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개정판 서문
초판 서문
1장 매화 향 가득하니, 봄이다!
기차 안에서 ● 기차는 늘 시간 속을 달린다
아아, 섬진강 ● 섬진강을 따라 걸으면 나도 강물이 되어 흐른다
고흥반도 ● 봄은 늘 사람을 어쩔 줄 모르게 한다
지리산 불무장등 무착대 ● 작은 산이 큰 산을 가리고 있네, 멀고 가까움이 다르기 때문이네
다압리 매화마을 ● 꽃은 절정인데 매향을 들을 수 없다
운주사 ● 그러나 나는 쉬고 있는 부처가 좋다
2장 옛 사람의 마음에 취하다
적벽 ● 이제 달 뜨면 아름다울 이곳에 있지 못하리
해남 두륜산 대흥사 ● 아름다운 고목과 청허당의 마음이 있는 곳
강진 ● 햇빛과 동백 그리고 옛사람 그리운 백련사
다산초당 ● 천일각에 가면 그가 뒷짐을 지고 구강포를 바라보고 서 있는 것을 볼 수 있네
칠량 봉황리 ● 가업을 이어가기는 어렵고, 세상은 아직 알아주지 않는다
고금도 충무사 ● 아무도 없는 늦은 오후 이곳에 오면 한 사람의 마음을 느낄 수 있다
마량의 밤 ● 여관에서, 그리움으로
마량의 아침 ● 산다는 건 망설임이며 차마 어쩔 수 없음이다
관산 방촌리 ● 날은 미칠 듯 맑은데 오래 묵은 매화 한 그루 만발해 있다
3장 바다와 바람 그리고 길
장환 일몰 ● 바다가 하도 찬란해 쳐다볼 수 없다
천관 초야 ● 보면, 그대 역시 잊지 못할 것이다
천관산 장천오미 ● 숨겨두고 혼자 즐긴다는 말의 의미를 아는가
천관산 장안사 ● 아름다움이 바로 문 밖에 있으니 또 어디로 가랴
가지산 보림사 ● 옛 사람들은 마음을 움직이지 않았는데, 요즘 사람들은 몸을 움직이지 않는다
4장 아무 계획 없이, 아무 목적 없이
땅끝 사자봉에서 보길도 격자봉까지
● 사람과 사람 사이에는 섬이 있다는데 나도 바닷길을 따라 그 섬에 가고 싶다
보옥리 뾰족산 ● 이곳을 놓치면 보길도를 보았다고 하기 어렵다
보길도 예송리 ● 바다를 즐기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완도 선착장 ● 부두에 매여 있는 배들을 보면 자유로움을 느낀다
장좌리 장도 ● 바람과 파도 속에서 그때를 아쉬워한다
완도에서 녹동까지 ● 아름다운 한려수도 푸른 뱃길을 따라
하동 쌍계사 ● 벚꽃은 이미 지고
목포 ● 볼 것도 많고 먹을 것도 많다
5장 아름다운 섬 이야기
흑산도 ● 흑산도에는 아직 홍어가 있고 예리 포구에는 옛날의 정취가 남아 있다
홍도 ● 아름답고 슬픈 구녕섬
관매도 ● 잘록한 허리에 천리향 향기로운 섬
진도 용장산성과 제주 항파두리 ● 항전 9개월, 또 2년 그리고 700년 뒤
한라산 ● 구름 속 눈 위의 산책
귀환 ● 다시 일상으로
후기
사진작가의 말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1274365 | 811.6 ㄱ413ㄷㄱ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
0001274366 | 811.6 ㄱ413ㄷㄱ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
0001282667 | 811.6 ㄱ413ㄷㄱ | 부산관 서고(열람신청 후 2층 주제자료실) | 이용가능 | |
0001282668 | 811.6 ㄱ413ㄷㄱ | 부산관 서고(열람신청 후 2층 주제자료실)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