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프롤로그 : 현대 문명의 젖줄

1부 번영과 탐욕의 두 얼굴

1 석유시대의 종말과 CSIS 연구보고서

2 '검은 황금'을 둘러싼 갈등과 각축

3 누가 석유를 지배하는가

4 피를 부르는 석유

2부 지구촌의 석유 분쟁

1 세계의 화약고 페르시아 만의 석유 분쟁

2 유라시아의 발칸 카스피 해의 석유 분쟁

3 자유의 땅 남중국 해의 석유 분쟁

4 검은 대륙 아프리카에서 벌어지는 새로운 쟁탈전

3부 석유에 중독된 미국과 반미 카르텔

1 피 묻은 석유를 향한 미국의 탐욕

2 제3의 석유 위기 부를 반미 카르텔

에필로그 : 당신은 석유 위기를 실감하십니까?

더 읽어볼 만한 책들

이용현황보기

석유, 욕망의 샘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1187005 333.8232 ㄱ848ㅅ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1188847 333.8232 ㄱ848ㅅ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1188848 333.8232 ㄱ848ㅅ 부산관 서고(열람신청 후 2층 주제자료실) 이용가능

책속에서

알라딘제공
중동 석유 분쟁의 첫째 측면은 개발 초기의 석유 이권을 둘러싼 분쟁이다. 20세기 전반기 서유럽의 석유회사들은 맨 먼저 이란, 그 다음으로 이라트에서 유전을 개발해 석유를 유럽 땅으로 퍼 나르기 시작했다.

1939년 제2차 세계대전이 터지기 전 20년 남짓 동안 중동 지역에서 세력이 가장 강했던 나라는 영국이었다. 영국계 석유회사인 브리티시페트롤리엄이 이란에서 남들보다 앞서 석유를 퍼 올린 것도 그런 역사적 배경을 깔고 있다. 이어 이라크 석유의 개발에는 브리티시페트롤리엄뿐만 아니라, 네덜란드와 프랑스의 석유자본도 끼어있었다. - 본문 72~73쪽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