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표제지]=1,1,1
[집필자]=2,2,1
발간사=3,3,1
목차=4,4,3
(요약)=7,7,4
I. 서론=11,11,2
II. 독일의 근로계약법 제정을 위한 시도=13,13,1
1. 개관=13,13,2
2. 근로계약법 제정에 대한 찬ㆍ반 논쟁=14,14,1
1) 의의=14,14,1
2) 찬성론=15,15,1
(1) 명확성의 확보=15,15,1
(2) 법원에 의한 법형성의 한계=15,15,2
3) 반대론=16,16,1
(1) 관련법 분야의 경직화 우려=16,16,1
(2) 당사자 자치의 보장=17,17,1
3. 독일의 개별적 노사관계 법제의 문제점=17,17,1
1) 수많은 특별법과 광범위한 판례법=17,17,2
2) 독일 민법상의 고용계약과 근로계약의 관계=18,18,2
3) 구체적 사례=19,19,1
(1) 기간의 정함이 있는 근로계약=19,19,2
(2) 근로자의 책임제한=21,21,2
(3) 근로자의 손해보상청구권=22,22,2
(4) 해고의 효력을 다투는 자의 계속근로청구권=23,23,2
4. 개별적 노사관계법의 입법화를 위한 시도의 역사=25,25,1
1) 독일제국시대=25,25,2
2) 바이마르 공화국=26,26,2
3) 나치시대=27,27,2
4) 전후 독일=28,28,1
5) 분단 독일=28,28,1
(1) 통일 이전의 동독=28,28,2
(2) 통일 이전의 서독=29,29,2
6) 독일통일 이후=30,30,3
III. 우리 나라에서의 근로계약법의 필요성=33,33,1
1. 의의=33,33,1
2. 현행법의 문제점=33,33,1
1) 입법상의 문제점=33,33,1
(1) 법규정이 없는 경우=33,33,1
① 기간의 정함이 있는 근로계약=34,34,2
② 근로자의 책임제한=35,35,2
③ 사업양도=36,36,2
(2) 법규정이 불완전한 경우=37,37,1
① 근로자 개념=37,37,2
② 기간의 정함이 있는 근로계약=38,38,1
(3) 형별위주의 법규정=38,38,2
2) 판례상의 문제점=39,39,1
(1) 일반조항으로의 도피=39,39,1
① 일반조항 원용의 문제점=39,39,2
② 근로자의 책임제한=40,40,1
③ 해고무효확인소송의 제소기간=40,40,2
(2) 예측가능성의 결여=41,41,1
① 제반사정의 종합적 고려=41,41,1
(i) 근로자성 판단=41,41,1
(ii) 해고대상자 선정=42,42,2
(iii) 정리해고의 요건=43,43,2
② 불명확한 기준에 의한 판단=44,44,1
③ 명확한 입장표명 회피=44,44,2
(3) 논리의 일관성 결여=45,45,1
① 취업규칙의 불이익 변경=45,45,1
② 사업양도와 고용승계=45,45,2
3. 소결=46,46,1
1) 근로계약법의 필요성=46,46,2
2) 법 제정을 위한 기본원칙=47,47,2
(1) 입법화의 범위=48,48,1
(2) 입법의 형식=48,48,2
(3) 법규정의 밀도=49,49,1
(4) 법률관계 변동의 최소화=49,49,1
(5) 당사자 자치와의 조화=49,49,2
IV. 결론=51,51,2
[판권지]=53,53,1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