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제주 CI / 제주도기

발간사 / 김태환

축사 / 양우철

제주도의 상징물

사진으로 보는 제주 역사

일러두기

목차

제1장 선사시대 44

제1절 제주 선사문화의 시기구분 44

제2절 구석기시대의 환경과 유적 48

1. 섬의 형성 과정과 홍적세 환경 48

2. 구석기 유적의 성격과 검토 49

제3절 신석기문화의 형성과 전개 53

1. 신석기문화의 형성과 전개 53

2. 신석기 주민의 생활상 71

제4절 무문토기 주민의 정착과 마을 형성 75

1. 무문토기 주민의 정착과 마을 형성 75

2. 마을 형성을 알리는 대표적인 유적들 79

제5절 탐라 형성기와 거점 취락 85

1. 취락 형성 85

2. 탐라수장의 묘제인 고인돌(支古墓)의 축조 107

3. 탐라소국으로 가는 세력집단의 형성 111

제6절 탐라의 물자 교류 114

제7절 탐라국의 형성과 전개 117

1. 탐라국의 형성과 발전에 대한 견해 117

2. 탐라국의 형성 119

3. 탐라국 주민의 생활용기에 대한 분석 123

4. 탐라국의 대표적인 유적들 127

제8절 선사문화 연구의 현황과 과제 139

제2장 탐라시대 전기 146

제1절 중국사서(中國史書)에 나타난 고대사의 쟁점 146

제2절 우리나라 사서(史書)에 나타난 고대사의 쟁점 157

제3절 국가 형성에 관한 여러 견해 165

제4절 대외관계 181

1. 마한과의 관계 181

2. 백제와의 관계 181

3. 신라와의 관계 183

4. 고구려와의 관계 184

5. 중국과의 관계 184

6. 일본과의 관계 185

제5절 성주(星主) 시대 188

1. 성주의 등장 188

2. 성주와 조공(朝貢) 199

3. 성주와 무산계(武散階) 204

제6절 제주고씨(濟州高氏)의 개막 213

1. 고씨성(高氏姓)의 성립 213

2. 고유(高維) 219

3. 고조기(高兆基) 224

제7절 외관(外官)시대 228

1. 탁라구당사(乇羅勾當使) 228

2. 외관(外官) 내도(來島) 232

3. 제주민(濟州民)의 반란 245

제3장 탐라시대 후기 254

제1절 제주 삼별초(三別抄)의 대몽항쟁(對蒙抗爭) 254

1. 삼별초의 제주 진입 254

2. 제주 삼별초의 항몽활동(抗蒙活動) 257

제2절 제주와 몽골의 만남과 제주사회의 변화 261

1. 원(元) 간섭기와 제주 261

2. 몽골의 탐라(耽羅) 국립목장 설치 262

3. 몽골족의 제주 정착과 제주민과의 혼인 265

4. 행정단위의 개편 267

5. 법화사(法華寺)의 중창(重創) 270

6. 제주·몽골의 첫 만남에 대한 이해와 그 전망 273

제3절 탐라의 몽골족 목호세력(牧胡勢力)과 고려의 충돌 275

1. 탐라사회와 공민왕(恭愍王)의 반원정책(反元政策) 275

2. 탐라 목호와 고려의 공방전 280

3. 원(元)·명(明) 교체기 탐라 목호세력과 고려의 충돌 284

4. 탐라 목호세력과 최영(崔塋) 장군의 결전 286

5. 최영 장군의 정벌 이후 제주사회의 변화와 위화도(威化島) 회군 290

제4절 고려시대 탐라민의 생업활동과 신앙 293

1. 탐라 지역의 행정단위 변천과 주민 분포상 293

2. 농경(農耕) 297

3. 수산업(水産業) 302

4. 해상업(海商業) 306

5. 목축업(牧畜業) 311

6. 신앙 323

제5절 고려시대 탐라의 유배인과 좌천관리 331

제4장 조선시대 전기 336

제1절 조선초기 제주도 인식과 지방제도 336

1. 조선시대 제주역사의 이해 336

2. 삼읍설치(三邑設置)와 그 의미 338

3. 목민관 파견과 선정관 340

4. 삼읍(三邑) 읍성과 관아(官衙) 346

5. 관권(官權)과 토착세력의 갈등 353

6. 제주인의 재경사족화(在京士族化) 356

7. 대명관계와 법화사의 삼존불상 360

제2절 교육제도와 과거 364

1. 삼읍 향교와 교육 364

2. 사학 교육기관과 교육 369

3. 제주의 과거운영 372

제3절 사회경제 구조와 도민의 생활 377

제4절 왜구의 침입과 방어시설 383

1. 왜구의 침입 실태와 방어시설 정비 383

2. 9진성(鎭城)의 설치 386

3. 25봉수(烽燧) 및 38연대(煙臺) 390

제5절 제주의 마정(馬政)과 공마(貢馬) 394

1. 마정조직의 정비 394

2. 공마(貢馬)의 규모와 과정 396

3. 우마도적의 발생과 대책 398

제6절 조선전기 제주 유배인 402

제7절 표류인과 표도인 406

1. 제주인의 표류와 송환 406

2. 이국인의 제주 표도 413

3. 하멜 일행의 제주 표도 417

4. 켈파트(Quelpart)와 하멜 426

제8절 임진왜란기의 제주 428

1. 중앙정부의 제주도 인식 428

2. 제주도민의 대응 431

3. 제주도에 미친 영향 434

4. 길운절(吉云節)·소덕유(蘇德裕) 역모사건 435

제5장 조선시대 후기 440

제1절 행정과 군사체제 440

1. 영·목(營牧) 체제 440

2. 면·리제(面里制)의 정비 444

3. 제주 지방군의 편제 449

4. 출륙금지와 양제해의 모변 455

제2절 수취체제(收取體制)의 변화 458

1. 전결(田結)과 전세(田稅) 458

2. 대동미(大同米) 461

3. 요역(徭役)과 군역(軍役) 463

4. 진상(進上)과 공물(貢物) 466

5. 환곡(還穀)의 운영 469

6. 지방관의 경비 474

제3절 교육과 과거 476

1. 서원과 서당·학당 476

2. 과거제도 487

제4절 제주지방의 향약(鄕約) 497

1. 향약 시행의 경위 497

2. 제주지방의 『향약문』 501

제5절 유형(流刑)과 제주도 507

1. 개관 507

2. 유배인의 신분 508

3. 유배인의 동향 510

4. 유배의 노정(路程) 512

5. 유배인의 분포 514

제6절 표류와 표도 518

1. 표류의 배경 518

2. 표류민 송환격식(送還格式) 520

3. 이국인(異國人)의 표착 524

제6장 조선시대 말기 528

제1절 개관 528

제2절 조선시대 말기의 민란 531

1. 임술(壬戌) 농민항쟁 531

2. 경인민란(庚寅民亂) 538

3. 병신민란(丙申民亂) 539

4. 무술민란(戊戌民亂) 540

5. 천주교란(天主敎亂) 543

제3절 갑오개혁 전후의 지방제도 553

1. 지방행정의 변천 553

2. 갑오개혁과 관찰부 승격 555

3. 지방조직의 재편 556

제4절 조선말기 목사들의 치적과 공과 562

1. 양헌수 목사 562

2. 조희순(趙羲純) 목사 564

3. 백낙연(白樂淵) 목사 565

4. 이규원(李奎遠) 목사 566

5. 이병휘(李秉輝) 목사 569

6. 박용원(朴用元) 목사 570

7. 홍종우(洪鍾宇) 목사 571

제5절 삼읍의 호구동태 573

제6절 산업구조와 생산활동 576

제7절 근대교육의 태동 582

제8절 조선말기의 유배인과 문화활동 587

1. 면암 최익현(勉庵 崔益鉉) 588

2. 추강 백락관(秋江 白樂寬) 590

3. 운양 김윤식(雲養 金允植) 592

4. 금릉위 박영효(錦陵尉 朴泳孝) 598

5. 그 밖의 유배인 604

제7장 일제강점기의 제주 610

제1절 일제강점기의 도정과 민생 610

1. 개요 610

2. 식민지 지배체제의 구축 612

3. 일제의 자본 침탈 614

4. 일제의 제주도개발계획 618

5. 중심지 이동 620

6. 인구 변동 623

7. 일제하 민족교육 625

8. 제주인의 일본 도항 628

9. 해녀들의 출가노동 630

10. 제주도 전역의 군사요새화(1940년대 말) 633

제2절 제주 항일운동 641

1. 제주 3.1운동 이전의 항일 운동 641

2. 사회주의 사상운동 644

3. 학생의 항일운동 646

4. 해녀 및 어민의 항일운동 647

5. 야학 활동과 혁명적 농민조합의 항일운동 650

6. 민족종교의 항일활동 651

7. 일본 패전 직전의 삼대(三大) 항일운동 653

8. 타지(他地)에서 제주인의 항일운동 655

제3절 제주항일연지사(1905∼1945) 658

제4절 제주항일인사 일람 699

제8장 광복과 4.3사건 716

제1절 광복 직후의 제주도 상황 716

1. 일본군 철수와 귀환인구 급증 716

2. 인민위원회 태동 722

3. 미군정과 도제 실시 725

4. 광복 직후의 정치·사회경제 동향 731

제2절 4.3사건 738

1. 개요 738

2. 배경 741

3. 전개과정 758

4. 피해상황 789

5. 진상규명운동 803

찾아보기 816

총목차 852

[제주도지편찬위원회 등] 869

판권기 870

이용현황보기

濟州道誌. 第2卷, 역사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1140353 915.198 ㅈ361ㅈ v.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1140354 915.198 ㅈ361ㅈ v.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