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요약문 7

제1장 서론 : 정보통신사회의 특성과 도덕규범 11

제1절 정보통신사회의 명암과 도덕규범의 역할 11

제2절 정보통신사회에서 익명성의 문제 14

제3절 연구의 내용 및 구성 15

제2장 익명성과 도덕성의 악연 : 반지의 제왕 신화 18

제1절 플라톤의 "기게스의 반지" 신화 : 익명성의 신화적 원형 18

제2절 투명인간과 할로우 맨 : 익명성 문제의 현대적 유전 23

제3절 사이버 공간에서의 투명인간 해프닝 25

제3장 근대 시민사회와 대중사회에서의 익명성과 사회규범 27

제1절 근대 시민사회에서 익명성의 문제 27

제2절 대중, 도시, 군중 : 몰개성화 이론과 군중의 집단 일탈행동 29

제3절 익명성의 역사와 사회적 관행 34

제4장 사이버 공간에서 익명성의 탈금제 효과와 그 야누스적 측면 39

제1절 사이버 공간의 특징과 익명성 39

제2절 익명성의 탈금제 효과와 그 양면성 42

제3절 익명성의 탈금제 효과에 대한 이론적 고찰 45

제4절 익명성의 탈금제 효과에 대한 제반론 고찰 50

제5장 익명성의 순기능과 역기능에 따른 찬반양론과그 쟁점 56

제1절 사이버 공간에서의 자아정체성, 가명성, 익명성 56

제2절 인터넷에서 익명적 활동 유형과 설문 조사 분석 62

제3절 익명성의 순기능과 역기능에 결부된 찬반양론 67

제4절 찬반양론의 주요 쟁점 : 제가치의 충돌과 암호화 기술 논란 71

제5절 익명성과 프라이버시의 보호 75

제6장 법적 권리로서의 익명성 : 익명적 표현의 자유와 정보실명제 82

제1절 현실 공간에서 익명적 표현의 권리 82

제2절 사이버 공간에서 익명성의 권리 87

제3절 익명성의 권리에 대한 규제 근거와 그 반론 92

제4절 정보통신실명제 논쟁 95

제7장 익명적 사이버 공간에서의 효율적인 규범 형성 100

제1절 익명성 문제의 해결을 위한 정책 제안 분석 100

제2절 익명성 문제의 모형화와 다양한 해결책 : 네티켓과 행동규칙, 윤리강령, 자율규제 105

제3절 정보통신사회에서 도덕의 정체성 112

제4절 익명성의 사이버 윤리 : 그 수립 가능성 117

제8장 결론 : 익명적 삶의 윤리를 위한 철학적 제언 125

제1절 익명성의 탈금제 효과 : 그 함축성과 통합이론의 가능성 125

제2절 익명성의 탈금제 효과와 그 문화적 해명 : 유교 문화와 익명적 일탈행동 128

제3절 익명성과 자아정체성의 위기와 그 치유 가능성 : 융의 심리철학적 관점 131

참고문헌 137

표목차

[표 3-1] 익명성의 거주지역별 변화 추이 30

[표 3-2] 익명성과 몰개성화가 집단적 일탈행동에 미치는 영향 32

[표 5-1] 의사익명적 리메일러의 작동 방식 59

[표 5-2] 암호화와 결부된 익명적 리메일러의 사용 방식 62

[표 5-3] 인터넷 상의 다양한 익명적 활동 63

[표 5-4] 익명성과 프라이버시의 관계 77

그림목차

[그림 2-1] 영화 [반지의 제왕] 제1부작 "반지 원정대" 18

[그림 2-2] 투명인간을 소재로 한 영화 [할로우 맨]의 한 장면 23

[그림 4-1] 네트의 익명성 "인터넷에서는 아무도 내가 개라는 것을 모를 걸" 42

[그림 5-1] 정체성의 변화 단계 58

[그림 5-2] 인터넷에서의 전자감시와 프라이버시 침해(from the Vicnet Zine) 75

[그림 8-1] 집단무의식의 한 원형인 "그림자" 135

이용현황보기

익명성의 문제와 도덕규범의 구속력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EM0000002098 ER 전자형태로만 열람가능함 이용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