136,1

Fig. 3.58. A Satellite Image Showing An Extensive Brown(Purple) Cloud From The Yellow Sea Via South Korea To Korea East Sea(6 July 2005)[내용누락;p.109]=109,138,1

Fig. 3.59. Variations Of PM10, PM2.5, Visibility, NO2, O3, CO And SO2 Observed At Chongwon During 5-7 July 2005=110,139,1

Fig. 3.60. Trajectories Arriving At Tae-Ahn Peninsula(TAP) On 6 July 2005=110,139,1

Fig. 3.61. A Satellite Image Showing An Extensive Polluted Air Mass Over The Yellow Sea, Korea And Korea East Sea(30 July 2005)=111,140,1

Fig. 3.62. Variations Of PM10, PM2.5, Visibility, NO2, O3 And CO Observed At Chongwon During 28~31 July 2005=111,140,1

Fig. 3.63. A Satellite Image And Surface Meteorological Map By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28 August 2005)=112,141,1

Fig. 3.64. Variations Of PM10, PM2.5, Visibility, NO2 And CO Observed At Chongwon During 26~31 August 2005=113,142,1

Fig. 3.65. Two Satellite Images Showing Extensive Polluted Air Masses Over The Yellow Sea Crossing The Korean Peninsula(24 And 25 October 2005)=114,143,1

Fig. 3.66. Variations Of PM10, PM2.5, Visibility, NO2 And CO Observed At Chongwon During 24~27 October 2005=115,144,1

Fig. 3.67. A Surface Meteorological Map By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And Trajectories Arriving At Tae-ahn Peninsula(TAP) On 25 October 2005=115,144,1

Fig. 3.68. Two Satellite Images Showing Extensive Polluted Air Masses Over The Yellow Sea, Korea And Korea East Sea(10 November 2005)=116,145,1

Fig. 3.69. Variations Of PM10, PM2.5, Visibility, NO2, O3, CO And SO2 Observed At Chongwon During 10~12 November 2005=116,145,1

Fig. 3.70. A Surface Meteorological Map By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And Trajectories Arriving At Tae-ahn Peninsula(Tap) On 10 November 2005=117,146,1

Fig. 3.71. A Satellite Image Showing An Extensive Polluted Air Mass Over The Yellow Sea, Korea And Korea East Sea(29 December 2005)=118,147,1

Fig. 3.72. Variations Of PM10, Visibility And SO2 Observed At Chongwon During 29~31 December 2005=118,147,1

Fig. 3.73. Trajectories Arriving At Tae-ahn Peninsula(TAP) On 30 December 2005=118,147,1

Fig. 3.74. Two Satellite Images Showing Extensive Polluted Air Masses Over The Yellow Sea Moving To SW Korea And Crossing To Jheju Island(Hanra Mts) Producing Von Karman Vortices(27 January 2006)=121,150,1

Fig. 3.75. Hourly Variations Of PM10 Concentrations Observed At Chonnam, Chonbook, Choongnam And Chongwon On 27 And 28 January 2006=121,150,1

Fig. 3.76. A Surface Meteorological Map And A 850-hPa Map By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27 January 2006)=122,151,1

Fig. 3.77. An Upper-Air Sounding Chart At Jheju(27 January 2006)=122,151,1

칼라목차

jpg

Fig. 3.8. 2005년 3월 25일부터 29일까지 제주 고산관측소에 설치된 Range-corrected MPL과 NIES Lidar를 이용한 에어로솔의 연직 분포 관측결과=36,65,1

Fig. 3.9. 2005년 3월 25일 07:00 UTC에 MPL과 NIES Lidar로부터 얻어진 에어로솔 광소산계수 관측값 비교=37,66,1

Fig. 3.11. (a) Fixed Lidar Ratio, Sun Photometer로부터 얻어진 AOD을 이용한 (b) Variable Lidar Ratio 그리고 (c) 이것의 일평균 Lidar Ratio을 이용해 계산한 에어로솔 광소산계수의 시계열값=40,69,1

Fig. 3.15. PILS에 의해 관측된 PM2.5의 질량 농도 시계열 변화 (Y. Kendo, The 2nd ABC Data Workshop)=54,83,1

Fig. 3.16. EC와 OC 농도의 시계열 변화=54,83,1

Fig. 3.17. 고산관측소 지상, 700, 850, 925 hPa 바람장미. 왼쪽은 지난 1988년부터 2004년까지의 평균이며 오른쪽은 2005년 3월 평균이다=59,88,1

Fig. 3.19. AOD(670 nm), Ångstrom Exponent, 흡수 및 산란계수, CO, O3, PM10, PM2.5 농도의 시계열 변화(이미지참조)=63,92,1

Fig. 3.22. 2005년 3월 18일 (a) 일기도, (b) Backward Trajectory 분석 결과=65,94,1

Fig. 3.23. 3월 16일부터 20일 까지 Lidar 관측 결과=65,94,1

Fig. 3.24. PM2.5 질량농도 변화 (Y. Kendo, The 2nd ABC Data Workshop)=67,96,1

Fig. 3.25. 2005년 3월 17일 (a) 일기도, (b) Backward Trajectory 분석 결과=68,97,1

Fig. 3.26. 2005년 3월 31 (a) 일기도와 2005년 4월 1일 (a) 일기도, (b) Backward Trajectory 분석 결과=68,97,1

Fig. 3.28. 2005년 3월 16일부터 20일까지 관측된 에어로솔 광소산계수의 시계열 변화와 (오른쪽); (윗쪽) SNU MPL (523.5 nm)에서 얻어진 AEC; (중간) NIES Lidar (532 nm) 에서 얻어진 AEC; (아랫부분) NIES Lidar 얻어진 Depolarization Ratio=72,101,1

Fig. 3.29. 왼쪽이 2005년 3월 26일 30일까지 관측되어진 값이란 것과 오른쪽이 4월 10일부터 11일까지 관측된 값이란 것만 빼고는 Fig. 3.28 일치한다=73,102,1

Fig. 3.30. 왼쪽이 2005년 3월 15일 19일까지 관측되어진 값이란 것과 오른쪽이 4월 20일부터(붜) 24일까지 관측된 값이란 것만 빼고는 Fig. 3.28 일치한다=74,103,1

Fig. 3.31. 왼쪽이 2005년 3월 10일 14일까지 관측되어진 값이란 것과 오른쪽이 4월 25일부터 29일까지 관측된 값이란 것만 빼고는 Fig. 3.28 일치한다=75,104,1

Fig. 3.34. 동아시아 지역 (20-55°N, 100~150°E) 550 nm로 관측한 3.34. (a) AOD의 공간 분포 (2000년 3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MODIS 관측 결과)=81,110,1

Fig. 3.35. 850 hPa 바람장과 계절별 AOD의 공간분포=81,110,1

Fig. 3.36. (a) 550 nm에서 관측된 AOD와 FMF의 월변화 (b) 2000년 3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MODIS 위성 550 nm에서 관측된 AOD와 FMF의 연간변화=82,111,1

Fig. 3.37. (a) 2003년 3월에 관측된 Biomass Burning 지점; (b) 2003년 3월 MODIS 위성 550 nm 채널로부터 얻어낸 AOD; (c) 2003년 3월20일 관측된 MODIS RGB 영상과 흑백 영상=82,111,1

Fig. 3.38. 2000년부터 2005년까지 MODIS 위성에서 얻어낸 각 월별 AOD=83,112,1

Fig. 3.39. (a) 2005년 계절별 AOD 변화 공간분포; (b) 6년 평균 AOD; (c) (a)와 (b)의 차이=84,113,1

Fig. 3.40. (a) 2005년 각 월별 AOD 변화 공간분포; (b) 6년 평균 AOD; (c) (a)와 (b)의 차이=86,115,1

Fig. 3.41. (a) MODIS RGB 영상(http://modis-atmos.gsfc.nasa.gov/IMAGES/index.html); (b) MODIS-derived AOD; (c) MODIS-derived FMF. 왼쪽은 2005년 4월 1일을 가리키며 오른쪽은 같은해 3월 19일 관측값이다=87,116,1

Fig. 3.42. 2005년 3월 29일 관측값=88,117,1

Fig. 3.48. (a) MODIS-derived AOD; (b) MODIS-derived FMF; (c) TOMS-derived AI; (d) OMI-derived AI; (e) MODIS+TOMS를 이용한 에어로솔 유형 분류; (f) M2005년 3월 29 MODIS+OMI 관측자료를 이용한 에어로솔 유형 분류=97,126,1

Fig. 3.49. 2005년 4월 1일 관측값=98,127,1

Fig. 3.54. 2005년 3월 2번의 황사기간중 β-ray PM10(Solid Line)과 Aethalometer(Dotted Line) 통해 관측한 에어로솔의 입자 성장: (a) 18(JD 77; 왼쪽), (b) 29(JD 88; 오른쪽)=105,134,1

Fig. 3.55. 2005년 3월 18일 KGAWO에서 OPC(맨위), SMPS(중간)로 관측한 에어로솔의 입경분포 ((JD 77; 왼쪽(족)), 29(JD 88; 오른쪽))=105,134,1

Fig. 3.56. 2005년 3월 13일부터 15일까지 KGAWO에서 OPC(맨위), SMPS(중간)로 관측한 에어로솔의 입경분포 ((JD 77; 왼쪽(족)), 29(JD 88; 오른쪽))=106,135,1

Fig. 3.63. 기상청에서 제공된 2005년 8월 28일에 대한 위성영상과 일기도=112,141,1

Fig. 3.74. 강한 오염띠가 한반도 서해안을 가로질러 한반도에 도달하는 두개의 위성 영상 (2005년 1월 27일)=121,150,1

Fig. 3.75. 충남, 충북, 청원에서 2006년 1월 27일부터 28일까지 관측한 PM10 농도 시계열 변화=121,150,1

Fig. 3.76. 기상청에서 제공된 2006년 1월 27일에 대한 위성영상과 일기도=122,151,1

Fig. 3.77. 2006년 1월 27일 제주 고층 기상관측소에서의 상층 기상 관측 결과=122,1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