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판권기
목차
Ⅰ. 서론 9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9
2. 연구 범위 및 내용 10
3. 연구 방법 11
1) 관련 문헌 및 자료 분석 11
2) 전문가 자문회의 및 국제 심포지엄 개최 11
3) 실태조사 실시 11
(1) 일반 고등학생에 대한 실태조사 11
(2) 청소년 상담기관의 상담 및 치료현황 조사 12
(3) 면접조사 (질적 분석) 13
Ⅱ. 은둔형 외톨이의 개념 14
1. 개념정의 14
1) 은둔형 외톨이 14
2) 은둔형 부적응 청소년 15
2. 발생원인 15
1) 가족 요인 15
2) 학교에서의 부적응 16
3) 사회문화적 요인 17
Ⅲ. 우리나라 은둔형 외톨이 등 사회부적응 청소년 실태 18
1. 은둔형 부적응 청소년 실태 18
1) 일반 고등학생 중 ‘은둔형 부적응 청소년’ 의 실태 조사 18
(1) 잠재군과 위험군의 특성 19
(2) 잠재군과 위험군의 정서적ㆍ행동적 문제 26
2) ‘사회 회피형 부적응 청소년’의 상담 및 치료 현황 조사 27
3) 병원에서 ‘은둔형 외톨이’로 진단된 청소년에 대한 질적 분석 34
(1) 은둔을 선택하게 된 원인 및 과정 36
(2) 지지체계(가족관계)에 대한 생각 39
(3) 무엇이 변해야 현재의 상황이 달라질 수 있을까? 40
4) 은둔형 부적응 청소년의 특성 및 시사점 42
(1) ‘은둔형 부적응 청소년’ 잠재군과 위험군의 비율과 특성 43
(2) ‘은둔형 부적응 청소년’ 사례들 : 문제의 확산 및 무기력화 44
(3) 사회 회피의 원인과 과정 44
2. 청년무업자(NEET)와 은둔형 외톨이 46
1) 청년무업자(NEET)의 현황과 실태 47
(1) 니트의 정의 47
(2) 청년무업자의 규모 및 특성 49
(3) 니트의 주된 활동상태 55
(4) 취업희망여부에 따른 니트의 분류 56
2) 청년무업자의 취업확률과 취업 결정요인 58
(1) 니트의 취업 이행확률 58
(2) 니트의 취업 결정요인 분석 60
Ⅳ. 외국의 은둔형 외톨이 등 사회부적응 청소년 개입방안 63
1. 일본 63
1) 실태 및 주요 특성 63
(1) 일본의 부등교 아동학생수(무타 다케오, 2005) 63
(2) '지속적인 부등교가 은둔형 외톨이'가 되는 원인(무타 다케오, 2005) 64
(3) 은둔형 외톨이의 개념(후생노동성, 2004) 65
2) 사회부적응 청소년에 대한 개입전략(키시 토시로, 2005). 69
(1) 사회부적응 청소년의 특징 69
(2) Q.O.L.P. 69
3) 정부의 정책 72
(1) 문부과학성 정책(쿠라미 쇼이치, 2005) 72
(2) 후생노동성 정책(후생노동성, 2004) 75
4)/3) 시사점 88
2. 영국 89
1) 영국의 청소년 문제 89
2) 영국의 청소년 보호 정책 90
(1) 역사 90
(2) 청소년 서비스의 구조 90
3) Connexions 서비스 91
(1) Connexions 사업목표 91
(2) Connexions 주요 사업 대상 92
(3) Connexions 구성 및 활동 92
4) 정부의 청소년 정책 95
(1) 청소년의 권리 제공 95
(2) 청소년의 자원봉사 활동과 지역 사회 참여 96
(3) 정보, 조언, 지도(Information, Advice and Guidance: IAG)의 제공방법 개선 96
(4) 위기 청소년에 대한 집중적인 지원 97
5) 시사점 97
3. 미국 99
1) 정부 정책의 방향 99
2) 주요 정책 100
(1) YouthBuild 101
(2) Job Corps 103
(3) School-To-Work 106
3) 시사점 112
Ⅴ. 우리나라 은둔형 외톨이 등 사회부적응 청소년을 위한 지원방안 114
1. 통합적인 은둔형 부적응 청소년 지원방안 114
1) 조기 개입의 필요성 114
2) e-멘토링(electronic mentoring) 제도의 운영 116
3) 집단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117
(1) 은둔형 부적응 청소년 잠재군 118
(2) 은둔형 부적응 청소년 위험군 119
(3) 은둔형 부적응 청소년 고위험군 123
4) 기숙형 치료센터 설립 125
5) 청년 무업자(NEET) 지원방안 127
6) 다협력체제 구축을 위한 통합적인 지원 정책 추진 129
7) 청소년 복지 대상으로 확대 131
2. 단계별 은둔형 부적응 청소년 지원 체계 132
1) 1단계 ; 접수 및 의뢰 단계 133
(1) 청소년상담전화 1388 133
(2) 사이버상담 133
2) 2단계 ; 가정방문 134
3) 3단계 ; 평가(assessment) 135
4) 4단계 ; 계획 수립 136
(1) 지원 방향 136
(2) 사례관리자(case manager) 136
(3) 사례평가협의회 136
5) 5단계 ; 단기 개입 137
(1) e-mentoring 137
(2) 가정방문상담 138
(3) 폭력 및 자해 행위에 대한 긴급 대응 138
(4) 전문치료병원 연계 139
6) 6단계 ; 중ㆍ장기 개입 1 - 가족 지원 139
(1) 가족상담 139
(2) 가족심리교육ㆍ자조모임 140
7) 7단계 ; 중ㆍ장기 개입 2 - 은둔형 부적응 청소년 지원 140
(1) 심리 지원 : 개인상담(개별상담) 141
(2) 심리지원 2 : 집단프로그램 참가 141
(3) 학습지원 141
(4) 취업지원 142
(5) 사회복지지원 142
(6) 기숙형치료센터 143
8) 8단계 ; 종결(평가) 143
3. 유형별 차별화된 은둔형 부적응 청소년 지원 방안 144
1) 은둔형 부적응 청소년 잠재군(비활동성) 145
2) 은둔형 부적응 청소년 위험군(비활동성 + 친구 부재) 146
3) 은둔형 부적응 청소년 고위험군(비활동성 + 친구 부재 + 비생산성) 146
4) 은둔형 외톨이 147
4. 전문치료 개입전략 147
1) 은둔형 부적응 청소년 개입체계 구축 147
2) 구출 프로그램 148
(1) 1단계 구조 ; 기숙시설 148
(2) 2단계 구조 ; 구조캠프 149
(3) 3단계 구조 ; Q.O.L.P.(Quality of Life Production) 149
Ⅵ. 결론 151
참고문헌 154
[부록 1] 일반학교 설문지 158
[부록 2] 상담기관 설문지 173
[그림 1] 부등교 아동/학생 수의 연도별 변화 63
[그림 2] Q.O.L.을 프로듀스하는 세가지 힘 70
[그림 3] Q.O.L.P.의 여섯가지 목표 71
[그림 4] Q.O.L.P.가 목표로 하는 사업구조 72
[그림 5] 위기상황 청소년의 분류 영역 94
[그림 6] 은둔형 부적응 청소년 지원체계 131
[그림 7] 단계별 은둔형 부적응 청소년 지원 체계 132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