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표제지]=0,1,1

머리말=0,2,1

목차=0,3,2

표 목차=0,5,1

그림 목차=0,6,1

요약=1,7,12

I. 서론=13,19,1

1. 연구배경 및 목적=13,19,3

2. 연구 범위=15,21,4

II. 현황 및 문제점=19,25,1

1. 보험금 청구 및 지급심사 현황=19,25,3

2. 문제점=21,27,5

III. 의료공급자가 본인부담금에 미치는 영향=26,32,1

1. 의료공급자가 의료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론적 배경=26,32,3

2. 데이타 및 정성적 분석=28,34,8

3. 실증분석 결과=35,41,7

4. 소비자 만족도와 유인수요=41,47,2

IV. 개선방안=43,49,1

1. 의료급여사실확인원 발급제도와 진료기록 열람권제도 시행=43,49,3

2. 직불급여제도 도입=45,51,13

3. 비급여부분의 의료수가체계 정비=57,63,2

4. 민영건강보험 약관의 표준화=58,64,2

V. 기대효과=60,66,1

1. 의료비 절감 및 보험료 인하효과=60,66,1

2. 저소득층의 의료접근성 향상효과=60,66,4

3. 소비자이익 보호효과=63,69,2

VI. 결론=65,71,2

참고문헌=67,73,2

부록=69,75,1

I. 입법 제안=69,75,4

II. OECD의 보험자와 의료공급자의 관계=73,79,4

[보험개발원(KIDI) 발간물 안내 등]=77,83,13

저자약력=90,96,1

[판권지]=90,96,1

표목차

(표 I-1) 제3보험의 세분류=17,23,1

(표 III-1) 실질본인부담율 추이=29,35,1

(표 III-2) 기술 통계=31,37,1

(표 III-3) 총의료비와 본인부담의료비에 미치는 영향=36,42,1

(표 III-4) 기준수가에 의한 급여부분 의료비와 비급여부분에 미치는 영향=40,46,1

(표 IV-1) 표준화된 메디갭 보험상품=59,65,1

(표 V-1) 연도별 생명보험 상품별 가입률 변화=61,67,1

(표 V-2) 2004년 주요 생명보험종목의 소득 수준별 가입률=62,68,1

(표 V-3) 국민건강보험 적용인구당 지급건수=64,70,1

그림목차

(그림 III-1) 적용인구당 진료비(급여비+법정본인부담금) 추이=33,39,1

(그림 III-2) 적용인구당 지급건수 추이=33,39,1

(그림 III-3) 입원비 본인부담 추이=34,40,1

(그림 III-4) 외래+약국비 본인부담 추이=34,40,1

(그림 III-5) 본인부담금과 급여비 추이(입원+외래+약국)=35,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