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표제지]=0,1,1

연구 담당=0,2,1

머리말/최정섭=i,3,2

요약=iii,5,2

ABSTRACT=v,7,2

목차=vii,9,3

표차례=x,12,4

그림차례=xiii,15,1

제1장 서론=1,16,1

1. 연구의 필요성=1,16,2

2. 선행연구 검토=2,17,2

3. 연구범위 및 분석방법=3,18,4

제2장 자급률 목표설정의 주요 쟁점과 의의=7,22,1

1. 주요 쟁점=7,22,3

2. 식량자급률 목표설정의 의의와 기본전제=10,25,2

제3장 식량자급률의 개념과 현황=12,27,1

1. 자급률 개념=12,27,3

2. 자급률 추세=14,29,2

3. 2015년 자급률 전망=15,30,2

제4장 외국의 식량자급률 목표설정사례와 시사점:일본사례 중심으로=17,32,1

1. 개황=17,32,1

2. 일본의 자급률목표 설정과 시사점=18,33,4

3. 목표설정의 특징과 시사점=21,36,2

제5장 식품 소비량 목표 설정=23,38,2

1. 영양목표=24,39,9

2. 소비량 목표 설정=32,47,3

제6장 부문별 식량자급률 분석 및 목표치 설정=35,50,1

1. 쌀=35,50,5

2. 기타 곡물=40,55,4

3. 사료분야=43,58,3

4. 곡물 종합 자급률 분석=45,60,2

5. 축산물=47,62,6

6. 우유류와 계란류=52,67,2

7. 채소 및 과일류=53,68,3

8. 서류=56,71,1

9. 수산물=57,72,4

10. 시나리오별 식량자급률 목표치 설정=60,75,3

제7장 정책추진과제 및 후속조치=63,78,1

1. 소비측면 과제=63,78,6

2. 생산측면 과제=68,83,3

3. 목표치 관리=70,85,2

4. 세부대책 수립=71,86,2

5. 목표치의 점검ㆍ평가=72,87,1

제8장 요약 및 결론=73,88,1

1. 목표설정의 필요성 및 의의=73,88,2

2. 외국사례와 시사점=74,89,3

3. 식품 소비량 목표 설정=76,91,1

4. 부문별 자급률 분석 및 목표치 설정=76,91,6

5. 정책추진과제 및 후속조치=81,96,4

부록 I. 식량안보와 식량자급률 목표설정 필요성=85,100,45

부록 II. 식량안보 및 자급률 의식조사 결과=130,145,4

부록 III. 조사료 자급을 통한 식량자급률 향상방안=134,149,26

부록 IV. 모형을 통한 식량자급률과 작목구조 분석=160,175,25

부록 V. 일본의 식량자급률 실태와 향상 대책=185,200,108

부록 VI. 식생활에 관한 국민의식조사=293,308,16

부록 VII. 식량자급률 목표 설정 관련 지방토론 결과=309,324,22

참고문헌=331,346,2

[판권지]=333,348,1

표차례

표 1-1. 공동연구 추진 내용=5,20,1

표 2-1. 세계 쌀 수급 추이=8,23,1

표 3-1. 각종 자급률의 산출 개념=12,27,1

표 3-2. 자급률 형태별 수준 비교=14,29,1

표 3-3. 2015년 식품류별 자급률 전망=16,31,1

표 4-1. 종합식료자급률 추이=19,34,1

표 4-2. 주식용 곡물자급률 등의 추이=19,34,1

표 4-3. 일본의 식량자급률 목표(2005년 수정치)=20,35,1

표 5-1. 영양소 섭취량의 연차적 추이=26,41,1

표 5-2. 영양권장량에 대한 영양소별 섭취 비율의 연차적 추이=27,42,1

표 5-3. 에너지를 구성하는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비율의 연차적 추이=27,42,1

표 5-4.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의한 에너지의 주요급원식품 연도별 추이=28,43,1

표 5-5.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의한 단백질의 주요급원식품 연도별 추이=28,43,1

표 5-6.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나타난 지방의 주요급원식품 연도별 추이=29,44,1

표 5-7. 주요 영양소의 영양섭취 기준=30,45,1

표 5-8. 적정 에너지 비율=31,46,1

표 5-9. 2015년 국민 1인당 주요 영양소 권장기준=31,46,1

표 5-10. 2015년 국민 1인당 적정 에너지 비율=32,47,1

표 5-11. 2015년 P-F-C 공급 구성비=33,48,1

표 5-12. 주요 식품류별 1인당 권장 열량섭취량과 목표열량소비량 산출=34,49,1

표 6-1. 2015년 예상 쌀 소비량 전망치 및 소비 목표=36,51,1

표 6-2. 쌀 생산목표 시나리오=36,51,1

표 6-3. 2015년 시나리오 A1의 쌀 자급률 시산=37,52,1

표 6-4. 2015년 시나리오 A2의 쌀 자급률 시산=38,53,1

표 6-5. 2015년 시나리오 A3의 쌀 자급률 시산=38,53,1

표 6-6. 2015년 총수요량 중 수입 쌀 비중 및 재고량 추정=39,54,1

표 6-7. 2015년 쌀 자급률 수준과 농가판매가격의 관계=39,54,1

표 6-8. 맥류와 콩의 수급추이 및 순식용 자급률=40,55,1

표 6-9. 2015년 곡물별 1인당 현재 소비량 및 목표소비량=41,56,1

표 6-10. 2015년 맥류와 콩의 재배면적과 생산목표=41,56,1

표 6-11. 맥류의 수급추이 및 순식용 자급률=42,57,1

표 6-12. 콩의 수급추이 및 순식용 자급률=42,57,1

표 6-13. 2015년 맥류와 콩의 논 재배면적 변화=43,58,1

표 6-14. 사료곡물 사용실적=43,58,1

표 6-15. 조사료 수급 현황=44,59,1

표 6-16. 2015년 자급률 85% 가정시 조사료 급여 수준별 소요량 추정=44,59,1

표 6-17. 쌀 소비 목표별 2015년 주식용 곡물자급률 시산=45,60,1

표 6-18. 쌀 소비량 수준별 2015년 곡물자급률 시산(사료포함)=46,61,1

표 6-19. 육류ㆍ어패류ㆍ두류ㆍ난류에 대한 목표열량소비량=49,64,1

표 6-20. 2015년 육류 목표소비량=50,65,1

표 6-21. 일본의 육류소비량 추이 및 소비목표=50,65,1

표 6-22. 2015년도 육류 생산 목표=51,66,1

표 6-23. 2015년 육류 품목별 자급률 시산=52,67,1

표 6-24. 2015년 우유류 자급률 시산=52,67,1

표 6-25. 2015년 계란류 자급률 시산=53,68,1

표 6-26. 2015년 채소류 관세구간별 품목=54,69,1

표 6-27. 2015년 채소류 자급률 시산=54,69,1

표 6-28. 과일류 관세구간별 품목=55,70,1

표 6-29. 2015년 과일류 자급률 시산=55,70,1

표 6-30. 2015년 서류 자급률 시산=56,71,1

표 6-31. 2015년 수산물 수급전망 및 자급률 목표치=57,72,1

표 6-32. 어류 수급전망 및 자급률 목표치=58,73,1

표 6-33. 패류 수급전망 및 자급률 목표치=59,74,1

표 6-34. 해조류 수급전망 및 자급률 목표치=60,75,1

표 6-35. 정책 시나리오별 칼로리 자급률 시산=61,76,1

표 6-36. 시나리오별 2015년 식량자급률 목표치 시산 결과=62,77,1

표 7-1. 음식물쓰레기 10% 추가 감축에 따른 곡물 자급률(사료포함) 비교=67,82,1

표 7-2. 기본계획에 명시되는 식량자급률 범위=71,86,1

그림차례

그림 1-1. 연구추진체계도=6,21,1

그림 3-1. 자급률 추이=15,30,1

그림 3-2. 칼로리 자급률 추이 전망=15,30,1

그림 5-1. 권장식품소비모형(Market Basket) 설정 방법=23,38,1

그림 5-2. 2015년도 식품 권장(목표)소비량 설정 절차=32,47,1

그림 6-1. 한ㆍ육우 사육두수 전망=47,62,1

그림 6-2. 돼지 사육두수 전망=48,63,1

그림 6-3. 육계 사육두수 전망=49,6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