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제출문
요약문
목차
제1장 서론 9
제2장 국내외 TRS 주파수 분배 현황 11
제1절 TRS 개요 및 특성 11
1. 개요 11
2. 특성 14
3. 디지털 TRS 개념 및 특성 15
제2절 국내 TRS 주파수 분배현황 23
1. 국가통합지휘무선통신망 대역(806-811MHz/851-856MHz) 23
2. 자가망 대역(380-390MHz/390-400MHz) 23
3. 사업망 대역(811-822MHz/856-867MHz) 25
제3절 국외 TRS 주파수 분배현황 26
1. 미국 26
2. 유럽 30
3. 일본 32
4. 기타 33
제3장 국가통합지휘무선통신망 대역 이전 및 디지털 TRS 전환 현황 35
제1절 국가통합지휘무선통신망 구축 현황 35
제2절 국가통합지휘무선통신망 대역 이전 현황 36
1. 한국전력 36
2. 포스코 45
3. SK에너지 54
4. KT파워텔 71
제3절 디지털 TRS 구축 현황 76
1. 대우조선해양 76
2. 서울개인택시운송사업조합 81
3. STX 조선 84
4. 삼성토탈 85
5. 한국마사회 87
제4장 TRS 주파수 정비 계획(안) 89
제5장 결론 91
[참고문헌] 93
[부록 1] SK에너지 : 디지털 TRS 주파수 산정 세부사항, 방폭 기능 세부 사항, Cell Simulation 세부사항 95
[부록 2] TRS 주파수 연구반 명단 133
〈그림 2-1〉 기존 무선통신시스템 및 TRS 시스템 11
〈그림 2-2〉 TRS 시스템 구성도 12
〈그림 2-3〉 디지털 TRS(TETRA) 시스템 구성도 17
〈그림 2-4〉 TETRA Release II 도입방법 19
〈그림 2-5〉 TETRA Release II 단말 음성/영상신호 전송 흐름도 21
〈그림 2-6〉 디지털 TRS 기술로드맵(TRM) 22
〈그림 2-7〉 자가망 대역 분배현황 24
〈그림 2-8〉 자가망 대역 이용 현황(2007년 9월 기준) 25
〈그림 2-9〉 미국 TRS 주파수 분배표(현행) 27
〈그림 2-10〉 미국 TRS 주파수 분배표(재정비 후) 27
〈그림 2-11〉 미국의 700MHz대역 주파수 이용 계획 28
〈그림 2-12〉 공공 안전 서비스를 위한 재배치된 700MHz 대역 계획(2007.7.31) 28
〈그림 2-13〉 700MHz대역 주파수 이용계획 변경 계획 29
〈그림 2-14〉 유럽의 TRS 주파수 분배 현황 30
〈그림 2-15〉 영국의 TRS 주파수 분배 현황 31
〈그림 2-16〉 일본의 TRS 주파수 분배 현황 32
〈그림 2-17〉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및 브루나이 TRS 주파수 분배 34
〈그림 3-1〉 아날로그 TRS 시스템 구성도 38
〈그림 3-2〉 디지털 TRS 자가망 시스템 구성도 40
〈그림 3-3〉 수도권 디지털 TRS 시스템 구성도 41
〈그림 3-4〉 배전자동화시스템 구성도 43
〈그림 3-5〉 배전기동보수시스템 구성도 44
〈그림 3-6〉 변압기감시시스템 구성도 45
〈그림 3-7〉 POSCO(포항, 광양) 디지털 TRS 구성도 49
〈그림 3-8〉 POSCO(포항, 광양) 철도직업지시 TRS 연동 구성도 52
〈그림 3-9〉 POSCO(포항, 광양) 디지털 TRS와 페이징 방송연동 구성도 52
〈그림 3-10〉 디지털 TRS 시스템 구성도 56
〈그림 3-11〉 디지털 전환 전파 예측도 61
〈그림 3-12〉 시스템 구축 개요 69
〈그림 3-13〉 디지털 TRS 구성도 77
〈그림 3-14〉 망 구성도 81
〈그림 3-15〉 이동중계국 시스템 구성도 82
〈그림 3-16〉 이동중계국 배치도 82
〈그림 3-17〉 육상이동국 구성품 83
〈그림 3-18〉 전파 측정 시뮬레이션 및 이동 중계국 위치 83
〈그림 3-19〉 육상이동국 가입자 추이 84
1. 제목
o TRS 주파수 정비계획 연구
2. 연구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
가. 연구의 목적
TRS 이용 기관에 대하여 아날로그 시스템의 내용 년수 등을 고려한 주파수 재배치 계획 및 세부 전환일정을 점검하고 통합무선만의 구축 현황 및 통합무선망 대역(800MHz 대역)을 이용하고 있는 자가통신망 및 통신 사업자망의 재배치 현황을 점검하고자 한다.
o 안정적 통합무선망 구축을 위한 통합무선망 대역의 정비 현황 파악
o 800MHz 대역에서 자가통신망 대역으로의 이전 및 통신사업자 대역으로의 이전 대상 기관에 대한 이전 현황 파악
o 자가통신망 대역내 아날로그 시스템 이용 기관의 디지털 전환 현황을 파악
o 자가통신망 대역에서 통합무선망 대역으로의 이전 기관에 대한 현황을 파악
나. 연구의 중요성
TRS 주파수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통신 기능을 가진 디지털 TRS 시스템으로의 전환을 위하여 아날로그 시스템의 내용 년수 등을 고려한 주파수 재배치 계획 및 세부 전환일정을 점검한다. 또한 통합무선망의 원활한 구축을 위해 통합무선망 대역(800MHz 대역)을 이용하고 있는 자가업무용 및 통신 사업자용 대역의 재배치 현황을 점검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반에서는 통합무선망 대역 내에서 운용중인 한국전력, 포스코, SK 에너지(주) 등 380MHz대역으로의 전환 대상 기관과 통신사업자용으로의 이전 대상 기관의 현황에 대하여 파악하였으며, 디지털 시스템으로 전환하고자 하는 한국 마사회, STX 조선 및 삼성 토털의 추진 현황과 800MHz 대역 통합망으로 이전해야 하는 서울 소방본부의 이전 현황을 검토한다.
3. 연구개발의 내용 및 범위
가. 국내외 TRS 대역 이용 현황 파악
o 국내 800MHz대 통합무선망 및 통신 사업용 주파수 대역 이용 현황 파악
o 국외 공공무선통신망 대역을 포함한 TRS 대역의 분배 및 이용 현황 파악
나. 통합무선망 대역 정비 현황 검토
o 통합무선망 구축 현황 검토
o 통합무선망 구축에 필요한 대역 정비 현황 검토
다. 기관별 주파수 재배치 및 시스템 전환 현황 파악
o 800MHz 대역 이용 기관의 재배치 현황 파악
o 380MHz 대역 이용 기관의 시스템 전환 및 재배치 현황 파악
4. 연구개발결과
TRS 주파수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통신 기능을 가진 디지털 TRS 시스템으로의 전환을 위하여 아날로그 시스템의 내용 년수 등을 고려한 주파수 재배치 계획 및 세부 전환일정을 점검하고, 재배치 현황을 파악하였다. 이를 위하여 TRS 이용 기관인 한국전력, 포스코, SK에너지(주), 대우조선 해양(주), KT파워텔 및 한국마사회 등에 대한 이전 및 운용 현황을 검토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가. 국내외 TRS 대역 이용 현황 파악
2004년 분배 고시된 TRS 주파수 대역인 380MHz 및 800MHz대역의 이용 현황을 검토하였으며, 해외에서의 공공무선통신망 대역을 포함한 TRS대역의 분배 현황을 검토하였다.
나. 통합무선망의 디지털 TRS 구축 현황 검토
통합무선망은 2007년 12월 현재 서울·경기지역을 대상으로 1차 확장사업이 완료되어 감에 따라 2009년 전체 통합무선망 구축 완료를 목표로 전국 사업으로 확대하여 실시될 예정이다.
다. 통합무선망 대역 클린화에 따른 주파수 재배치 현황 파악
통합무선망 대역 내에서 사용 중인 자가망용 및 사업자용 TRS를 각각 지정 대역인 380-400MHz 및 811-822MHz 대역으로 재배치함으로써 안정적인 통합무선망을 구축하기 위한 정비 현황을 파악하였다.
라. 자가망 대역의 시스템 전환 및 이전 현황 검토
서울개인택시조합, 대우조선해양, 삼성토탈, 한국마사회 및 STX 조선 등 5개 디지털 전환 시설자에 대한 전환 현황 및 세부 일정을 파악하였으며, 2010년 통합무선망으로의 이전 예정 기관인 서울시소방방재본부의 이전 세부일정을 검토하였다. 또한 800MHz 대역 통합무선망 관련 이전대상인 한국전력, SK에너지 및 포스코 등 3개 자가 시설자와 KT파워텔의 이전 세부일정을 검토하였다.
5. 활용에 대한 건의
본 연구 결과가 TRS 주파수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통합무선망 대역을 정비하는 데 있어서 주파수 재배치 계획을 파악하고 세부 전환일정을 점검한 결과로서 TRS 주파수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데 활용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o 통합무선망 대역의 clean 화에 따른 주파수 재배치 방안
o 자가통신망 대역의 시스템 전환 및 이전 방안
o 국내 TRS 산업 활성화 방안
6. 기대효과
디지털 TRS 시스템의 이용을 촉진할 뿐만 아니라 통합무선망의 원활한 구축을 위한 주파수 재배치 계획 및 세부 전환 일정의 확보에 따라 주파수 자원의 효율적 활용 및 TRS 산업의 활성화가 예상된다. 또한 TRS 산업의 활성화에 따른 장비의 국산화 효과에 대한 기대 등 여러 가지 효과가 예상된다.
o 통합무선망 구축을 위한 806-811MHz 대역 주파수 Clean화
o 380MHz 대역 시스템 전환 및 이전 일정 확보
o 800MHz 대역 통신사업용 주파수대에서의 안정적 서비스 기반 확보
o 국내 TRS 산업 및 서비스 활성화*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