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제출문

요약문

목차

제1장 서론 28

제2장 조사대상 및 시료채취 방법 38

제1절 조사대상 38

1. 조사대상 물질 38

2. 조사대상 정수장 및 시료 채취일 38

제2절 시료채취 및 보존방법 42

1. 휘발성 유기물질 43

2. 소독부산물 및 농약류(Formaldehyde, 할로아세틱에시드, 1,4-dioxane 등) 44

3. 준휘발성유기물질(농약, 페놀, 다환방향족탄화수소 등) 44

4. 기타(중금속 및 EDTA, NTA 등) 44

제3장 실험방법 및 결과 46

제1절 조사대상물질의 분석방법 48

1. 휘발성 유기물질 48

2. Formaldehyde 59

3. 소독 부산물 및 농약류 67

4. 할로아세틱에시드 76

5. 준휘발성 유기물질 (농약, 페놀, 다환방향족 탄화수소, 프탈레이트 및 아디페이트 등) 85

6. 산성농약 97

7. Ethylenethiourea (ETU) 106

8. Acrylamide 113

9. 중금속 120

10. EDTA & NTA 126

11. Dichloroacetaldehyde 135

12. 1,4-Dioxane 143

13. 냄새유발물질 152

14. 무기이온류(브롬산염, 아질산염 및 과염소산염) 161

제2절 외국의 분석방법과의 비교 검토 168

제4장 정수장 수돗물의 미량유해물질 함유실태 결과 170

제1절 수질감시항목 (20종) 172

제2절 수질감시항목 후보 물질 (16종) 188

제3절 조사대상물질 (23종) 204

제4절 함량분석 결과 216

제5장 낙동강 수계 원수 모니터링 222

제1절 낙동강 수계 원수 스크리닝 및 시료채취 224

제2절 실험방법 및 결과 233

1. 휘발성 유기물질 233

2. 소독 부산물 및 농약류 239

3. 할로아세틱에시드 245

4. 준휘발성 유기물질과 alkylphenol류 254

5. 산성농약 268

6. 산성농약 II(3종 : Glyphosate, Endothall, Chloramben) 275

7. Amitrole 283

8. ETU/Benomyl 291

9. 1,4-Dioxane 299

제6장 조사대상 미량 유해물질의 위해도 평가 312

제1절 인체노출 평가 방법 312

제2절 용량-반응 평가 313

제3절 위해도 평가 315

1. 조사대상물질 위해도 평가 315

2. 2007년도 총 위험지수 317

제7장 조사물질에 대한 체계적 정보검색을 위한 데이터베이스 기초 구축 320

제1절 개요 322

제2절 기술적 운영 환경 323

제3절 사용자 인터페이스 324

제8장 외국의 관리현황 및 정수 처리 기술 검토·제시 338

제9장 결론 344

참고문헌 352

부록 360

I. 연도별 조사물질 목록 (1992 - 2003) 362

II. WHO 음용수 수질 지침 376

III. 미국의 먹는물 규제기준 및 건강권고치 386

IV. 일본의 수도법 수질 기준 406

V. 각 정수장별 수처리제 사용 현황 및 수온 416

VI. 유해물질별 함량분석 결과 420

표목차

Table 1. 우리나라의 먹는물 수질기준(55개 항목, 2007년 11월 현재) 30

Table 2. 1단계 시작년도 기준(1989~2003년) 실태조사 분석항목 현황 33

Table 3. 1989 - 2005년 연구결과에 따른 수돗물 기준 및 감시항목 설정 내용 34

Table 4. 2007년도 조사대상물질 목록(총 59종) 39

Table 5. 2007년 조사대상 정수장 및 시료채취일 41

Table 6. 유해물질 그룹별 시료채취 및 사용량 42

Table 7. Headspace parameters for volatile organic compounds 51

Table 8. GC/MSD operating conditions for volatile organic compounds 52

Table 9. Typical standard calibration data and detection limit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58

Table 10. HPLC operating conditions for formaldehyde 62

Table 11. Typical standard calibration data and detection limit of formaldehyde 66

Table 12. Extraction recovery of formaldehyde 66

Table 13. GC/MSD operating conditions for chlorination disinfection by-products and some pesticides 70

Table 14. Typical standard calibration data and detection limits of chlorination disinfection by products and some pesticides 75

Table 15. Extraction recoveries of chlorination disinfection by-products and some pesticides 75

Table 16. GC/MSD operating conditions for haloacetic acids 79

Table 17. Typical standard calibration data and detection limits of haloacetic acids 84

Table 18. Extraction recoveries of haloacetic acids 84

Table 19. GC/MSD operating conditions for semivolatile organic compounds 89

Table 20. Typical standard calibration data and detection limits of semivolatile organic compounds 95

Table 21. Extraction recoveries of semivolatile organic compounds 96

Table 22. GC/MSD operating conditions for acidic pesticides 100

Table 23. Typical standard calibration data and detection limits of acidic pesticides 105

Table 24. Extraction recoveries of acidic pesticides 105

Table 25. GC/MSD operating conditions for ETU, isopropyl methylphosphonate and maleic hydrazide 108

Table 26. Typical standard calibration data and detection limits of ETU 112

Table 27. Extraction recoveries of ETU 112

Table 28. HPLC operating conditions for acrylamide 115

Table 29. Typical standard calibration data and detection limit of acrylamide 119

Table 30. Extraction recovery of acrylamide 119

Table 31. ICP/MS operating parameters for inorganic materials 122

Table 32. Typical standard calibration data and detection limits of inorganic materials 125

Table 33. GC/MSD operating conditions for EDTA & NTA 129

Table 34. Typical standard calibration data and detection limit of EDTA & NTA 134

Table 35. Extraction recoveries of EDTA & NTA 134

Table 36. GC/ECD operating conditions for dichloroacetaldehyde 138

Table 37. Typical standard calibration data and detection limit of dichloroacetaldehyde 142

Table 38. Extraction recovery of dichloroacetaldehyde 142

Table 39. GC/MSD operating conditions for 1,4-dioxane 146

Table 40. Typical standard calibration data and detection limit of 1,4-dioxane 151

Table 41. Extraction recovery of 1,4-dioxane 151

Table 42. GC/MSD operating conditions for odor compounds 155

Table 43. Typical standard calibration data and detection limit of odor compounds 160

Table 44. Extraction recoveries of odor compounds 160

Table 45. Ion chromatograph operating conditions for bromate and nitrite 163

Table 46. Ion chromatograph operating conditions for perchlorate 163

Table 47. Typical standard calibration data and detection limits of inorganic ions 167

Table 48. Analytical result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in treated and raw water (2007) 173

Table 49. Analytical results of haloacetic acids in treated and raw water (2007) 175

Table 50. Analytical results of bromochloroacetonitrile in treated and raw water(2007) 177

Table 51. Analytical results of pesticides in treated and raw water (2007) 179

Table 52. Analytical results of chlorophenols in treated and raw water (2007) 181

Table 53. Analytical resulls of semivolatile organic compounds in treated and raw water (2007) 183

Table 54. Analytical results of formaldehyde and 1,4-dioxane in treated and raw water (2007) 185

Table 55. Analytical results of inorganic compound in treated and raw water (2007) 187

Table 56. Analytical result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in treated and raw water (2007) 189

Table 57. Analytical results of chlorination disinfection by-products and some pesticides in treated and raw water (2007) 192

Table 58. Analytical results of bromochloroacetic acid and fluoranthenes in treated and raw water (2007) 195

Table 59. Analytical results of EDTA and NTA in treated and raw water (2007) 197

Table 60. Analytical results of odor compounds in treated and raw water (2007) 199

Table 61. Analytical results of inorganic compounds in treated and raw water (2007) 201

Table 62. Analytical results of inorganic ion compounds in treated and raw water (2007) 203

Table 63. Analytical result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in treated and raw water (2007) 205

Table 64. Analytical results of semivolatile organic compounds in treated and raw water(2007) 209

Table 65. Analytical results of semivolatile organic compounds in treated and raw water(2007) 211

Table 66. Analytical results of inorganic compound in treated and raw water(2007) 213

Table 67. Analytical results of inorganic ion in treated and raw water (2007) 215

Table 68. 수질감시항목(20종) 분석결과 217

Table 69. 수질감시항목 후보물질(16종) 분석결과 218

Table 70. 조사대상물질(23종) 분석결과 219

Table 71. Analytical results of in raw water (2007) 220

Table 72. 2007년 낙동강 원수 시료채취 지점 및 시료채취일 225

Table 73. 2007년 낙동강 수계 원수 스크리닝 항목 226

Table 74. 항목별 동시분석 list 231

Table 75. 분석방법 별 미지화합물 검출 결과 list 232

Table 76. GC/MSD operating conditions for chlorination disinfection by-products and some pesticides 240

Table 77. GC/MSD operating conditions for haloacetic acids 246

Table 78. Typical standard calibration data and detection limits of bisphenol-A 267

Table 79. GC/MSD operating conditions for acidic pesticides 270

Table 80. GC/MSD operating conditions for acidic pesticidesII 277

Table 81. GC/MSD operating parameters for amitrole 285

Table 82. GC/MSD operating parameters for ETU and benomyl 293

Table 83. GC/MSD operating conditions for 1,4-dioxane 301

Table 84. 발암물질 및 비발암물질의 독성자료 313

Table 85. 발암성물질의 전국 95 percentile 초과발암 위해도 315

Table 86. 검출물질의 비발암성에 의한 전국 95 percentile 위험지수 및 총 위험지수 318

Table 87. 외국의 고도정수시설 현황 342

List of Figure

Fig. 1. GC/MSD total ion chromatogram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blank.... 56

Fig. 2. HPLC chromatograms for the standard of formaldehyde derivative(a) and for the extract of blank water(b) and UV spectrum of formaldehyde(c). 65

Fig. 3. GC/MSD total ion chromatograms of chlorination disinfection by-products and some pesticides and blank.... 74

Fig. 4. GC/MSD total ion chromatogram of methyl derivatives of haloacetic acids... 83

Fig. 5. GC/MSD total ion chromatograms of standard semivolatile compounds.... 93

Fig. 6. GC/MSD total ion chromatograms of trifluoroethyl derivatives of acidic pesticides and blank.... 104

Fig. 7. GC/MSD total ion chromatograms of methyl derivatives of ETU, isopropyl methylphosphonate and maleic hydrazide and blank.... 111

Fig. 8. HPLC chromatograms for the standard of acrylamide and for the extract of blank water and UV spectrum of acrylamide 118

Fig. 9. GC/MSD total ion chromatograms of EDTA & NTA and blank 133

Fig. 10. GC/ECD total ion chromatograms of dichloroacetaldehyde and blank... 141

Fig. 11. GC/MSD total ion chromatograms of 1,4-dioxane and blank. 150

Fig. 12. GC/MSD total ion chromatograms of odor compounds and blank... 158

Fig. 13. Mass spectrums of odor compounds 159

Fig. 14. IC total ion chromatograms of blank(A), nitrite, bromate(B), blank, (C) and perchlorate(D) 166

Fig. 15. GC/MSD total ion chromatogram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standard 235

Fig. 16. GC/MSD total ion chromatograms of 1st samples and blank 237

Fig. 17. GC/MSD total ion chromatograms of 2nd samples and blank 238

Fig. 18. GC/MSD total ion chromatograms of chlorination disinfection by-products and some pesticides standard. 243

Fig. 19. GC/MSD total ion chromatograms of 1st samples and blank 244

Fig. 20. GC/MSD total ion chromatograms of 2nd samples and blank 244

Fig. 21. GC/MSD total ion chromatograms of haloacetic acid standard 249

Fig. 22. GC/MSD total ion chromatograms of 1st samples and blank 250

Fig. 23. GC/MSD total ion chromatograms of 2nd samples and blank 250

Fig. 24. Mass spectrum of unknown compound and library result 251

Fig. 25. Mass spectrum of unknown compound and library result 252

Fig. 26. Mass spectrum of unknown compound and library result 253

Fig. 27. GC/MSD total ion chromatograms of semivolatile compound standard 258

Fig. 28. GC/MSD total ion chromatograms of 1st samples and blank 260

Fig. 29. CC/MSD total ion chromatograms of 2nd samples and blank 260

Fig. 30. Mass spectrum of unknown compound 261

Fig. 31. Mass spectrum of unknown compound 261

Fig. 32. GC/MSD total ion chromatograms of 1st samples and blank(BSTFA deriv.) 262

Fig. 33. GC/MSD total ion chromatograms of 2nd samples and blank(BSTFA deriv.) 262

Fig. 34. GC/MSD total ion chromatograms of 2nd samples, EIC(bisphenol-A), mass spectrum 263

Fig. 35. Mass spectrum of unknown compound 264

Fig. 36. Mass spectrum of unknown compound 264

Fig. 37. Mass spectrum of unknown compound 265

Fig. 38. Extract ion chromatogram of bisphenol A and bisphenol A-d16 267

Fig. 39. GC/MSD total ion chromatograms of acidic herbicides standard 273

Fig. 40. GC/MSD total ion chromatograms of 1st samples and blank 274

Fig. 41. GC/MSD total ion chromatograms of 2nd samples and blank 274

Fig. 42. GC/MSD total ion chromatograms of acidic herbicides II standard 280

Fig. 43. GC/MSD total ion chromatograms of 1st samples and blank 281

Fig. 44. GC/MSD total ion chromatograms of 2nd samples and blank 281

Fig. 45. Mass spectrum of unknown compound and library result 282

Fig. 46. GC/MSD total ion chromatograms of amitrole standard 288

Fig. 47. GC/MSD total ion chromatograms of 1st samples and blank 289

Fig. 48. GC/MSD total ion chromatograms of 2nd samples and blank 289

Fig. 49. Mass spectrum of unknown compound and library result 290

Fig. 50. GC/MSD total ion chromatograms of ETU standard 296

Fig. 51. GC/MSD total ion chromatograms of 1st samples and blank 297

Fig. 52. CC/MSD total ion chromatograms of 2nd samples and blank 297

Fig. 53. Mass spectrum of unknown compound and library result 298

Fig. 54. GC/MSD total ion chromatograms of 1.4-dioxane and odor standard 304

Fig. 55. GC/MSD total ion chromatograms of 1st samples and blank 305

Fig. 56. GC/MSD total ion chromatograms of 2nd samples and blank 306

Fig. 57. Mass spectrum of unknown compound and library result 307

Fig. 58. Mass spectrum of unknown compound and library result 308

List of Figure

Scheme 1. Sample preparation procedure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53

Scheme 2. Sample preparation procedure of formaldehyde 63

Scheme 3. Sample preparation procedure of chlorination disinfection by-products and some pesticides 71

Scheme 4. Sample preparation procedure of haloacetic acids 80

Scheme 5. Sample preparation procedure of semivolatiles organic compounds 90

Scheme 6. Sample preparation procedure of acidic pesticides 101

Scheme 7. Sample preparation procedure of ETU, isopropyl methylphosphonate and maleic hydrazide 109

Scheme 8. Sample preparation procedure of acrylamide 116

Scheme 9. Sample preparation procedure of inorganic materials 123

Scheme 10. Sample preparation procedure of EDTA & NTA 130

Scheme 11. Sample preparation procedure of dichloroacetaldehyde 139

Scheme 12. Sample preparation procedure of 1,4-dioxane 147

Scheme 13. Sample preparation procedure of odor compounds 156

Scheme 14. Sample preparation procedure of inorganic ions 164

Scheme 15. Sample preparation procedure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234

Scheme 16. Sample preparation procedure of chlorination disinfection by-products and some pesticides 241

Scheme 17. Sample preparation procedure of haloacetic acids 247

Scheme 18. Sample preparation procedure of semi volatile organic compounds 256

Scheme 19. Sample preparation procedure of acidic pesticides 271

Scheme 20. Sample preparation procedure of acidic herbicides II 278

Scheme 21. Sample preparation procedure of amitrole 286

Scheme 22. Sample preparation procedure of ETU and benomyl 294

Scheme 23. Sample preparation procedure of 1.4-dioxane compounds 302

초록보기

I. 제목

수돗물 중 미규제 미량유해물질 관리방안 연구 (I)

II. 연구목적

도시화·산업화에 따른 수질환경오염으로 현재 수돗물에는 먹는물 수질기준물질 이외에도 미량유해물질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어 국민보건상 위해가 우려되며, 우리나라의 먹는물 수질기준 항목이 WHO나 미국 등 주요선진국에 비하여 미흡한 점을 감안, 수돗물에서의 미량유해물질 함유실태를 조사하여 그 결과를 토대로 먹는물 수질기준을 보완함으로써 수돗물의 안전성 및 신뢰성을 제고하고자 한다.

III. 연구내용 및 범위

1. 조사대상물질 (59종)

가. 매년 조사항목

(1) 먹는물 수질감시항목 : 20종

(휘발성 유기물질 3종, 염소소독부산물 1종, 할로아세틱에시드 3종, 농약 3종, 페놀 4종, 다환방향족 탄화수소 1종, 프탈레이트 및 아디페이트 2종, 기타 2종 및 금속류 1종)

(2) 먹는물 수질감시후보항목 : 16종

(휘발성 유기물질 1종, 염소소독부산물 4종, 할로아세틱에시드 1종, 다환방향족탄화수소 3종, 기타 2종, 냄새유발물질 2종, 금속류 2종 및 무기이온 1종)

※ 12년간 ('92~'03년) 조사물질 중 검출항목

나. 년차별 조사항목

(1) 12년간('92~'03년) 조사항목 중 12년 동안 검출되지 않았으나 조사시기가 상당히 경과되어 재조사 할 필요성이 있으며, 미국 EPA나 WHO 등에서 수질 기준으로 정하고 있거나 발암성이 높은(B₂, 또는 2B이상) 물질(총 73종)을 선정하여 이를 연차별로 조사함.

(2) 1년차 당해 연도 조사대상물질 : 23종

(휘발성유기물질 3종, 농약 13종, 기타 3종, 금속류 2종 및 무기이온 2종)

다. 조사항목 중 검출항목

매년 조사대상항목 중 검출된 항목은 차기년도에 연속하여 조사

라. 낙동강 수계 원수 모니터링

2. 조사대상 지점

가. 정수장 : 전국의 수계별로 서울(6), 부산(4), 대구(4), 인천(2), 광주(2), 대전(2) 경기도(4), 강원도(1), 충북(1), 충남(1), 전북(1), 전남(1), 경북(1), 경남(4) 및 제주(1) 등 35개 정수장

나. 취수장 및 원수 : 4대강 수계별 3지점씩 총 12지점 : 서울(2), 부산(2), 광주(2), 대전(2), 전남(1), 경북(1), 경남(2)

다. 낙동강 원수 : 낙동강 수계 3지점 (강정, 칠서, 물금 취수장)

3. 조사 횟수 : 정수장- 연 2회 조사(2007년 5월, 9월)

낙동강 수계 연 2회 조사 (2007년 4월, 9월)

4. 주요연구내용

가. 정수장 수돗물에서의 미량유해물질 함유실태 조사

(1) 1, 2차에 걸쳐 채취된 정수 시료(70개) 및 원수 시료(24개)에 대하여 확립된 분석방법에 따라 수질감시항목 20종, 수질감시항목후보물질 16종 및 2007년 대상물질 23종 등 총 59종에 대한 결과 분석 및 먹는 물 수질기준 방안제시

나. 조사대상물질의 분석방법 연구 및 신뢰도 검증을 통한 공정시험방법 시안제시

(1) 각국의 분석방법을 조사하여 조사대상 항목별로 외국의 다양한 공정시험법 비교·분석

(2) 조사대상 물질에 따른 분석기기 및 시약 선정, 추출, 확인 및 정량을 위한 분석 방법을 개발하며, 개발된 분석방법에 대하여 회수율, 검량선, 검출한계를 통한 자체 검증

(3) 먹는물 수질감시항목 또는 수질 기준 제정이 필요한 항목에 대한 공정시험방법(안) 제시

다. 조사대상 미량유해물질의 위해도 평가 및 먹는 물 수질기준(안) 제시

(1) 검출된 조사물질에 대한 위해도 평가를 통해 기준설정이 필요한 항목의 검출농도, 검출 빈도 및 인체노출량 계산

(2) 외국의 수질기준과의 비교·검토 등 기준설정 필요성을 제시하고 제안항목의 수질기준(안) 제시

라. 조사완료물질의 체계적 정보검색을 위한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업그레이드 수돗물에서의 미량유해물질의 이화학적 성질, 분석방법 연구 자료 및 연도별, 계절별 함유 실태 조사 자료를 데이터 베이스화하여 효율적으로 유지, 관리하며 전국 정수장에 대한 지리 정보와 연계하여 웹 상에서 사용자들의 요구에 따라 조사 자료에 대한 측정치와 통계치를 열람하고, 도표화 또는 그래프화 할 수 있는 효과적인 검색 방법 구축

마. 낙동강 수계 원수 중 모니터링 후보항목 목록 도출

후보물질 목록확인을 위한 다양한 분석방법 적용 및 최적 분석법 체계도 작성

바. 먹는 물 수질기준 및 감시항목에 대한 외국의 관리 현황 및 정수처리 기술 검토·제시

IV. 연구결과

1. 조사대상물질의 그룹별 분석방법 개발

가. 각 물질 그룹별 효율적 추출방법 및 기기분석조건 확립

(1) 휘발성유기물질 : Headspace 및 GC/MSD에 의한 분리, 확인 및 정량분석

(2) 포름알데히드 : 시료를 2,4-dinitrophenylhydrazine (2,4-DNPH)과 반응시켜 유도체화 한 후 C18 고체상으로 추출, 정제한 다음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에 의한 정량분석

(3) 소독부산물 및 농약류 : 시료를 t-부틸메틸에테르(MTBE)로 추출한 후 GC/MSD에 의한 분리, 확인 및 정량분석

(4) 할로아세틱에시드 : 시료의 pH를 1 이하로 조절하여 t-부틸메틸에테르로 추출 후 황산-메탄올과 반응시켜 메틸 유도체로 만든 다음 GC/MSD에 의한 분리, 확인 및 정량 분석

(5) 농약, 페놀, 프탈레이트, 니트로벤젠 및 다환방향족 탄화수소 : 시료의 pH를 염기성 및 약산성으로 조절하고 디클로로메탄으로 각각 추출·농축한 다음 GC/MSD에 의한 분리, 확인 및 정량분석

(6) 산성농약 : 시료를 pH 1 이하로 조절하여 디에틸에테르로 추출 및 건조 후 trifluoroethanol(TFE)과 trifluoroacetic anhydride (TFAA)로 유도체를 만든 다음 GC/MSD에 의한 분리, 확인 및 정량 분석

(7) Acrylamide : 진공회전 증발기를 이용하여 시료를 농축시킨 후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에 의한 정량분석

(8) Ethylenethiourea(ETU) : 진공회전 증발기를 이용하여 시료를 농축시킨 후 요오드화메탄(CH31)으로 유도체를 만든다음 GC/MSD를 이용하여 정성 및 정량분석

(9) EDTA & NTA : 시료 200㎖를 증발시켜 농축 후 황산-에탄올로 유도체화 한 후 MTBE(methyl t-butyl ether)로 추출하여 GC/MSD를 이용하여 정성 및 정량분석

(10) 디클로로아세트알데히드 : 시료를 MTBE(methyl t-butyl ether)로 추출 한 후 GC/ECD에 의한 정성 및 정량분석

(11) 1,4-다이옥산 : 시료를 디클로로메탄(MC)으로 추출한 후 GC/MSD에 의한 정성 및 정량분석

(12) 냄새유발물질 : n-헥산으로 추출한 다음 GC/MSD로 정성 및 정량 분석

(13) 중금속(안티몬, 바륨, 니켈, 탈륨, 몰리브데늄) : 시료 10㎖에 진한질산 1-2 방울을 가해 산성화한 다음 ICP/MS로 분석

(14) 무기이온 : 시료를 filter한 뒤 ion chromatography로 정량분석

2. 외국의 분석방법과의 비교 검토

본 연구에서 사용된 분석방법들은 기본적으로 미국의 먹는물 공정시험법인 US EPA Method 500 series를 참조하였다. 그러나 각 항목들에 대한 구체적 분석방법은 가급적 시료를 적게 사용하고 검출한계는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응용하였으며, 비슷한 성질의 화합물에 대해서는 동시 분석하는 것을 우선으로 하였다. 분석방법이 표준화되어, 있지 않은 물질에 대해서는 국내외 학술지 등에 게재되어 있는 방법을 응용하였다.

3. 조사대상물질 함유실태 조사결과 (35개 정수장 정수시료)

가. 당해년도 조사대상물질 23종(휘발성물질 3종, 농약류 13종, 기타 3종, 및 무기물 4종 )에 대해 정성·정량 분석한 결과 무기물 3종을 제외한 20종 시료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 무기물질 3종

Molybdenum(Mo) : 60/70개(85.7%), 0.18 - 4.90 ㎍/ ℓ

Nitrite(NO2-) : 36/70개(51.4%), 3.84 - 20.20 ㎍/ ℓ

Bromate : 1/70개 (1.4%), 2.09㎍/ ℓ

나. 2007년도 감시물질 20종(유기물질 19종, 무기물질 1종) 중 휘발성물질 3종(chloroethane, styrene, vinyl chloride), 농약 3종(EDB, alachlor, 2,4-D), 페놀 4종 (chlorophenol, 2,4-dichlorophenol, pentachlorophenol, 2,4,6-trichlorophenol), 다환방향족탄화수소 1종(benzo(a)pyrene)과 프탈레이트 및 아디페이트 2종(bis-(2-ethylhexyl)phthalate, bis-(2-ethylhexyl)adipate) 및 할로아세틱에시드 2종(monochloroacetic acid, monobromoacetic acid)은 검출되지 않았다.

- 염소소독부산물 1종

Bromochloroacetonitrile : 61/70개(87.1%), 0.3 - 2.11 ㎍/ ℓ

- 할로아세틱에시드 1종

Dibromoacetic acid : 56/70개(80.0%), 0.31 - 5.86 ㎍/ ℓ

- 기타 2종

Formaldehyde : 34/70개(48.6%), 9.04 - 34.69 ㎍/ ℓ

1,4-Dioxane : 7/70개(10.0%), 5.29 - 9.83 ㎍/ ℓ

- 무기물질 1종

Antimony(Sb) : 9/70개(12.9%), 0.33 - 1.36 ㎍/ ℓ

다. 2007년도 수질감시항목 후보물질 16종에 대해 분석한 결과 다환방향족탄화수소 3종(benzo[b]fluoranthene, benzo[k]fluoranthene, fluoranthene) 및 냄새유발물질 1종(2-methylisoborneol(2-MIB))은 검출되지 않았다.

- 휘발성물질 1종

Bromoform : 6/70개(8.6%). 0.28 - 1.60 ㎍/ ℓ

- 염소소독부산물 4종

Chloropicrin : 39/70개(55.7%), 0.30 - 2.16 ㎍/ ℓ

1,1-Dichloropropanone : 56/70개 (80.0%), 0.33-3.76 ㎍/ ℓ

1,1,1-Trichloropropanone : 53/70개 (75.7%), 0.32-4.40 ㎍/ ℓ

Dichloroacetaldehyde : 65/70개 (92.9%), 0.18-2.49 ㎍/ ℓ

- 할로아세틱에시드 1종

Bromochloroacetic acid : 62/70개(88.6%), 0.45 - 9.56 ㎍/ ℓ

- 기타 2종

EDTA : 68/70개(97.1%), 0.02 - 6.51 ㎍/ ℓ

NTA : 70/70개 (100%), 0.19-0.59 ㎍/ ℓ

- 무기물질 2종

Barium(Ba) : 68/70개(97.1%), 2.02 - 42.75 ㎍/ ℓ

Nickel(Ni) : 39/70개(55.7%), 0.30 - 2.97 ㎍/ ℓ

- 냄새유발물질 1종

Geosmin : 2/70개(2.9%), 6.50 - 9.50 ㎍/ ℓ

- 무기이온 1종(perchlorate)

Perchlorate : 9/70개 (12.9%), 2.04 - 9.86 ㎍/ ℓ

라. 4대 강의 12개 정수장의 원수시료를 분석한 결과 EDTA (23/24개 (95.8%), 0.03 - 9.89 ㎍/ ℓ), NTA (24/24개 (100.0%), 0.19 - 0.59 ㎍/ ℓ), formaldehyde(5/24개 (20.8%), 8.50 - 15.81 ㎍/ ℓ), 1,4-dioxane (3/24개 (12.5%), 5.58 - 12.59 ㎍/ ℓ), antimony (2/24개 (8.3%), 0.99 - 1.24 ㎍/ ℓ), barium (24/24개 (100.0%), 2.61 - 35.14 ㎍/ ℓ), nickel (8/24개 (33.3%), 0.34 - 2.41 ㎍/ ℓ), molybdenum (14/24개 (58.3%), 0.40 - 5.12 ㎍/ ℓ), nitrite (19/24개 (79.2%), 5.12 - 18.22 ㎍/ ℓ), geosmin(1/24개 (4.2%), 6.20 ㎍/ ℓ), perchlorate (2/24개 (8.3%), 2.35 - 2.44 ㎍/ ℓ)이 검출되었다. 그 이외의 물질들은 검출되지 않았다.

4. 조사물질의 체계적 정보검색을 위한 데이터베이스 구축

2007년도 조사대상물질에 대한 이화학적 성질, 독성정보, 환경내 동태, 분석기기에 따른 분석 정보(TIC, mass spectrurm 등) 및 실태 조사결과 등의 다양한 정보를 web 상에서 검색할 수 있는 DB를 구축하였다.

5. 낙동강 수계 원수 스크리닝

낙동강 수계 원수 중 먹는물 기준항목 및 본 연구의 조사대상 항목 59종 외에 기지 화합물 142종 및 미지화합물에 대한 스크리닝 결과, 기지하합물 중 bisphenol-A가 칠서 취수장 원수 2차 시료에서 검출되었으며 이를 정량한 결과 0.0086㎍/ ℓ로 나타났으나, 미국 플로리다주 먹는물 가이드라인 350 ㎍/ ℓ 보다 크게 낮았으며 칠서 정수장 먹는물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또한 미지화합물 10여종이 검출되었으며, 이 중 z-3,4,4-trimethyl-2-pentene으로 추정되는 물질을 비롯한 8종을 library 검색 결과 확인하였다. 이들의 특이 독성은 거의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차기년도에 표준물질을 구입하여 재확인한 후 시험방법을 확립하여 모니터링 할 계획이다.

6. 먹는물 수질 감시항목 제안

냄새유발물질인 geosmin과 2-MIB는 2006~2007년까지 350개의 정수시료를 분석한 결과 geosmin은 32개 (9.1%)가 2.00 ~ 24.30 ng/ ℓ의 농도범위로 검출되었으며, 2-MIB는 11개 (3.1%)가 3.20 ~ 16.91 ng/ ℓ의 농도범위로 검출되었다. 당해연도 분석결과 geosmin은 2개 (2.9%)가 6.52 ~ 9.46 ng/ ℓ의 범위로 검출되었으며, 2-MIB는 불검출 되었다. 이들 물질은 주로 녹조류가 많이 발생하는 시기에 생성되는 심미적 영향 물질로서 유해영향은 거의 없지만 우리나라와 같이 지표수를 식수의 원수로 사용하는 일본에서 수질기준으로 10 ng/ ℓ로 지정하고 있고, 우리나라 원·정수에서도 악취감지농도에 근접한 수준으로 검출이 되고 있는 점을 감안하여 감시항목으로 설정하여 지속적으로 모니터링을 수행한 후 수질기준화 설정여부를 판단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심미적인 물질의 감시 및 기준화를 엄격히 함으로써 국내 수돗물의 맛있는 물 생산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