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표제지]=0,1,1

제출문=0,2,1

연구참여진=0,3,4

B. 아스팔트 포장의 재료 생산 및 시공 품질 관리 정립 연구=0,7,1

B1. 아스팔트 포장의 재료생산 품질관리 정립연구/옥창권=0,8,1

목차=0,9,2

표목차=0,11,1

그림목차=0,12,2

1. 과업의 개요=B-1,14,2

1.1. 과업의 배경과 필요성=B1-3,16,1

1.2. 과업 목표 및 범위=B1-3,16,1

1.2.1. 2단계 과업의 목표=B1-3,16,1

1.2.2. 2단계 과업의 범위=B1-4,17,1

1.3. 과업의 연구 방법=B1-4,17,1

1.3.1. 2단계 2차년도 과업의 범위=B1-4,17,2

1.4. 현재의 주요 연구 결과=B1-5,18,1

1.4.1. 2단계 1차년도 연구 결과=B1-5,18,1

1.4.2. 2단계 2차년도 연구 결과=B1-5,18,2

1.5. 기대 효과=B1-6,19,1

2. 아스팔트용 골재의 생산 및 품질=B1-7,20,2

2.1. 아스팔트용 골재의 생산=B1-9,22,1

2.1.1. 골재의 생산 방식=B1-9,22,2

2.1.2. 골재의 생산=B1-11,24,2

2.2. 아스팔트용 골재의 품질관리=B1-13,26,1

2.2.1. 골재의 적합성 평가=B1-13,26,5

2.3. 아스팔트 혼합물의 체적 특성=B1-18,31,1

2.3.1. 아스팔트 혼합물의 특성치=B1-18,31,7

2.3.2. 현장 아스팔트 혼합물의 밀도 및 이론최대밀도 비교=B1-24,37,5

3. 국내 아스팔트 혼합물의 품질관리 현황=B1-29,42,2

3.1. 국내 아스팔트 혼합물 배합설계시 품질관리 현황=B1-31,44,1

3.1.1. 배합설계 타격회수 결정 현황=B1-31,44,2

3.1.2. 배합설계 이론최대밀도의 사용 현황=B1-32,45,1

3.2. 시공현장의 아스팔트 혼합물 품질관리 현황=B1-33,46,1

3.2.1. 기준밀도 산정방식 현황=B1-33,46,1

3.2.2. 아스팔트 포장에서의 현장별 밀도 관리 현황=B1-33,46,2

3.2.3. 아스팔트 포장에서의 현장별 이론최대밀도 관리 현황=B1-35,48,5

3.2.4. 아스팔트 포장에서의 현장별 공극률 관리 현황=B1-39,52,5

3.2.5. 아스팔트 포장에서의 현장별 다짐도 관리 현황=B1-43,56,5

3.2.6. 아스팔트 포장에서의 현장별 아스팔트 함량 관리 현황=B1-47,60,3

3.2.7. 분석결과=B1-49,62,2

3.3. 국내 시공현장의 입도관리 현황=B1-51,64,3

3.3.1. 표층 혼합물의 입도분석=B1-53,66,6

3.3.2. 중간층 혼합물의 입도분석=B1-59,72,5

3.3.3. 기층 혼합물의 입도분석=B1-64,77,10

3.3.4. 분석결과=B1-73,86,4

4. 아스팔트 혼합물의 품질향상을 위한 방안=B1-77,90,2

4.1. 아스팔트 혼합물 불량발생 상황과 원인=B1-79,92,3

4.2. 공정별 체크리스트=B1-82,95,7

5. 결론=B1-89,102,6

참고문헌=B1-95,108,3

B2. 공용성에 근거한 배합설계 기준 정립 연구

B2. 공용성에 근거한 배합설계 기준 정립 연구/김부일=0,111,1

목차=0,112,2

표목차=0,114,1

그림목차=0,115,2

1. 과업의 개요=B2-1,117,2

1.1. 과업의 배경과 필요성=B2-3,119,1

1.2. 과업 목표 및 범위=B2-4,120,1

1.2.1. 과업의 최종 목표=B2-4,120,1

1.2.2. 2단계 과업의 목표=B2-4,120,1

1.2.3. 2단계 과업의 범위=B2-4,120,2

1.3. 과업의 연구 방법=B2-5,121,1

1.3.1. 전체 과업의 연구 방법=B2-5,121,2

1.3.2. 2단계 과업의 연구 방법=B2-6,122,2

1.4. 현재의 주요 연구 결과=B2-7,123,1

1.4.1. 1단계 연구 결과 및 성과=B2-7,123,2

1.4.2. 2단계 1차년도 연구 결과 및 성과=B2-8,124,1

1.4.3. 2단계 2차년도 연구 결과 및 성과=B2-8,124,1

1.5. 기대 효과=B2-9,125,2

2. 문헌조사=B2-11,127,2

2.1. 현행 국내 배합 설계 규격=B2-13,129,1

2.1.1. 마샬 배합 설계=B2-13,129,2

2.2. 현행 배합설계의 문제점=B2-15,131,2

3. 배합설계에 도입 가능한 역학적 시험 방법=B2-17,133,4

3.1. 소성 변형=B2-19,136,1

3.1.1. Kim Test=B2-20,136,5

3.2. 피로균열=B2-24,140,1

3.2.1. Superpave IDT=B2-24,140,5

4. 실내 실험=B2-29,145,2

4.1. 아스팔트 및 골재=B2-31,147,3

4.2. 배합설계 결과=B2-33,149,2

4.2.1. 기존 마샬 배합설계를 이용한 배합설계 결과=B2-34,150,2

4.2.2. 마샬 안정도를 이용한 배합설계 결과=B2-35,151,2

4.2.3. 변형강도(SD)를 이용한 배합설계 결과(이미지참조)=B2-36,152,3

4.2.4. 파괴에너지(FE)를 이용한 배합설계 결과=B2-38,154,4

4.2.5. SD와 FE를 애용한 배합설계 결과(이미지참조)=B2-41,157,2

4.2.6. 반복성 및 재생산성=B2-43,159,1

4.3. 배합 설계 실험 결과=B2-44,160,1

4.3.1. 골재 입도 특성에 따른 배합설계 결과=B2-44,160,2

4.3.2. 바인더 특성에 따른 배합설계 결과=B2-45,161,2

4.3.3. 변형강도 특성 분석=B2-47,163,2

4.3.4. 파괴에너지(FE) 특성 분석=B2-48,164,3

5. 결론=B2-51,167,4

참고문헌=B2-55,171,7

B3. 아스팔트 포장의 시공 품질관리 정립 연구

B3. 아스팔트 포장의 시공 품질관리 정립 연구/황성도=0,178,1

목차=0,179,4

표목차=0,183,1

그림목차=0,184,3

1. 과업의 개요=B3-1,187,2

1.1. 과업의 배경과 필요성=B3-3,189,1

1.2. 과업 목표 및 범위=B3-4,190,1

1.3. 과업의 연구 방법=B3-4,190,2

1.4. 현재의 주요 연구 결과=B3-5,191,1

1.4.1. 2단계 1차년도 연구 결과 및 성과=B3-5,191,2

1.5. 기대 효과=B3-6,192,3

2. 시공 단계별 주요 품질관리 개선방안 정립=B3-9,195,2

2.1. 시공 품질관리 현황=B3-11,197,7

2.2. 시공 품질관리 현황에 따른 문제점 및 개선방안=B3-17,203,6

2.3. 시공단계별 주요 품질관리 항목 및 개선 사항=B3-23,209,1

2.3.1. 아스팔트 혼합물의 수송 (Hot Mix Asphalt Delivery Or Hauling)=B3-23,209,7

2.3.2. 기존의 포장층에 대한 준비 작업(Surface Preparation)=B3-29,215,4

2.3.3. 아스팔트 혼합물의 포설 작업 (Hot Mix Asphalt Placement Or Laydown)=B3-32,218,6

2.3.4. 아스팔트 포장의 다짐작업 (Compaction)=B3-37,223,15

2.3.5. 아스팔트 포장면의 이음부 처리 (Joint Construction)=B3-52,238,3

2.3.6. 시공 단계별 개선 사항=B3-55,241,2

2.4. 아스팔트 포장 시공시 준수 사항=B3-56,242,3

2.5. 아스팔트 포장의 시공 단계별 품질관련 주요 이슈=B3-58,244,3

3. 아스팔트 포장 품질확보를 위한 시공 중 하자의 해결방안=B3-61,247,4

3.1. 블리딩(Bleeding)=B3-65,251,2

3.2. 블리스터링 현상(Blisters Or Upheavals)=B3-67,253,1

3.3. 아스팔트 포장표면에 갈색줄무늬가 남는 현상(Brown Streaked Surface)=B3-68,254,1

3.4. 롤러 바로 밑에 있는 혼합물에 가로방향 균열이 발생한 경우(Checking Under Roller)=B3-68,254,3

3.5. 깊은 가로방향 균열의 발생(Deep Transverse Cracks)=B3-71,257,1

3.6. 아스팔트 포장면이 움푹 들어간 경우(Indentations And Depressions)=B3-72,258,3

3.7. 세로 이음부 (Longitudinal Joints)=B3-74,260,1

3.7.1. 이음부의 규정밀도를 얻을 수 없는 경우=B3-74,260,2

3.7.2. 롤러의 레인(폭원)사이의 부적절한 높이 차이에 의한 세로 이음부=B3-76,262,1

3.8. 가로 이음부(Transverse Joints)=B3-77,263,1

3.8.1. 가로 이음부에 걸쳐서 높이가 일정하지 않은 경우=B3-77,263,1

3.8.2. 가로 이음부가 거칠고 평평하지 않은 경우=B3-77,263,1

3.9. 아스팔트 포장체의 표면상태가 거칠고, 갈색이며 깨끗한 모양이 아닐 때(Lean, Brown, Dull ppearance Of Surface)=B3-78,264,1

3.10. 롤러 전방의 포장면 밀림현상 (Mat Shoving Ahead Of Roller)=B3-79,265,2

3.11. 아스팔트 포장면 위의 롤러자국 (Roller Marks)=B3-81,267,3

3.12. 스크리드 자국 (Screed Marks)=B3-84,270,1

3.13. 포장표면의 재질에 변동이 심한 경우(Surface Texture Fluctuation)=B3-85,271,1

3.14. 포장체의 표면에 줄무늬 등에 발생한 경우 (Tearing Or Dragging Of Mat)=B3-86,272,1

3.14.1. 포장체의 전폭에 대하여=B3-86,272,2

3.14.2. 포장체의 중앙부에 대하여=B3-88,274,1

3.14.3. 포장체의 가장자리(edge)부분에 대하여=B3-89,275,1

3.15. 포장의 두께나 포장면의 품질이 변하는 경우(Thickness And Mat Quality Variation)=B3-90,276,2

3.16. 불만족스런 다짐작업(Unsatisfacory Compaction)=B3-92,278,3

3.17. 포장표면에 물결치는 모양인 경우(Wavy Surface)=B3-95,281,1

3.17.1. 물결모양이 긴 경우(Long Wave)=B3-95,281,1

3.17.2. 잔주름 또는 물결모양이 짧은 경우(Ripple, Short Wave)=B3-96,282,1

4. 아스팔트 포장의 현장 시공 품질 향상을 위한 장비의 적용 방안=B3-97,283,2

4.1. 재료 및 온도편차에 의한 분리현상 저감을 위한 장비=B3-99,285,2

4.1.1. Material Transfer Vehicle의 원리 및 사양=B3-100,286,5

4.2. 다짐작업의 품질확보를 위한 장비=B3-105,291,4

5. 야스팔트 포장의 시공 다짐관리 공정 및 개선방안 마련을 위한 현장 시험시공=B3-109,295,2

5.1. 개요=B3-111,297,1

5.2. 현장 시험 시공=B3-112,298,1

5.2.1. 시공 계획=B3-112,298,1

5.2.2. 사용재료 및 배합설계=B3-112,298,2

5.2.3. 시험시공구간 포설 및 전압횟수=B3-114,300,3

5.2.4. 현장 다짐 측정 장비 - PQI(Pavement Quality Indicator)=B3-116,302,2

5.2.5. 현장 다짐 장비=B3-117,303,2

5.3. 다짐 밀도 측정 결과=B3-118,304,1

5.3.1. 현장 다짐 장비에 따른 다짐 밀도 측정 결과=B3-118,304,2

5.3.2. 포설 두께 및 전압 횟수에 따른 현장 다짐 밀도 측정 결과=B3-119,305,5

5.3.3. 각 포장 층별 시간에 따른 온도 측정 결과=B3-123,309,2

6. 아스팔트 포장의 현장 다짐관리 메뉴얼 작성=B3-125,311,2

6.1. 총칙=B3-129,315,1

6.1.1. 목적=B3-129,315,1

6.1.2. 적용 범위=B3-129,315,1

6.1.3. 일반 사항=B3-129,315,1

6.1.4. 현장 다짐관리 순서=B3-129,315,1

6.2. 현장 다짐작업=B3-130,316,1

6.2.1. 일반 사항=B3-130,316,1

6.2.2. 다짐작업 순서=B3-130,316,1

6.2.3. 다짐 방법=B3-130,316,2

6.2.4. 포설 및 다짐 중 시공 표면의 관찰=B3-131,317,1

6.2.5. 구조물과의 접속 부분 처리=B3-132,318,1

6.2.6. 이음부의 택 코트=B3-132,318,1

6.3. 현장 시료의 채취=B3-132,318,1

6.3.1. 적용 범위=B3-132,318,1

6.3.2. 일반 사항=B3-132,318,2

6.3.3. 가열 아스팔트 혼합물의 시료 채취=B3-133,319,1

6.3.4. 아스팔트 포장의 코어시료 채취=B3-133,319,1

6.4. 포장의 현장 다짐도 조사방법=B3-133,319,1

6.4.1. 적용 범위=B3-133,319,1

6.4.2. 다짐밀도의 측정=B3-134,320,1

6.4.3. 현장 다짐도의 조사=B3-134,320,2

6.5. 동절기 현장 다짐관리=B3-135,321,1

6.5.1. 일반 사항=B3-135,321,1

6.5.2. 동절기 포장 시공의 품질관리 사항=B3-135,321,1

6.5.3. 동절기 포장시공 점검표=B3-136,322,1

7. 결론 및 향후 계획=B3-137,323,4

참고문헌=B3-141,327,4

표목차

(표 2.1) 이론최대밀도 및 공극률 비교=B1-26,39,1

(표 3.1) 현장 배합설계시 타격회수 산정 방식=B1-32,45,1

(표 3.2) 배합설계시 이론밀도 산출 방식=B1-32,45,1

(표 3.3) 계급별 이론최대밀도 차이 분석=B1-37,50,1

(표 3.4) 다짐도 기준 만족 현장의 공극률 기준 만족여부=B1-45,58,1

(표 3.5) 현장별 아스팔트 함량 관리 현황=B1-49,62,1

(표 3.6) 골재 입도의 허용오차 기준 비교=B1-51,64,1

(표 3.7) 아스팔트 혼합물의 현장배합 허용오차 (표층)=B1-58,71,1

(표 3.8) 아스팔트 혼합물의 현장배합 허용오차 (중간층)=B1-63,76,1

(표 3.9) 아스팔트 혼합물의 현장배합 허용오차 (BB-1)=B1-68,81,1

(표 3.10) 아스팔트 혼합물의 현장배합 허용오차 (BB-2)=B1-73,86,1

(표 4.1) 가열 아스팔트 혼합물의 불량한 상태와 그 원인=B1-80,93,1

(표 4.2) 포설 마무리중에 일어나는 결함과 그 원인=B1-81,94,1

(표 4.1) 아스팔트 시멘트의 물리적 특성=B2-31,147,1

(표 4.2) 골재의 물리적 특성=B2-32,148,1

(표 4.3) 기존 마샬 배합설계 결과=B2-35,151,1

(표 4.4) 수정 마샬 배합설계 결과=B2-36,152,1

(표 4.5) 변형강도(SD)를 이용한 배합설계 결과(이미지참조)=B2-38,154,1

(표 4.6) 파괴에너지(FE)를 이용한 배합설계 결과=B2-40,156,1

(표 4.7) 변형강도(SD)와 파괴에너지(FE)를 이용한 배합설계 결과(이미지참조)=B2-42,158,1

(표 4.8) 반복성 검증을 위한 배합설계 결과(건기연 I)=B2-43,159,1

(표 2.1) 롤러 속도의 범위(mph)=B3-43,229,1

(표 5.1) 골재 품질 시험 결과=B3-113,299,1

(표 5.2) 각 포장 층의 배합설계 결과=B3-113,299,1

(표 5.3) 기층의 포설두께 및 전압횟수=B3-115,301,1

(표 5.4) 중간층의 포설두께 및 전압횟수=B3-115,301,1

(표 6.1) 시료 채취의 최소량=B3-133,319,1

그림목차

(그림 1.1) 전체 연구수행 방법=B1-4,17,1

(그림 2.1) 13mm SMA 입도의 조절점=B1-10,23,1

(그림 2.2) 골재 생산을 위한 크러셔 배치도(석산)=B1-12,25,1

(그림 2.3) 골재 생산을 위한 크러셔 배치도(아스콘플랜트)=B1-12,25,1

(그림 2.4) 아스팔트 혼합물의 구성요소=B1-18,31,1

(그림 2.5) 아스팔트 혼합물의 질량 - 체적 관계 개념도=B1-19,32,1

(그림 2.6) 아스팔트 혼합물용 골재 비중 현황=B1-25,38,1

(그림 2.7) 아스팔트 흔합물 종류별 이론최대밀도 현황=B1-27,40,1

(그림 2.8) 아스팔트 혼합물 종류별 공극률 현황=B1-27,40,1

(그림 3.1) 현장별 표층 설계밀도와 시공 후 실측밀도 비교=B1-34,47,1

(그림 3.2) 현장별 중간층 설계밀도와 시공 후 실측밀도 비교=B1-34,47,1

(그림 3.3) 현장별 기층 설계밀도와 시공 후 실측밀도 비교=B1-34,47,1

(그림 3.4) 표층 혼합물의 이론최대밀도 값의 차=B1-35,48,1

(그림 3.5) 중간층 혼합물의 이론최대밀도 값의 차=B1-36,49,1

(그림 3.6) 기층 혼합물의 이론최대밀도 값의 차=B1-36,49,1

(그림 3.7) 계산 및 실측이론최대 밀도 적용에 따른 공극률 차이(표층)=B1-38,51,1

(그림 3.8) 계산 및 실측이론최대 밀도 적용에 따른 공극률 차이(중간층)=B1-38,51,1

(그림 3.9) 계산 및 실측이론최대 밀도 적용에 따른 공극률 차이(기층)=B1-39,52,1

(그림 3.10) 아스팔트 포장의 공극률과 투수성의 관계(Georgia)=B1-40,53,1

(그림 3.11) 현장조건 아스팔트바인더의 침입도와 공극률의 관계=B1-41,54,1

(그림 3.12) 현장별 표층 설계공극률과 시공 후 실측공극률 비교=B1-42,55,1

(그림 3.13) 현장별 중간층 설계공극률과 시공 후 실측공극률 비교=B1-42,55,1

(그림 3.14) 현장별 기층 설계공극률과 시공 후 실측공극률 비교=B1-43,56,1

(그림 3.15) 현장별 표층 혼합물 다짐도 실측결과=B1-44,57,1

(그림 3.16) 현장별 중간층 혼합물 다짐도 실측결과=B1-44,57,1

(그림 3.17) 현장별 기층 혼합물 다짐도 실측결과=B1-45,58,1

(그림 3.18) 다짐도를 만족하는 현장의 표층 혼합물 공극률 실측결과=B1-46,59,1

(그림 3.19) 다짐도를 만족하는 현장의 중간층 혼합물 공극률 실측결과=B1-46,59,1

(그림 3.20) 다짐도를 만족하는 현장의 기층 혼합물 공극률 실측결과=B1-47,60,1

(그림 3.21) 현장별 표층 설계 AP함량과 시공 후 실측 AP함량 비교=B1-48,61,1

(그림 3.22) 현장별 중간층 설계 AP함량과 시공 후 실측 AP함량 비교=B1-48,61,1

(그림 3.23) 현장별 기층 설계 AP함량과 시공 후 실측 AP함량 비교=B1-48,61,1

(그림 3.24) 가열 아스팔트 혼합물의 입도범위와 범위 이외에서의 예상되는 문제=B1-52,65,1

(그림 3.25) 배합설계시 혼합물의 입도평균 및 표준편차-표층(19mm)=B1-54,67,1

(그림 3.26) 시공후 포설된 혼합물의 입도-표층(19mm)=B1-54,67,1

(그림 3.27) 시공후 포설된 혼합물의 입도평균 및 표준편차-표층(19mm)=B1-55,68,1

(그림 3.28) 실측치와 배합설계시 혼합물의 입도차이-표층(19mm)=B1-55,68,1

(그림 3.29) 현장배합오차(표층)=B1-58,71,1

(그림 3.30) 배합설계시 혼합물의 입도평균 및 표준편차-중간층=B1-59,72,1

(그림 3.31) 시공후 포설된 혼합물의 입도-중간층=B1-60,73,1

(그림 3.32) 시공후 포설된 혼합물의 입도평균 및 표준편차-중간층=B1-60,73,1

(그림 3.33) 실측치와 배합설계시 혼합물의 입도차이-중간층=B1-61,74,1

(그림 3.34) 현장배합오차(증간층)=B1-63,76,1

(그림 3.35) 배합설계시 혼합물의 입도평균 및 표준편차-기층(BB-1)=B1-64,77,1

(그림 3.36) 시공후 포설된 혼합물의 입도-기층(BB-1)=B1-65,78,1

(그림 3.37) 시공후 포설된 혼합물의 입도평균 및 표준편차-기층(BB-1)=B1-65,78,1

(그림 3.38) 실측치와 배합설계시 혼합물의 입도차이-기층(BB-1)=B1-66,79,1

(그림 3.39) 현장배합오차(BB-1)=B1-68,81,1

(그림 3.40) 배합설계시 혼합물의 입도평균 및 표준편차-기층(BB-2)=B1-69,82,1

(그림 3.41) 시공후 포설된 혼합물의 입도-기층(BB-2)=B1-70,83,1

(그림 3.42) 시공후 포설된 혼합물의 입도평균 및 표준편차-기층(BB-2)=B1-70,83,1

(그림 3.43) 실측치와 배합설계시 혼합물의 입도차이-기층(BB-2)=B1-71,84,1

(그림 3.44) 현장배합오차(BB-2)=B1-73,86,1

(그림 2.1) 가열 아스팔트 혼합물의 마샬 배합설계 절차=B2-14,130,1

(그림 2.2) (a) 마샬 하중재하와 (b) 타이어 하중재하 방식 비교=B2-16,132,1

(그림 3.1) 하중봉의 밑면과 가장자리 라운드 컷의 상세도=B2-21,137,1

(그림 3.2) Kim Tester 의 하중재하 메커니즘과 개략도=B2-22,138,1

(그림 3.3) 15cm 공시체(좌)와 10cm 공시체(우)를 위한 Kim Test 몰드와=B2-23,139,1

(그림 3.4) 마샬시험기위의 Kim Tester 셋팅 모습=B2-23,139,1

(그림 3.5) Kim Test의 하중 - 변형 곡선=B2-24,140,1

(그림 3.6) 회복탄성계수 시험 하중재하 방법=B2-25,141,1

(그림 3.7) Fracture Energy와 DCSEF 의 결정(이미지참조)=B2-27,143,1

(그림 4.1) 13㎜ 골재 입도 그래프=B2-32,148,1

(그림 4.2) 19㎜ 골재 입도 그래프=B2-33,149,1

(그림 4.3) 다짐횟수 선정=B2-34,150,1

(그림 4.4) 기존 마샬 배합설계의 결과의 예=B2-35,151,1

(그림 4.5) 최고 SD에서의 아스팔트 함량 범위 결정의 예(이미지참조)=B2-37,153,1

(그림 4.6) SD와 VMA에 의한 배합설계의 결과(이미지참조)=B2-37,153,1

(그림 4.7) 최고 FE에서의 아스팔트 함량 범위 결정의 예=B2-39,155,1

(그림 4.8) FE와 VMA에 의한 배합설계의 결과=B2-39,155,1

(그림 4.9) FE와 VMA에 의한 배합설계의 결과=B2-41,157,1

(그림 4.10) 아스팔트 함량에 따른 파괴에너지(FE)=B2-41,157,1

(그림 4.11) SD와 FE에 의한 배합설계의 결과(이미지참조)=B2-42,158,1

(그림 4.12) 골재 입도 특성에 따른 배합설계 결과 (PG 64-22)=B2-44,160,1

(그림 4.13) 골재 입도 특성에 따른 배합설계 결과 (PG 76-22)=B2-45,161,1

(그림 4.14) 바인더 특성에 따른 배합설계 결과 (13㎜)=B2-46,162,1

(그림 4.15) 바인더 특성에 따른 배합설계 결과 (19㎜)=B2-46,162,1

(그림 4.16) 바인더 함량에 따른 변형강도(SD) 특성 (13㎜)(이미지참조)=B2-47,163,1

(그림 4.17) 바인더 함량에 따른 변형강도(SD) 특성 (19㎜)(이미지참조)=B2-48,164,1

(그림 4.18) 바인더 함량에 따른 파괴에너지(FE) 특성 (13㎜)(이미지참조)=B2-49,165,1

(그림 4.19) 바인더 함량에 따른 파괴에너지(FE) 특성 (19㎜)=B2-49,165,1

(그림 1.1) 연구 수행 흐름도=B3-4,190,1

(그림 1.2) 2단계 연차별 연구 내용=B3-5,191,1

(그림 1.3) 아스팔트 포장 시공프로세스를 고려한 주요 품질관련 아이템=B3-7,193,1

(그림 2.1) 아스팔트 포장의 주요 시공단계 및 품질관리 아이템=B3-11,197,1

(그림 2.2) 호주 Kiama 근방의 Oak Flats Interchange=B3-13,199,1

(그림 2.3) 호주 Wollongong 근처 고속도로(표층에 전기로 슬래그 사용)=B3-14,200,1

(그림 2.4) 적외선 카메라로 촬영한 신설포장의 온도분포, (2005년도 네델란드 시공장면)=B3-15,201,1

(그림 2.5) 페이버 2대위 Echleon 포장공법 시공 전경=B3-16,202,1

(그림 2.6) 아스팔트 포장의 다짐도 구하는 공식=B3-17,203,1

(그림 2.7) 아스팔트 플랜트에서의 혼합물 적재패턴=B3-24,210,1

(그림 2.8) 아스팔트 플랜트의 경우 사용금지 표지=B3-24,210,1

(그림 2.9) 아스팔트 혼합물의 하차 : 적재함의 뒷 쪽문을 마지막에 열어주는 모습=B3-25,211,1

(그림 2.10) 미국 ROADTEC사의 MTV인 Shuttle Buggy의 모습=B3-26,212,1

(그림 2.11) 미국 ROADTEC사의 Shuttle Buggy 작업광경=B3-27,213,1

(그림 2.12) 미국의 NCAT Test Track 시험포장증인 Shuttle Buggy : 페이버의 좌측에서 투입구를 이용하여 혼합물 투입광경=B3-28,214,1

(그림 2.13) 일반적인 트럭과 페이버의 연결에 의한 포설면의 온도편차로 인한 예상 포트홀 지역=B3-28,214,1

(그림 2.14) ROADTEC사의 Shuttle Buggy를 활용한 포장면의 온도편차에 의한 분리 현상이 없는 포장면의 상태=B3-29,215,1

(그림 2.15) 택 코트 시공1=B3-30,216,1

(그림 2.16) 택 코트 시공2=B3-30,216,1

(그림 2.17) 아스팔트 혼합물 페이버의 구성도=B3-32,219,1

(그림 2.18) Windrow Elevator=B3-34,220,1

(그림 2.19) 페이버 전경=B3-35,221,1

(그림 2.20) 페이버 호퍼의 바닥=B3-35,221,1

(그림 2.21) 페이버를 통한 아스팔트 혼합물의 흐름=B3-36,222,1

(그림 2.22) 페이버 오거(Auger)=B3-36,222,1

(그림 2.23) 다짐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B3-38,224,1

(그림 2.24) 포설온도 및 두께, 하부 층의 온도에 따른 다짐 허용시간=B3-39,225,1

(그림 2.25) Tandem Steel Roller=B3-41,227,1

(그림 2.26) 타이어롤러=B3-42,228,1

(그림 2.27) 진동 철륜롤러=B3-42,228,1

(그림 2.28) 다짐통과 횟수의 설정 방안=B3-45,231,1

(그림 2.29) 밀도 측정을 위한 방사능 게이지=B3-50,236,1

(그림 2.30) Nuclear Gauge 밀도측정장치의 개요도=B3-51,237,1

(그림 2.31) 시공 마무리(Butt) 가로 이음부=B3-52,238,1

(그림 2.32) 시공 마무리 가로 이음부에 택 코트 살포 장면=B3-52,238,1

(그림 2.33) 경사진 끝단(Tapered) 가로 이음부=B3-53,239,1

(그림 2.34) 경사진 끝단(Tapered) 가로 이음부의 시공=B3-53,239,1

(그림 2.35) 일반적인 세로 이음부 처리 방법=B3-54,240,1

(그림 3.1) 페이버 스크리드의 구성=B3-73,259,1

(그림 3.2) 스크리드에 작용하는 6개의 기본적인 힘=B3-73,259,1

(그림 3.3) 리드 크라운의 역할과 포장체의 표면 Texture의 변화=B3-88,274,1

(그림 3.4) 스크리드 판과 Strike-Off의 위치=B3-89,275,1

(그림 4.1) MTV가 없는 아스팔트 포장공사 패턴=B3-100,286,1

(그림 4.2) MTV를 활용한 아스팔트 포장공사 패턴=B3-101,287,1

(그림 4.3) MTV를 활용한 시공 장면 (2005년도 스페인)=B3-102,288,1

(그림 4.4) 미국 Roadtec사의 Shuttle Buggy SB-2500의 상세도=B3-103,289,1

(그림 4.5) 스페인 국립 도로연구소(CEDEX)에서 실새한 MTV공용성 평가 시험 (사진왼쪽: 일반포장, 오른쪽 윗부분: MTV사용구간)=B3-103,289,1

(그림 4.6) 아스팔트 포장의 품질보증 장비료 사용 중인 적외선 카메라, Flir=B3-104,290,1

(그림 4.7) 미국 Troxler사의 Non-Nuclear 방식의 현장밀도 측정장치인 Pave TrackerTM(이미지참조)=B3-106,292,1

(그림 5.1) 시험 포장 구간=B3-114,300,1

(그림 5.2) PQI의 작동원리=B3-117,303,1

(그림 5.3) 현장 다짐 밀도 측정 전경=B3-117,303,1

(그림 5.4) 시험포장에서 사용된 공정별 다짐 장비의 구성과 다짐 온도=B3-118,304,1

(그림 5.5) 다짐 장비에 따른 다짐 밀도 측정 결과=B3-119,305,1

(그림 5.6) A구간에서의 다짐 장비에 따른 전압 횟수(중간층)=B3-120,306,1

(그림 5.7) B구간에서의 다짐 장비에 따른 전압 횟수(중간층)=B3-120,306,1

(그림 5.8) C구간에서의 다짐 장비에 따른 전압 횟수(중간층)=B3-121,307,1

(그림 5.9) A구간에서의 다짐 장비에 따른 전압 횟수(표층)=B3-122,308,1

(그림 5.10) B구간에서의 다짐 장비에 따른 전압 횟수(표층)=B3-122,308,1

(그림 3.11) C구간에서의 다짐 장비에 따른 전압 횟수(표층)=B3-123,309,1

(그림 5.12) 시간에 따른 각 포장 층의 온도 변화=B3-124,310,1

(그림 6.1) 현장 다짐관리 매뉴얼 목차=B3-128,31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