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표제지]=0,1,1

발간사=0,2,3

목차=0,5,5

표목차=0,10,3

그림목차=0,13,2

요약=1,15,12

제1장 서론/연태훈=13,27,2

제1절 기업경영권이란 무엇인가?=14,28,2

제2절 기업경영권 관련 논의의 대두와 외국자본=15,29,11

제3절 기업경영권 관련 이슈=25,39,12

제4절 본고의 구성 및 연구개요=36,50,8

참고문헌=44,58,3

제I부 해외자본의 역할에 대한 이해=47,61,2

제2장 외국인투자자 비중 확대와 자본시장의 안정성/박창균=49,63,1

제1절 서론=49,63,4

제2절 외국인의 주식시장 진출 확대=52,66,5

제3절 실증분석=56,70,41

제4절 결론=97,111,2

참고문헌=99,113,3

(부록 1) 기초통계량=102,116,1

(부록 2) L²와 L³ 에 대한 회귀분석결과=103,117,6

제3장 외국인투자자 비중 확대와 배당 및 투자/박창균=109,123,1

제1절 서론=109,123,3

제2절 실증분석=111,125,34

제3적 결론=144,158,4

참고문헌=148,162,2

(부록) 기초통계량=150,164,3

제4장 해외자본과 기업지배구조 및 기업가치에 대한 실증분석:비금융 상장기업을 중심으로/조성빈=153,167,1

제1절 서론=153,167,4

제2절 해외자본의 역할에 대한 선행 연구=156,170,6

제3절 실증분석=161,175,14

제4절 외국인 지분율과 기업가치의 관계=175,189,5

제5절 분석의 종합 및 결론=179,193,2

참고문헌=181,195,4

제5장 외국자본의 은행산업 진입 확대에 대한 이해와 규제/김현욱=185,199,1

제1절 논의의 배경=185,199,3

제2절 외국자본의 은행산업 진입에 대한 이해=187,201,29

제3절 외국자본 진입과 관련한 은행 규제=215,229,22

제4절 요약 및 결론=236,250,5

참고문헌=241,255,3

(참고) 국내 은행산업에 진입한 외국자본의 성과평가에 있어 주의할 사항들=244,258,2

(부록) 은행 임원의 거주ㆍ국적 제한에 관한 외국의 사례=246,260,13

제II부 경영권 방어 형태 및 관련 제도에 대한 분석=259,273,2

제6장 기업경영권에 있어서 출자의 역할에 대한 분석/임경묵=261,275,1

제1절 서론=261,275,3

제2절 지배권 기역지수의 도츨=263,277,8

제3절 재벌의 출자구조 및 행태 분석=271,285,13

제4절 결론=283,297,2

참고문헌=285,299,2

제7장 기업경영권 방어와 자사주 보유에 대한 분석/연태훈=287,301,1

제1절 서론=287,301,4

제2절 우리나라의 자사주 보유 및 관련 제도 현황=290,304,7

제3절 기존 연구=296,310,9

제4절 실증분석=304,318,16

제5절 결론=319,333,4

참고문헌=323,337,3

(부록) 해외 각국의 자사주 관련 규제현황=326,340,11

제III부 법ㆍ경제학적 관점에서 바라본 경영권관련 제도의 개선방안=337,351,2

제8장 기업집단에 대한 시장규율과 규제규율 : 이론과 정책적 함의/전성인=339,353,1

제1절 문제의제기=339,353,4

제2절 기업집단구조의 특이성=342,356,11

제3절 기업집단에 대한 규제규율=352,366,16

제4절 기업집단에 대한 시장규율=367,381,20

제5절 요약 및 결론=386,400,2

참고문헌=388,402,1

부록: 본문에서 인용된 독일 주식회사법의 주요 조문=389,403,6

제9장 지배주주 소유구조와 경영권 방어법제/송옥렬=395,409,1

제1절 문제의 제기=395,409,4

제2절 기업지배권 시장=399,413,8

제3절 경영권 방어와 주주이익: 일반이론=407,421,8

제4절 지배주주 소유구조와 경영권 방어=414,428,16

제5절 의무공개매수=429,443,14

제6절 결어: 지배주주 시스템에서의 경영권 방어=442,456,3

제10장 적대적 M&A와 기업방어전략:포이즌필의 현행법상 가능성과 타당성을 중심으로/정순섭=445,459,1

제1절 서론=445,459,4

제2절 적대적 M&A의 의의와 평가=448,462,10

제3절 적대적 M&A와 기업방어전략의 필요성=457,471,8

제4절 외국 입법례=465,479,37

제5절 현행법상 포이즌필의 타당성과 가능성=501,515,26

제6절 결론=527,541,2

참고문헌=529,543,4

(참고자료 1)=533,547,4

(참고자료 2) 사채발행과 내용통제 필요성=537,551,3

(참고자료 3) 일본후생연금기금연합회, 기업매수방어수단에 관한 주주의결권행사의 판단기준(2005.4.28)("발췌")=540,554,1

(참고자료 4) 미국 각주의 반기업 매수법=541,555,2

[연구보고서 안내 등]=543,557,14

[판권지]=557,571,1

표목차

(표 1-1) 우리나라 주요 M&A 관련 정책의 변화=16,30,2

(표 1-2) 주요 국내기업의 외국인 지분율=22,36,1

(표 1-3) 국내 일반은행 외국인 지분율=23,37,1

(표 1-4) 적대적 M&A 방어책의 국가별 비교=28,42,1

(표 2-1) 외국인 주식 소유 한도의 변화=53,67,1

(표 2-2) 외국인투자자의 기간별 H-지수=61,75,1

(표 2-3) 주식 특성별 H-지수: 시가총액, 수익률, 거래량, 변동성, 베타=62,76,1

(표 2-4) H-지수와 주식의 특성: 회귀분석=63,77,1

(표 2-5) H-지수와 비정상 수익를: 주별 자료=66,80,1

(표 2-6) D-지수: 수익률 분위별=70,84,1

(표 2-7) D-지수와 주식의 특성: 회귀분석=72,86,1

(표 2-8) D-지수와 비정상 수익률=73,87,1

(표 2-9) 주요 변수의 정의: 유동성 분석=86,100,1

(표 2-10) 외국인투자자와 유동성 지표 L¹ : I=87,101,1

(표 2-11) 외국인투자자와 유동성 지표 L¹ : II=88,102,1

(표 2-12) 외국인투자자와 유동성 지표 L⁴: I=89,103,1

(표 2-13) 외국인투자자와 유동성 지표 L⁴: II=90,104,1

(표 2-14) 그랜저 인과관계 검정 I=94,108,1

(표 2-15) 그랜저 인과관계 검정 II=94,108,1

(부표 2-1) 회귀분석에 사용된 변수의 기초통계량=102,116,1

(부표 2-2) 외국인투자자와 유동성 지표 L² : I=103,117,1

(부표 2-3) 외국인투자자와 유동성 지표 L² : II=104,118,1

(부표 2-4) 외국인투자자와 유동성 지표 L³ : I=105,119,1

(부표 2-5) 외국인투자자와 유동성 지표 L³ : II=106,120,1

(표 3-1) 주요 변수의 정의 : 배당성향 분석=121,135,1

(표 3-2) 외국인투자자와 배당성향: I=123,137,1

(표 3-3) 외국인투자자와 배당성항: II=124,138,1

(표 3-4) 외국인투자자와 배당성향: III=128,142,1

(표 3-5) 외국인투자자와 배당성향: IV=129,143,1

(표 3-6) 그랜저 인과관계 검정 통계량=130,144,1

(표 3-7) 외국인투자자와 배당률=131,145,1

(표 3-8) 배당모형의 추정결과=134,148,1

(표 3-9) 주요 변수의 정의: 투자율 분석=140,154,1

(표 3-10) 투자와 외국인 지분 증가: I=141,155,1

(표 3-11) 투자와 외국인 지분 증가: II=142,156,1

(표 3-12) 그랜저 인과관계 검정: 투자와 외국인 지분율=144,158,1

(부표 3-1) 배당 관련 회귀분석에 사용된 변수의 기초통계량=150,164,1

(부표 3-2) 투자 관련 회귀분석에 사용된 변수의 기초통계량=151,165,1

(표 4-1) 주식 수 기준 소유자별 주식소유구조 분포=154,168,1

(표 4-2) 시가총액 기준 주요 국가의 외국인 주식소유비증=155,169,1

(표 4-3) 외국인 지분율 : 기초통계량=162,176,1

(표 4-4) 사외이사비율 : 기초통계량=164,178,1

(표 4-5) 의결권 승수 : 기초통계량=165,179,1

(표 4-6) 인과관계의 검정=166,180,1

(표 4-7) 고정효과모형 추정: 외국인 지분율과 사외이사비율의 관계=169,183,1

(표 4-8) 고정효과모형 추정: 외국인 지분율과 의결권 승수의 관계=170,184,1

(표 4-9) 동태적 페널모형의 추정: 외국인 지분율과 사외이사비율의 관계=172,186,1

(표 4-10) 동태적 페널모형의 추정: 외국인 지분율과 의결권 승수의 관계=174,188,1

(표 4-11) 외국인 지분율과 기업가치의 관계 - 전체 표본=176,190,1

(표 4-12) 외국인 지분율과 기업가치의 관계 - 대규모 기업집단 소속기업=177,191,1

(표 5-1) 국내은행에 대한 외국인 지분율 추이=190,204,1

(표 6-1) 삼성그룹 계열사별 지배권 기여지수(2005년 기준)=272,286,1

(표 6-2) 기업집단별ㆍ연도별 CI₁기준 1위 기업의 지배권 기여지수 추이=273,287,1

(표 6-3) 연도별 출자총액 및 순자산 변동 추이=277,291,1

(표 6-4) 연도별 지배 기역지수와 총수일가 지분 간의 관계=279,293,1

(표 6-5) 전 표본기간(1997-2005)에 대한 회귀분석=280,294,1

(표 6-6) 1997년에 대한 회귀분석=281,295,1

(표 6-7) 1998년 이후 기간에 대한 회귀분석=282,296,1

(표 7-1) 상장법인 자기주식 보유 추이=291,305,1

(표 7-2) 주요 그룹의 자기주식 보유 현황=293,307,1

(표 7-3) 주요 그룹 연도별 자사주 보유비중=293,307,1

(표 7-4) 평가손익 현황=294,308,1

(표 7-5) 기존 실증분석에서 사용된 변수의 요약=302,316,1

(표 7-6) 종속변수 및 설명변수의 정의=308,322,1

(표 7-7) 주요 표본의 기초통계량(유가증권시장 및 코스닥, n=1,374)=309,323,1

(표 7-8) 주요 표본의 기초통계량제벌(상호출자제한 대상기업, n=243)=310,324,1

(표 7-9) 소유구조와 자사주 보유(전체 기업)=311,325,1

(표 7-10) 소유구조와 자사주 보유(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 소속 기업)=312,326,1

(표 7-11) 소유구조와 자사주 보유(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 소속 기업)=313,327,1

(부표 7-1) 각국의 자사주 관련 제도 현황=336,350,1

그림목차

[그림 1-1] 우리나라에 대한 외국인적접투자 추이(신고액 기준)=19,33,1

[그림 1-2] 우릭나라 주식시장에서 외국자본의 비중 추이=20,34,1

[그림 1-3] 지분 5% 이상 보유 외국인 주주가 존재하는 기업 수=21,35,1

[그림 1-4] 외국인에 의한 기업경영권 확보의 용이도 변화=30,44,1

[그림 1-5] 외국인에 의한 기업경영권 확보의 자유도(10점 만점, 2005년 기준)=31,45,1

[그림 1-6] (주)SK 주가추이 및 경영권 분쟁 내용=32,46,1

[그림 2-1] 외국인 주식 거래비중 추이=54,68,1

[그림 2-2] 월간 외국인 순애수 규모와 종합주가지수 추이=54,68,1

[그림 2-3] 외국인 주식 보유비중=55,69,1

[그림 2-4] 충격반응함수: 외국인 지분율 → 유동성(거래량)=96,110,1

[그림 2-5] 충격반응함수: 외국인 지분율 → 유동성(Amviest 지수)=96,110,1

[그림 5-1] 내ㆍ외국계 시중은행의 수익성 비교=203,217,1

[그림 5-2] 내ㆍ외국계 시중은행의 자산건전성 비교=203,217,1

[그림 5-3] 내ㆍ외국계 시중은행의 자본적정성 비교=204,218,1

[그림 5-4] 내ㆍ외국계 시중은행의 비용효율성 비교=205,219,1

[그림 5-5] 내ㆍ외국계 시중은행의 순이자마진 비교=206,220,1

[그림 5-6] 내ㆍ외국계 시중은행의 자산운용행태 비교=208,222,2

[그림 6-1] 삼성 계열사들의 주요 출자관계=264,278,1

[그림 6-2] 기존 출자구조=266,280,1

[그림 6-3] A사의 타 계열사에 대한 출자가 없다고 가정하였을 경우=267,281,1

[그림 6-4] A사에 대한 계열사의 피출자가 없다고 가정하였을 경우=267,281,1

[그림 6-5] A사와 계열사의 모든 출자관계가 사라졌다고 가정할 때=268,282,1

[그림 6-6] SK C&C의 지배권 기여지수 및 통제권=275,289,1

[그림 6-7] 2005년 기준 CI(I), 1위 기업의 과거 순위 및 지배권 기여지수 추이(이미지 참조)=275,289,1

[그림 6-8] 2005년 기준 CI(I), 2위 기업의 과거 순위 및 지배권 기여지수 추이(이미지 참조)=276,290,1

[그림 6-9] 2005년 기준 CI(I), 1위 기업의 과거 순위 및 지배권 기여지수 추이(이미지 참조)=277,291,1

[그림 6-10] 2005년 지배권 기여지수 1위 기업의 총수일가 지분 추이=283,297,1

[그림 7-1] 자기주식 취득 및 처분금액 추이(억원, 유가증권시장)=292,306,1

[그림 8-1] 내부거래의 여러 유형=346,360,1

[그림 9-1] 지배주주에 대한 사적 이익의 보상규칙:예시=420,434,1

[그림 9-2] 시장원칙과 평등기회원칙의 비교: 예시=438,452,1

[그림 9-3] 의무공개매수의 효과: 예시=442,45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