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표제지 등]=0,1,2

책을 펴내면서=0,3,1

목차=(1),4,5

표차례=(6),9,3

그림차례=(8),11,1

I. 경제일반=1,12,1

1. 경제력지표=1,12,1

◈ 국내총생산(Gross Domestic Product : GDP)=2,13,2

◈ 국민총생산(Gross National Product : GNP)=4,15,1

◈ 국민총소득(Gross National Income : GNI)=4,15,2

◈ 1인당 국민소득(Per Capita Income)=5,16,2

◈ 잠재성장률(Potential Growth Rate)=7,18,1

◈ 경기지수(Business Index)=7,18,2

◈ 가처분소득(Disposable Income)=9,20,1

2. 노동시장=10,21,1

◈ 내부노동시장(Internal Labor Market)=10,21,1

◈ 내부자-외부자(Insider-Outsider)=10,21,2

◈ 소득/대체효과(Income/Substitution Effect)=11,22,1

◈ 노동공급의 임금탄력성(Wage Elasticity Of Labor Supply)=11,22,2

◈ 노동수요의 임금탄력성(Wage Elasticity Of Labor Demand)=12,23,1

◈ 분단노동시장(Segmented Labor Market)=12,23,2

◈ 1차노동시장(Primary Labor Market)=13,24,1

◈ 2차노동시장(Secondary Labor Market)=13,24,2

◈ 사중손실(Deadweight Loss)=14,25,2

◈ 적극적 우대시책(Affirmative Action Plan)=15,26,2

◈ 근로소득세액공제제도(Earned Income Tax Credit : EITC)=16,27,2

◈ 오컨의 법칙(Okun's Law)=17,28,2

◈ 필립스 곡선(Phillips Curve)=19,30,2

II. 고용=21,32,1

1. 인구=22,33,1

◈ 총조사인구(Population)=22,33,1

◈ 연앙인구(Mid-Year Population)=23,34,2

◈ 생산가능인구(Working Age Population)=25,36,2

◈ 고령화지수(Index Of Aging)=26,37,2

◈ 부양비(유년, 노년) : Dependency Ratio(Youth, Elderly)=27,38,2

2. 경제활동=28,39,1

◈ 경제활동인구(Labor Force,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28,39,2

◈ 경제활동참가율(Labor Force Participation Rate)=29,40,2

◈ 비경제활동인구(Out Of Labor Force)=30,41,2

3. 취업=31,42,1

◈ 취업자(The Employed)=31,42,2

◈ 고용률(Employment To Population Ratio)=33,44,1

◈ 취업률(Employment Rate)=33,44,1

◈ 임금근로자(Paid-Worker, Employee, Wage And Salary Worker)=34,45,1

◈ 임금근로자비율(Ratio Of Paid-Worker To Total Employed)=34,45,1

◈ 상용직근로자(Regular Employee)=34,45,1

◈ 임시직근로자(Temporary Employee)=35,46,1

◈ 일용직근로자(Daily Employee)=35,46,1

◈ 비정규직근로자(Non-Standard Employee)=35,46,2

◈ 자영업자(Self-Employed Worker)=36,47,2

◈ 고용주(Employer)=37,48,2

◈ 무급가족종사자(Unpaid Family Worker)=38,49,1

◈ 단시간근로자(Part-Time Employee)=38,49,1

◈ 불완전고용(Under-Employment)=39,50,1

◈ 취업계수(Employment To GDP Ratio)=39,50,2

◈ 고용탄력성 혹은 고용탄성치(GDP Elasticity Of Employment)=40,51,2

4. 실업=41,52,1

◈ 실업자(The Unemployed)=41,52,1

◈ 실업률(Unemployment Rate)=42,53,3

◈ OECD기준(구직기간 4주 기준) 실업률=45,56,1

◈ 실망실업자(또는 구직단념자)(Discouraged Worker)=45,56,2

◈ 구직활동기간(Job Search Period)=46,57,3

◈ 실업급여 수급기간(Duration Of Unemployment Benefits)=48,59,2

◈ 근로소득대체율(Replacement Ratio)=50,61,1

◈ 장기실업률(Long-Term Unemployment Rate)=50,61,3

◈ 인력부족률(Vacancy Ratio)=52,63,3

◈ 경기적실업(Cyclical Unemployment)=54,65,1

◈ 구조적실업(Structural Unemployment)=54,65,2

◈ 마찰적실업(Frictional Unemployment)=55,66,1

◈ 실망노동자효과(Discouraged Worker Effect), 부가노동자 효과(Added Worker Effect)=55,66,2

◈ 자연실업률(Natural Rate Of Unemployment)=56,67,2

5. 노동이동=57,68,1

◈ 근속년수(Job Tenure)=57,68,1

◈ 입직률(Employment Accession Rate)=57,68,2

◈ 이직률(Employment Separation Rate)=58,69,1

III. 임금 및 노동비용=59,70,2

1. 임금=61,72,1

◈ 임금총액(Wage, Payment)=61,72,2

◈ 정액급여(Regular Wage)=62,73,2

◈ 통상임금(Normal Wage)=63,74,1

◈ 평균임금(Average Wage)=64,75,1

◈ 기본급(Basic Wage)=64,75,2

◈ 통상적 수당(Normal Allowance)=65,76,1

◈ 기타수당(Other Allowance)=65,76,2

◈ 초과급여(Overtime Pay)=66,77,1

◈ 특별급여(Special Wage)=66,77,1

◈ 실질임금(Real Wage)=66,77,3

◈ 의중임금(유보임금, Reservation Wage)=68,79,2

◈ 임금유연성(Wage Flexibility)=69,80,1

◈ 임금차별(Wage Discrimination)=69,80,2

2. 노동비용=70,81,1

◈ 현금급여(Wage Labor Cost)=70,81,2

◈ 퇴직금(Retirement Allowance)=71,82,1

◈ 법정복리비(Legally Required Labor Cost)=71,82,2

◈ 법정외복리비(Privately Provided Labor Cost)=72,83,1

◈ 교육훈련비(Education/Training Labor Cost)=72,83,2

◈ 현물지급비(In-Kind Labor Cost)=73,84,1

◈ 기타노동비용(Other Labor Cost)=73,84,1

◈ 준고정비용(Quasi-Fixed Labor Cost)=73,84,2

3. 보수=74,85,1

◈ 피용자보수(Labor Income)=74,85,2

◈ 노동소득분배율(Share Of Labor Income)=75,86,3

4. 노동생산성=77,88,3

◈ 단위노동비용(Unit Labor Cost)=79,90,2

◈ 노동장비율(Labor Capital Ratio)=80,91,2

◈ 부가가치율(Value Added Ratio)=81,92,2

5. 최저임금=82,93,1

◈ 최저임금액(Minimum Wage)=82,93,2

◈ 최저임금법의 적용대상(Coverage Of Minimum Wage Law)=83,94,3

IV. 근로시간 및 산업안전=86,97,1

1. 산업재해=86,97,1

◈ 재해율(Incidence Rate Of Occupational Injury)=86,97,1

◈ 도수율(Frequency Rate Of Occupational Injury)=87,98,1

◈ 강도율(Severity Rate Of Occupational Injury)=87,98,2

◈ 천인율=88,99,2

2. 근로시간=89,100,1

◈ 총근로시간(Total Hours Worked)=89,100,3

◈ 정상근로시간(Regular Hours Worked)=91,102,2

◈ 초과근로시간(Overtime Hours Worked)=92,103,2

V. 근로자생활=94,105,1

1. 물가=94,105,1

◈ 소비자물가지수(Consumer Price Index : CPI)=94,105,2

◈ GDP디플레이터(GDP Deflator)=95,106,2

◈ 생활물가지수(CPI For Living Necessaries)=96,107,1

◈ 구매력평가지수(Purchasing Power Parities : PPP)=97,108,1

◈ 생산자물가지수(Producer Price Index : PPI)=97,108,2

◈ 수출입물가지수(Expert/Import Price Index)=98,109,1

2. 소득=98,109,1

◈ 가계소득(Household Income)=98,109,2

◈ 근로소득(Earnings)=99,110,2

3. 지출=100,111,1

◈ 소비지출(Consumption Expenditure)=100,111,2

◈ 비소비지출(Non-Consumption Expenditure)=101,112,2

4. 소득분포=102,113,1

◈ 분위수(Quantile, Decile, Percentile)=102,113,2

◈ 지니계수(Gini Coefficient)=103,114,1

◈ 중위임금(Median Wage)=104,115,1

VI. 노사관계=105,116,1

1. 노동조합=105,116,1

◈ 노동조합(Trade Union, Labor Union)=105,116,2

◈ 노동조합조직률(Union Density)=106,117,2

◈ 단체협약 적용률(Coverage Rate By Collective Agreement)=107,118,1

2. 노사분규=108,119,1

◈ 노사분규(Strike Or Lockout, Industrial Dispute)=108,119,2

◈ 노동손실일수(Working Day Lost Due To Strike Or Lockout)=109,120,3

찾아보기=112,123,4

표차례

(표I-1) GDP 추이(불변가격)=3,14,1

(표I-2) 주요국의 국내총생산 추이(경상가격)=3,14,1

(표I-3) 주요국의 1인당 국민소득 추이(경상가격)=5,16,1

(표I-4) 주요국의 1인당 국내총생산 추이(구매력평가환율기준)=6,17,1

(표I-5) 산업생산지수=8,19,1

(표I-6) 경기종합지수(CI) 구성지표=8,19,1

(표I-7) 국민처분가능소득(NDI) 및 국민총처분가능소득(GNDI) 추이=9,20,1

(표II-1) 고용관련 주요통계=21,32,1

(표II-2) 총조사인구(2000년)=22,33,1

(표II-3) 연앙추계인구 추이=24,35,1

(표II-4) 주요국의 연앙추계인구 증가율 추이=24,35,1

(표II-5) 생산가능인구 추이=25,36,1

(표II-6) 주요국의 고용통계 작성방법=26,37,1

(표II-7) 고령화 지수 및 부양비 추이=27,38,1

(표II-8) 주요국의 경제활동인구 증감률 추이(15~64세 기준)=29,40,1

(표II-9) 주요국의 경제활동참가율 추이(15~64세 기준)=30,41,1

(표II-10) 취업자 분류=31,42,1

(표II-11) 취업자 및 임금근로자, 임금근로자비율, 고용률 추이=32,43,1

(표II-12) 주요국의 취업자 증가율 추이=32,43,1

(표II-13) 주요국의 고용률 추이(15~64세 기준)=33,44,1

(표II-14) 임금근로자 중 상용, 임시, 일용근로자 추이=34,45,1

(표II-15) 시간제근로자 및 비전형근로자 정의=36,47,1

(표II-16) 자영업자, 고용주, 무급가족종사자 추이=37,48,1

(표II-17) 주요국의 종사상지위별 취업자 구성(2001년)=37,48,1

(표II-18) 주요국의 취업자 중 단시간 근로자 비율 추이=38,49,1

(표II-19) 취업계수 추이=40,51,1

(표II-20) 실업자 및 실업률 추이=41,52,1

(표II-21) 연령계층별 실업률 추이=44,55,1

(표II-22) 주요국의 실업률 추이=44,55,1

(표II-23) 1주기준 및 4주기준 실업률 추이=45,56,1

(표II-24) 구직단념자 추이=46,57,1

(표II-25) 평균 구직기간 및 장기실업자 추이=48,59,1

(표II-26) 주요국의 실업급여 수급기간=49,60,1

(표II-27) 주요국의 실업자 중 장기실업자 비율 추이=52,63,1

(표II-28) 직종대분류별 인력부족률 추이=53,64,1

(표II-29) 평균 근속년수 추이=57,68,1

(표II-30) 입직률 및 이직률 추이=58,69,1

(표III-1) 주요국의 월평균 임금총액 추이 : 제조업(미국달러 기준)=62,73,1

(표III-2) 임금총액의 내역별 추이=63,74,1

(표III-3) 정액급여 중 기본급, 통상적수당, 기타수당의 비중 추이(2002년)=65,76,1

(표III-4) 명목임금 및 실질임금상승률 추이=67,78,1

(표III-5) 주요국의 실질임금지수 추이 : 제조업(자국통화 기준)=68,79,1

(표III-6) 근로자 1인당 노동비용 추이=71,82,1

(표III-7) 근로자 1인당 내역별 법정복리비 추이=72,83,1

(표III-8) 근로자 1인당 교육훈련비, 현물지급비, 기타노동비용 추이=73,84,1

(표III-9) GDP(명목) 및 피용자보수 추이(2000년 기준)=75,86,1

(표III-10) 노동소득분배율 추이=76,87,1

(표III-11) 주요국의 실질노동생산성지수 추이 : 제조업=79,90,1

(표III-12) 주요국의 단위노동비용지수 추이 : 제조업(자국통화 기준)=80,91,1

(표III-13) 제조업 노동장비율 및 부가가치율 추이=81,92,1

(표III-14) 최저임금제 주요지표 추이=83,94,1

(표III-15) 최저임금제 적용범위=84,95,1

(표III-16) 최저임금에 산입하지 않는 임금의 범위=85,96,1

(표IV-1) 재해율 발생추이=86,97,1

(표IV-2) 산업별 산재도수율 추이=87,98,1

(표IV-3) 산업별 산재강도율 추이=88,99,1

(표IV-4) 산업별 산업재해 발생현황 : 2002년=89,100,1

(표IV-5) 총근로시간 추이=90,101,1

(표IV-6) 국가별 비농전산업 주근로시간=90,101,1

(표IV-7) 2004년 7월 1일부터 변경되는 근로시간관련 근로기준법의 주요내용=91,102,1

(표IV-8) 정상근로시간 추이=92,103,1

(표IV-9) 초과근로시간 추이=93,104,1

(표V-1) 소비자물가지수 추이=94,105,1

(표V-2) 주요국의 소비자물가지수 추이=95,106,1

(표V-3) CPI 및 GDP디플레이터, 생활물가지수 추이(2000년 기준)=96,107,1

(표V-4) 생산자물가지수 및 수출입물가지수 추이=98,109,1

(표V-5) 도시근로자 가구당 가계소득 추이=99,110,1

(표V-6) 도시근로자 가구당 근로소득 추이=100,111,1

(표V-7) 도시근로자가구 가구당 소비지출 추이=101,112,1

(표V-8) 도시근로자가구 가구당 비소비지출 추이=102,113,1

(표V-9) 도시근로자가구 소득분배 추이=103,114,1

(표V-10) 지니계수 추이=103,114,1

(표V-11) 평균임금 및 중위임금 추이=104,115,1

(표VI-1) 노동조합수 및 조합원수 추이=105,116,1

(표VI-2) 주요국의 노동조합원수 추이=106,117,1

(표VI-3) 노동조합 조직률 추이=106,117,1

(표VI-4) 주요국의 노동조합 조직률 추이=107,118,1

(표VI-5) 주요국의 단체협약 적용률 추이=107,118,1

(표VI-6) 노사분규 추이=108,119,1

(표VI-7) 주요국의 노동쟁의 집계방식=109,120,1

(표VI-8) 주요국의 노동쟁의행위 발생건수 추이=109,120,1

(표VI-9) 노사분규 발생건수 및 노동손실일수 추이=110,121,1

(표VI-10) 주요국의 노동쟁의행위에 따른 노동손실일수 추이=110,121,1

(표VI-11) 주요국의 1,000인당 노동손실일수 추이=111,122,1

그림차례

(그림I-1) 국민계정 체계=1,12,1

(그림II-1) 고용관련 주요 개념 체계도=21,32,1

(그림III-1) 주요국의 노동소득분배율=77,8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