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옮긴이 머리말 5

?추천사 오모 그루페 9

?머리말 13

제1장 놀이, 게임, 경기 그리고 스포츠 19

제2장 제례의식에서 기록추구로 41

신성한 것과 세속적인 것 43

평등 59

전문화 74

합리화 79

관료화 86

계량화 89

기록추구 94

근대스포츠의 특징 98

제3장 자본주의, 신교, 그리고 근대스포츠 101

맑스주의적 해석 102

네오맑스주의의 비판 112

비판가에 대한 역비판 118

근대스포츠 출현에 대한 한 가지 해석 131

제4장 왜 야구는 미국의 국기인가? 147

예외로서의 미국 147

계량화된 목가(牧歌) 151

제5장 미식축구의 매력 177

대중적 인기와 폭력 177

미식축구에서 근대적인 것 189

카타르시스와 전쟁 193

제6장 개인스포츠와 개인주의 203

스포츠와 국민성 203

개인스포츠와 단체스포츠 207

허구적 주자(走者) 224

개인주의와 협동 230

맺음말 233

?옮긴이 해제 237

?참고문헌 267

?찾아보기 295

이용현황보기

근대스포츠의 본질 : 제례의에서 기록추구로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1275903 306.483 G985f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1275904 306.483 G985f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이 책은 거트만을 세계적으로 유명하게 만든 From Ritual to Record: The Nature of Modern Sports(1978)의 독일어 판본 Vom Ritual zum Rekord: Das Wesen des modernen Sports를 완역한 것이다. 이 책은 영어뿐만 아니라 독일어, 일본어, 이탈리아어 등으로도 출간되어 전 세계에 소개되었으며 세계의 여러 대학에서 그 학술적 가치를 인정받아 체육학 필독서로 선정되기도 하였다.
역사학과 문학을 전공한 저자는 해박한 지식을 바탕으로 이 책에서 근대스포츠를 원시시대, 고대(그리스와 로마), 중세에 행해졌던 스포츠와 비교하면서 그 특징들을 일목요연하게 제시해주고 있다.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은 한국의 체육학도들에게 반드시 소개할 필요가 있는 명저일 뿐만 아니라 전공을 떠나서 일반인들에게도 교양서로 큰 가치를 지니는 책이다.
거트만은 이 글에서 근대스포츠의 특징을 세속성, 기회균등, 전문화, 합리화, 관료주의화, 수량화, 기록추구로 요약하고, 이러한 특징들이 바로 근대 사회의 성격을 반영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 책에서 거트만이 부각시킨 근대 사회의 특징은 베버가 언급한 “탈주술화” 경향이다. 베버에 따르면 근대 사회를 중세 사회로부터 구분해 주는 주요 특징 가운데 하나는 탈주술화이다. 탈주술화는 신 중심에서 인간 중심으로, 믿음 중심에서 합리적 사고 중심으로 삶의 양식이 전환함을 뜻한다. 따라서 삶의 “세속화”란 개념으로 표현되기도 한다. 이러한 베버의 입장에 착안하여 거트만은 자신의 저서에 “제례의식에서 기록추구로”라는 제목을 달고 있는데, 여기서 제례의식은 전통사회의 비합리적 주술행위를 상징하며, 기록추구는 근대인들의 합리적 행위양식을 대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