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표제지]=0,1,1

제출문=7,2,1

목차=8,3,1

표목차=9,4,1

그림목차=10,5,1

요약=11,6,27

I. 서론=38,33,3

II. 국고지원의 현황분석=41,36,1

1. 국고지원의 연혁=41,36,4

2. 재정공동사업에 의한 지역보험 지원=44,39,2

3. 국고지원의 추이=46,41,5

III. 국고지원방식에 관한 기존 연구와 외국의 사례=51,46,1

1. 국고지원방식에 관한 기존 연구=51,46,3

2. 국고지원방식에 관한 해석 및 국고차등지원방안=53,48,12

3. 외국의 사례=65,60,12

IV. 국고지원에 대한 비판적 논의 검토=77,72,1

1. 현행 국고지원방식에 대한 비판과 대안들=77,72,2

2. 현행 국고지원방식에 대한 비판의 타당성 검토=79,74,15

V. 국고지원의 방향=94,89,1

1. 국고지원의 기본방향=94,89,1

2. 국고지원의 적정 규모=94,89,2

3. 국고지원방식=95,90,4

VI. 정책과제=99,94,2

참고문헌=101,96,2

부록=103,98,2

부록 1. 제1차 전문가 자문회의 회의록=105,100,4

부록 2. 제2차 전문가 자문회의 회의록=109,104,4

부록 3. 국회 공청회 회의록=113,108,8

표목차

(표1-1) 건강보험 국고지원의 법률 규정=39,34,1

(표2-1) 지역의료보험의 국고 및 재정공동사업 이전 추이=45,40,1

(표2-2) 건강보험재정에서 국고지원의 위치=47,42,1

(표2-3) 국민건강보험 재정수지=47,42,1

(표2-4) 국고지원 내역(2005년)=50,45,1

(표3-1) 일본의 건강보험체계=66,61,1

(표3-2) 일본의 국고보조금 지원내역=68,63,1

(표3-3) 일본 건강보험의 재원조달 현황(2002년 기준)=69,64,1

(표3-4) 대만 건강보험의 피부양자 유형별 재원분담률=71,66,1

(표3-5) 대만 중앙건강보험 재정수지(2003년)=72,67,1

(표3-6) 프랑스의 질병보험제도=73,68,1

(표3-7) 독일의 의료보험 조합 기준 피보험자의 분류(2003년)=74,69,1

(표3-8) 2003년 독일의 의료보험 조합집단별 수입의 각 부문별 비율=74,69,1

(표3-9) 의료보험 조합집단별 재정 현황(2003년)=75,70,1

(표3-10) OECD 국가 중 사회보험방식 국가의 국고지원 현황=76,71,1

(표4-1) 지역보험료 경감기준(세대별 경감)=84,79,2

(표5-1) 연도별 지역재정의 50%가 총재정에서 차지하는 비중=94,89,1

(표5-2) 외국의 건강보험 국고지원 규모 및 지원방식=95,90,1

(표5-3) 국고지원방식의 대안별 장단점=98,93,1

그림목차

[그림2-1] 건강보험 재정수지와 국고지원율의 증감=48,43,1

[그림2-2] 총재정 중 국고지원 비중=48,43,1

[그림2-3] 지역재정 중 국고지원비중=49,44,1

[그림2-4] 일반회계 증가율과 국고지원 증가율 비교=49,44,1

[그림3-1] 정액지원 가정 하에서의 국고지원방식=54,49,1

[그림3-2] 정률지원 가정 하에서의 국고지원방식=54,49,1

[그림3-3] 차등지원 가정 하에서의 국고지원방식=55,50,1

[그림3-4] 평준보험료개념에 의한 차등지원방식=57,52,1

[그림3-5] 보험료의 등급별 보험료분포=58,53,1

[그림3-6] 보험료 등급별 세대수 분포와 보험료 부담비율 분포=58,53,1

[그림3-7] 국고차등지원시 국고의 증감구간=60,55,1

[그림3-8] 국고차등지원 방안별 국고차등지원액의 변동비교(I안)=61,56,1

[그림3-9] 국고차등지원 방안별 국고차등지원액의 변동비교(II안)=61,56,1

[그림3-10] 국고차등지원 방안별 국고차등지원액의 변동비교(III안)=62,57,1

[그림3-11] 소득계층별 국고차등지원 보험료 예시=63,58,1

[그림4-1] 지역가입자의 소득계층별 보험료 대비 보험급여=79,74,1

[그림4-2] 보험료 등급별 세대수 분포=80,75,1

[그림4-3] 보험료등급별 보험료부담 분포=80,75,1

[그림4-4] 보험료 등급별 세대수 및 보험료부담분포=81,76,1

[그림4-5] 직장과 지역가입자의 과세소득분포 비교=81,76,1

[그림4-6] 현행 지역가입자 보험료부과체계=83,7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