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표제지 등]=0,1,3

요약문=(1),4,13

목차=i,17,3

표 목차=iv,20,2

그림 목차=v,21,1

제1장 서론=1,22,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1,22,3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4,25,1

1) 연구의 범위=4,25,3

2) 연구의 방법=6,27,6

3. 용어의 정의 및 사용: 철거(Demolition)와 퇴거(Eviction)=12,33,1

제2장 개발사업의 유형 및 관련 제도=13,34,1

1. 개발사업의 유형과 특성=13,34,1

1) 개발사업의 유형=13,34,3

2) 개발사업의 유형별 특성=15,36,20

2. 거주민 보상 관련제도 및 관행 사례분석=35,56,1

1) 보상의 성격=35,56,2

2) 거주민 보상 관련 제도=36,57,15

3) 거주민 보상 관행 사례분석=51,72,10

3. 퇴거의 법적 근거 및 절차=60,81,1

1) 행정대집행의 내용과 절차=60,81,4

2) 명도소송의 내용과 절차=63,84,2

제3장 주거권의 법적 개념=65,86,1

1. 주거권의 개념=65,86,3

2. 국내법에서 언급하는 주거권=67,88,1

1) 사회권으로서의 주거권 관련 규정=67,88,4

2) 강제퇴거 관련 규정=70,91,3

3. 국제법 및 각종 국제규약ㆍ선언 등에서 언급하는 주거권=72,93,1

1) 국제규약ㆍ선언 등의 국내 구속력=72,93,10

2) 주거권 관련 규정=82,103,6

3) 강제퇴거 관련 국제 규정=87,108,4

4. 개발사업에 있어서 주거권 침해의 기준과 내용=91,112,4

제4장 개발사업의 주거권 침해 실태 및 문제점=95,116,1

1. 개발지역 저소득 주민의 생활실태=95,116,2

1) 경제적 실태=96,117,9

2) 주거실태=104,125,6

2. 개발사업에 있어 주거권 침해의 내용 및 실태=109,130,2

1) 퇴거에 따른 주거실태의 변화=110,131,19

2) 강제퇴거 실태=128,149,12

3. 개발사업 주거권 침해 실태의 문제점=139,160,1

1) 적절한 주거대책의 미비=139,160,7

2) 강제퇴거의 문제점=145,166,6

제5장 외국사례 분석 및 시사점 도출=151,172,1

1. 영국의 개발사업과 퇴거 관련 정책=151,172,1

1) 개관=151,172,3

2) 재개발 정책의 변화=153,174,5

3. 거주자 재정착 지원=157,178,6

4) 도시재생 정책=162,183,4

5) 퇴거 절차와 부당한 퇴거로부터의 보호=165,186,8

6) 무단점유에 대한 조치=172,193,2

7) 요약 및 시사점=173,194,5

2. 일본의 주거지 개발사업과 거주민 대책=177,198,1

1) 개관=177,198,2

2) 일본 불량주택정비사업의 변천=178,199,5

3) 주거지 개발사업 관련 제도의 개요 및 거주자 주거안정 대책=182,203,14

4) 민간개발에 있어서의 주거권 보장 현황=196,217,3

5) 요약 및 시사점=198,219,4

3. 미국의 재개발사업과 임차인 보호정책=202,223,1

1) 개관=202,223,3

2) 재개발정책의 변화과정=205,226,4

3) 재개발과 거주민 재정착 관련 정책=208,229,9

4) 강제퇴거와 그에 대한 정책들=216,237,4

5) 요약 및 시사점=219,240,4

제6장 개발사업에서 주거권 보호를 위한 정책제안=223,244,1

1. 사업시행자 및 행정의 견해=223,244,1

1) 사업시행자=223,244,4

2) 행정=226,247,3

2. 전문가 및 관련 단체의 견해=229,250,1

1) 전문가=229,250,6

2) 관련단체=234,255,3

3. 개발사업에 있어서 주거권 보호방안=236,257,1

1) 적절한 주거대책 방안=236,257,8

2) 강제퇴거 관련 개선 방안=243,264,4

3) 기타 개선방안=247,268,2

제7장 결론: 정책권고 내용 제안=249,270,1

1. 권고안=249,270,1

2. 내용=249,270,3

3. 의견제출의 이유=251,272,1

1) 개발사업에 있어서의 주거권 침해 실태=251,272,5

2) 근거=256,277,4

3) 권고사항=260,281,5

참고문헌=265,286,6

[부록] 개발사업지구 현황=271,292,15

표목차

(표 1-1) 피면접조사자 현황=7,28,3

(표 1-2) 조사대상 사업지구=11,32,1

(표 2-1) 주택재개발사업 추진현황(2004년 9월말 71준)=18,39,1

(표 2-2) 사업추진단계별 주거환경개선사업 현황(2003년 12월말 현재)=21,42,1

(표 2-3) 사업방식별 주거환경개선사업 지구지정 현황(2002년 9월 30일 현재)=22,43,1

(표 2-4) 택지개발현황=24,45,1

(표 2-5) 사업시행방식의 기준=25,46,1

(표 2-6) 도시개발사업 추진현황(2004년 12월 말 현재)=28,49,1

(표 2-7) 도시계획시설의 종류=28,49,1

(표 2-8) 도시환경정비사업 현황(2003년 12월 31일 현재)=32,53,1

(표 2-9) 지역 및 직장주택조합사업의 시행절차=33,54,1

(표 2-10) 지역 및 직장주택조합 지역별 승인물량(2000년~2002년 3년간)=34,55,1

(표 2-11) 지역/직장주택조합과 다른 사업의 주택공급물량 비교(1998년~2001년)=34,55,1

(표 2-l2) 주거이전비 지급 현황(2004년 1/4분기 통계기준)=43,64,1

(표 2-13) 이사비 지급 현황=43,64,1

(표 2-14) 주거환경개선사업지구 내 분양주택 공급순위=44,65,1

(표 2-15)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중 임시주거대책 관련 규정=48,69,1

(표 2-16) 각종 개발사업에서의 거주민에 대한 보상과 관련된 법적 규정=50,71,1

(표 2-17) 주거환경개선사업지구 보상가 수준=53,74,1

(표 4-1) 조사대상 가구의 가구주 직업=97,118,1

(표 4-2) 가구주 직업=98,119,1

(표 4-3) 가구소득=103,124,1

(표 4-4) 주거환경개선사업지구 보상가 수준=111,132,1

(표 5-1) 주택지구개량사업에 대한 국고보조의 내용 및 보조율=187,208,1

(표 5-2) 밀집주택시가지정비촉진사업 지구지정 요건=189,210,1

(표 5-3) 도시재생주택 유형별 임대료 대책=193,214,1

(표 5-4) 밀집주택시가지정비촉진사업의 보조 내용=195,216,1

그림목차

(그림 1-1) 연구의 범위 및 진행=6,27,1

(그림 2-1) 개발사업의 주요 특성=14,35,1

(그림 2-2) 개발사업의 유형 및 관련 법률=15,36,1

(그림 2-3) 주택재개발사업 추진절차=17,38,1

(그림 2-4) 주거환경개선사업 추진절차=19,40,1

(그림 2-5) 택지개발사업 추진절차=23,44,1

(그림 2-6) 도시개발사업의 변천=25,46,1

(그림 2-7) 도시개발사업의 추진절차=27,48,1

(그림 2-8) 도시계획시설사업의 시행절차=30,51,1

(그림 2-9) 도시환경정비사업 추진절차=31,52,1

(그림 2-10) 손실보상의 절차=40,61,1

(그림 2-11) 행정대집행법의 절차=63,84,1

(그림 2-12) 명도소송을 통한 퇴거 절차=64,85,1

(그림 5-1) 지구특성에 따른 정비수법이 선택=183,204,1

(그림 5-2) 원거주민의 재정착 경로=191,2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