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제 1 장 총칙 9

1.1 목적 11

1.2 적용범위 11

1.3 용어의 정의 11

1.4 안전관리업무 흐름 12

제 2 장 관리일반 13

2.1 일반 15

2.1.1 점검 및 진단 실시 15

2.1.2 점검 및 진단 시의 안전에 관한 사항 15

2.2 관리에 필요한 자료 17

2.2.1 설계 및 준공 관련도서 17

2.2.2 사진 18

2.2.3 품질관리 관련자료 18

2.2.4 보수ㆍ보강 이력 18

2.2.5 사고기록 18

2.2.6 점검 및 진단에 필요한 사항 18

2.2.7 계측기록 18

2.2.8 건축물의 운영기록 18

2.2.9 기타 18

2.3 점검 및 진단 자료 19

2.3.1 일반 사항 19

2.3.2 점검 및 진단자료 갱신 19

2.3.3 관리대장 등 19

2.4 상태 및 안전성 평가 자료 19

2.4.1 상태평가 자료 19

2.4.2 안전성평가 자료 20

2.4.3 종합평가 자료 20

2.4.4 계측결과 자료 21

2.4.5 변화된 상태에 따른 안전성 재평가 21

제 3 장 안전점검 23

3.1 일반 25

3.1.1 정기점검 26

3.1.2 정밀점검 27

3.1.3 긴급점검 27

3.2 점검계획 및 방법 28

3.2.1 점검계획 28

3.2.2 점검방법 29

3.3 상태평가 33

3.4 안전성평가 33

3.5 종합평가 33

3.6 점검보고서 작성 33

3.6.1 서식 33

3.6.2 보고서 33

제 4 장 정밀안전진단 37

4.1 일반 39

4.2 진단계획 및 방법 39

4.2.1 진단계획 39

4.2.2 진단방법 41

4.3 상태 평가 44

4.4 안전성 평가 44

4.5 종합평가 45

4.6 진단보고서 45

제 5 장 조사ㆍ시험항목 및 수량 49

5.1 일반 51

5.1.1 정밀점검 51

5.1.2 정밀안전진단 52

5.2 조사ㆍ시험 대상 수량 기준 55

제 6 장 상태평가 기준 및 절차 61

6.1 일반 63

6.2 상태평가등급 기준 63

6.2.1 상태평가등급 63

6.2.2 평가등급 설정 기준 63

6.2.3 항목별 평가 등급기준 64

6.3 상태평가등급 판정절차 72

제 7 장 안전성평가 기준 및 절차 73

7.1 일반 75

7.2 안전성평가등급 기준 75

7.2.1 정밀점검 75

7.2.2 정밀안전진단 75

7.2.3 부재내력에 대한 평가등급 기준 76

7.3 안전성평가등급 판정절차 76

제 8 장 종합평가 기준 및 절차 77

8.1 일반 79

8.2 종합평가등급 기준 79

8.3 종합평가등급 판정절차 79

8.3.1 정밀점검 80

8.3.2 정밀안전진단 81

제 9 장 보수ㆍ보강방법 83

9.1 일반 85

9.2 보수ㆍ보강의 필요성 판단 85

9.3 보수ㆍ보강의 수준과 우선순위 결정 85

9.3.1 수준 결정 85

9.3.2 우선순위 결정 85

9.4 공법의 선정 86

부록 87

Ⅰ. 표준서식 89

「별표 1」 정기점검 표준서식 91

「별표 2」 정밀점검 표준서식 99

「별표 3」 정밀안전진단 표준서식 115

Ⅱ. 도면표시범례 133

Ⅲ. 평가요령 137

제 1 장 기본이론 139

제 2 장 평가방법 161

제 3 장 평가예제 175

판권기 211

표목차

[표 5.1-1] 철근콘크리트구조의 정밀점검 조사ㆍ시험항목 51

[표 5.1-2] 철골구조의 정밀점검 조사ㆍ시험항목 51

[표 5.1-3] 철골ㆍ철근콘크리트구조의 정밀점검 조사ㆍ시험항목 52

[표 5.1-4] 조적조의 정밀점검 조사ㆍ시험항목 52

[표 5.1-5] 철근콘크리트구조의 정밀안전진단 조사ㆍ시험항목 53

[표 5.1-6] 철골구조의 정밀안전진단 조사ㆍ시험항목 53

[표 5.1-7] 철골ㆍ철근콘크리트구조의 정밀안전진단 조사ㆍ시험항목 54

[표 5.1-8] 조적조의 정밀안전진단 조사ㆍ시험항목 54

[표 5.2-1] 조사ㆍ시험 대상 표본 층 및 단위 선정기준 55

[표 5.2-2] 철근 배근상태 등의 조사ㆍ시험 대상 표본 층 및 단위 선정기준 57

[표 5.2-3] 실내시험(콘크리트 코어강도시험 등)의 조사ㆍ시험 단위기준 59

[표 6.2-1] 상태평가등급 기준 63

[표 6.2-2] 평가등급 및 점수의 산정기준 64

[표 6.2-3] 콘크리트 강도에 대한 상태평가등급 기준 65

[표 6.2-4] 콘크리트 균열에 대한 상태평가등급 기준 65

[표 6.2-5] 콘크리트 중성화에 대한 상태평가등급 기준 65

[표 6.2-6] 콘크리트 염화물 함유량에 대한 상태평가등급 기준 66

[표 6.2-7] 콘크리트 내부의 철근부식에 대한 상태평가등급 기준 66

[표 6.2-8] 콘크리트부재에서 철근노출에 대한 상태평가등급 기준 66

[표 6.2-9] 콘크리트 박리에 대한 상태평가등급 기준 67

[표 6.2-10] 콘크리트 박락 및 층분리에 대한 상태평가등급 기준 67

[표 6.2-11] 콘크리트 누수 및 백태에 대한 상태평가등급 기준 67

[표 6.2-12] 부재의 변위ㆍ변형에 대한 상태평가등급 기준 68

[표 6.2-13] 건축물의 기울기에 대한 상태평가등급 기준 68

[표 6.2-14] 부재단면의 규격에 대한 상태평가등급 기준 69

[표 6.2-15] 강재강도에 대한 상태평가등급 기준 69

[표 6.2-16] 강재 용접부결함애 대한 상태평가등급 기준 69

[표 6.2-17] 강재 접합볼트 누락, 풀림 및 이완상태 등에 대한 상태평가등급 기준 70

[표 6.2-18] 강재부식에 대한 상태평가등급 기준 70

[표 6.2-19] 강재 용접접합부 부식에 대한 상태평가등급 기준 71

[표 6.2-20] 볼트접합부 부식에 대한 상태평가등급 기준 71

[표 6.2-21] 강재 내화피복에 대한 상태평가등급 기준 71

[표 6.3-1] 상태평가등급 판정 절차 72

[표 7.2-1] 정밀안전진단의 안전성평가등급 기준 75

[표 7.2-2] 부재내력에 대한 안전평가등급 기준 76

[표 7.3-1] 안전성평가등급 판정절차 76

[표 8.2-1] 종합평가등급 기준 79

[표 1-1] 중요도 산정 기준 146

[표 1-2] 부재 내력의 평가기준 151

[표 1-3] 중분류 평가항목의 중요도 151

[표 1-4] 부재별 중요도 산정 152

[표 1-5] 층별 중요도 산정 153

[표 1-6] R.C 벽식구조 정밀점검 평가항목 및 중요도 154

[표 1-7] R.C 벽식구조 정밀안전진단 평가항목 중요도 154

[표 1-8] 조적조 정밀점검 평가항목 및 중요도 155

[표 1-9] 조적조 정밀안전진단 평가항목 중요도 155

[표 1-10] P.C조 정밀점검 평가항목 및 중요도 156

[표 1-11] P.C조 정밀안전진단 평가항목 중요도 156

[표 1-12] R.C라멘조 정밀점검 평가항목 및 중요도 157

[표 1-13] R.C라멘조 정밀안전진단 평가항목 및 중요도 157

[표 1-14] S.R.C조 정밀점검 평가항목 및 중요도 158

[표 1-15] S.R.C조 정밀안전진단 평가항목 중요도 158

[표 1-16] 철골조 정밀점검 평가항목 및 중요도 159

[표 1-17] 철골조 정밀안전진단 평가항목 및 중요도 159

[표 1-18] 무량판구조 정밀점검 평가항목 및 중요도 160

[표 1-19] 무량판구조 정밀안전진단 평가항목 및 중요도 160

[표 2-1] 현장조사 결과 정리 166

[표 2-2] 부재의 노후도 평가수치 표 169

그림목차

[그림 1.4-1] 건축물의 안전관리업무 흐름도 12

[그림 2.4-1] 계측의 필요성을 판단하는 업무의 흐름도 20

[그림 3.1-1] 정기점검 업무의 흐름도 25

[그림 3.1-2] 정밀점검 및 긴급점검 업무의 흐름도 26

[그림 4.1-1] 정밀안전진단업무의 흐름도 40

[그림 8.3-1] 정밀점검의 철근콘크리트구조에 대한 종합평가등급 판정체계 80

[그림 8.3-2] 정밀점검의 철골구조에 대한 종합평가등급 판정체계 80

[그림 8.3-3] 정밀안전진단의 철근콘크리트구조에 대한 종합평가등급 판정체계 81

[그림 8.3-4] 정밀안전진단의 철골구조에 대한 종합평가등급 판정체 81

[그림 1-1] 퍼지적분 개념도 145

[그림 1-2] 평가항목(노후현상) 사이의 관계도 147

[그림 1-3] 내구성과 부재내력의 관계도(일본건축학회) 149

[그림 1-4] 대상건축물의 평면약도 152

[그림 2-1] 노후도 평가등급 Ds의 소속함수(μ(TM)s(x)) 168

[그림 3-1] 압축 파일의 구성요소 177

[그림 3-2] 프로그램 설치화면 177

[그림 3-4] 기본정보 입력창 178

[그림 3-5] 표본층 및 구역설정 입력창 179

[그림 3-6] 구조형식 입력창 179

[그림 3-7] 안전성평가 진단정보 입력창 180

[그림 3-8] 상태평가 진단정보 입력창 180

[그림 3-9] 변위ㆍ변형 진단정보 입력창 181

[그림 3-10] 평가완료 메시지 창 181

[그림 3-11 ] 평가수행 절차 1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