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제출문

요약문

SUMMARY

CONTENTS

목차

제1장. 연구개발의 필요성 29

제1절. 연구개발의 필요성 29

1.기술적 측면 29

2.경제·산업적 측면 29

3.사회·문화적 측면 30

제2절. 국내외 관련연구의 현황과 문제점 31

제3절. 앞으로의 전망 31

제2장. 연구개발의 목표 및 내용 32

제1절. 최종목표 32

제2절. 세부과제별 목표 32

1. 해상가두리양식장 오염원 현황조사 32

2. 해상가두리양식장 오염실태 및 경영분석 32

3. 해상가두리양식장 사육환경평가 33

제3장. 재료 및 방법 34

제1절. 해상가두리양식장 오염원 현황조사 34

1. 해상가두리양식장 관리사 및 냉동창고 사용실태 조사 34

2. 쓰레기 발생량 및 처리실태 조사 34

3. 해상가두리양식장 거주인원 및 가축량 조사 34

4. 사료 및 항생제 사용량 조사 35

5. 어류 폐사체 발생현황 조사 35

제2절. 해상가두리양식장 오염실태 및 경영분석 36

1. 사료종류별 잔이량 예측 및 가두리양식장 오염실태 36

2. 친환경 해상가두리양식장 경영비 분석 41

3. 사료별, 어종별 어류성장도 분석 49

제3절. 해상가두리양식장 사육환경평가 50

1. 사료 종류, 관리사 유무별 질병 발생 경향 조사 50

2. 수질 및 저질 환경조사 50

3. 어류 건강도 평가 51

제4장. 결과 53

제1절. 해상가두리양식장 오염원 현황조사 53

1. 해상가두리양식장 관리사 및 냉동창고 사용실태 조사 53

2. 쓰레기 발생량 및 처리실태 조사 61

3. 해상가두리양식장 거주인원 및 가축량 조사 68

4. 사료 및 항생제 사용량 조사 76

5. 어류 폐사체 발생현황 조사 82

제2절. 해상가두리양식장 오염실태 및 경영분석 86

1. 사료종류별 잔이량 예측 및 가두리양식장 오염실태 86

2. 친환경 해상가두리양식장 경영비 분석 94

3. 사료별, 어종별 어류성장도 분석 109

제3절. 해상가두리양식장 사육환경평가 115

1. 사료 종류, 관리사 유무별 질병 발생 경향 조사 115

2. 수질 및 저질 환경조사 119

3. 어류 건강도 평가 123

제5장. 고찰 128

제6장. 정책제안 159

제7장. 참고문헌 164

부록(제목없음) 166

해상가두리양식장 관리사 및 냉동창고 사용실태 조사표 166

친환경 해상가두리 양식장 관리방안에 관한 설문서 167

판권기

표목차

표 1. 어류양식 경영조사표 (예시) 42

표 2. 친환경 해상가두리양식장 경영분석 조사지점 46

표 3. 어류성장도 조사어가 49

표 4. 조사 지점별 사육환경 특성 50

표 5. 연도별 전국 생활쓰레기 발생량 66

표 6. 연도별 통영시 생활쓰레기 발생량 66

표 7. 생사료 사용어장의 해양환경조사결과(2006년 8월 8일 조사당일) 86

표 8. 배합사료 사용어장의 해양환경조사결과(2006년 8월 16일 조사당일) 86

표 9. 생사료 사용어장의 수질조사결과 87

표 10. 배합사료 사용어장의 수질조사결과 87

표 11. 생사료 사료 잔이량 퇴적물 조사 결과 93

표 12. 배합사료 사료 잔이량 퇴적물 조사 결과 93

표 13. 사료여부/관리사여부/어장면적에 따른 사료비 발생현황 95

표 14. 사료여부/관리사여부/어장면적 등이 사료비에 미치는 영향 96

표 15. 사료여부/관리사여부/어장면적에 따른 사료비 비중(사료비/총비용)의 발생현황 98

표 16. 사료여부/관리사여부/어장면적 등이 사료비 비중(사료비/총비용)에 미치는 영향 99

표 17. 사료여부/관리사여부/어장면적에 따른 총비용의 발생현황 101

표 18. 사료여부/관리사여부/어장면적 등이 총비용에 미치는 영향 102

표 19. 사료여부/관리사여부/어장면적에 따른 총수익의 발생현황 103

표 20. 사료여부/관리사여부/어장면적 등이 총수익에 미치는 영향 104

표 21. 사료여부/관리사여부/어장면적에 따른 순이익 발생현황 105

표 22. 사료여부/관리사여부/어장면적 등이 순이익에 미치는 영향 106

표 23. 사료여부/관리사여부/어장면적에 따른 이익률 발생현황 107

표 24. 사료여부/관리사여부/어장면적 등이 이익률에 미치는 영향 108

표 25. 생사료 사용어가 어체성장도 110

표 26. 배합사료 사용어가 어체성장도 111

표 27. 사료 종류별, 관리사 유무별 어류질병조사결과(3월) 116

표 28. 사료 종류별, 관리사 유무별 어류질병조사결과(6월) 116

표 29. 사료 종류별, 관리사 유무별 어류질병조사결과(9월) 118

표 30. 사료 종류별, 관리사 유무별 어류질병조사결과(12월) 118

표 31. 양식장별 수질 환경조사(3월) 120

표 32. 양식장별 수질 환경조사(6월) 120

표 33. 양식장별 수질 환경조사(9월) 121

표 34. 양식장별 수질환경조사(12월) 121

표 35. 해양오염 방지사업 현황(해양수산부, 2006) 130

표 36. 어업폐기물에 따른 수거 시스템 131

표 37. 폐기물 처리의 책무관계 변화 131

표 38. 어업 폐기물의 수거 주체별 장단점 132

표 39. 어류 사료 포대의 재질 및 중량 132

표 40. 폐기물관리정책의 우선순위 134

표 41. 농업용 폐비닐 수거보상비 134

표 42. 빈 농약병 수거 단가 135

표 43. 전국 생활폐기물관리 제외지역 현황 136

표 44. 도서지역 쓰레기 처리 방법별 장단점 137

표 45. 연도별 수산용 항생제 판매 실적 143

표 46. 사료별 항목별 비교표 151

표 47. 어종별 배합사료 사용시 문제점과 예상소요시간 154

그림목차

그림 1. 수질·저질조사지점 37

그림 2. 트랩설치광경 38

그림 3. 트랩 시설 설치도 39

그림 4. 사료잔이량 조사지점... 40

그림 5. 경영비분석을 위한 조사모식도 41

그림 6. 친환경 해상가두리양식장 경영분석 조사 지점(생사료) 47

그림 7. 친환경 해상가두리양식장 경영분석 조사 지점(배합사료) 48

그림 8. 사람이 상시거주하고 있는 해상가두리양식장 관리사 69

그림 9. 해상가두리양식장에 설치된 소각식 화장실 71

그림 10. 사람이 거주하는 해상가두리양식장 관리사 내부 73

그림 11. 해상가두리양식장에서 사육중인 가축 75

그림 12/10. 저질 퇴적물 조사결과 (AVS) 89

그림 13/11. 저질 퇴적물 조사결과 (COD) 90

그림 14/12. 저질 퇴적물 조사결과 (ORP) 91

그림 15/13. 사료 잔이량 퇴적물 조사 결과(AVS) 92

그림 16/14. 사료별 조피볼락 성장도... 113

그림 17/15. 사료별 참돔 성장도... 114

그림 18/16. 가두리 양식장별 수질 화학적산소요구량(COD). 122

그림 19/17. 가두리 양식장별 수질 용존성무기질소(DIN). 122

그림 20/18. 가두리 양식장별 수질 용존성무기인(DIP). 122

그림 21/19. 가두리양식장 투여 사료별, 관리사 유무별 조피볼락 혈액성상(헤마토크릿트). 123

그림 22/20. 가두리양식장 투여 사료별, 관리사 유무별 조피볼락 혈액성상(총단백). 124

그림 23/21. 가두리양식장 투여 사료별, 관리사 유무별 참돔 혈액성상(헤마토크릿트) 124

그림 24/22. 가두리양식장 투여 사료별, 관리사 유무별 참돔 혈액성상(총단백). 125

그림 25/23. 가두리양식장 어종별, 관리사 유무별 혈액성상(헤마토크릿트) 126

그림 26/24. 가두리양식장 어종별, 관리사 유무별 혈액성상(총단백). 126

그림 27/25. 여러 종류의 배합사료 포대 133

그림 28/26. 생사료 포대 133

그림 29/27. 해안가로 밀려든 폐사료포대 135

그림 30/28. 도서지역 생활쓰레기 처리 개념도 139

그림 31/29. 어류양식 어업의 폐기물 관리의 위상 141

그림 32/30. 생사료 통급이방법 150

그림 33/31. CCTV 설치모식도 160

초록보기

I. 제목

친환경 해상가두리양식장 관리방안

II. 연구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

지난 수십년간 국민의 먹거리 충족과 식량안보차원에서 어류양식산업은 꾸준히 장려되어 증산위주의 성장을 이루어왔다. 그러나 최근 각종 환경오염과 식품의 안전성 문제가 이슈화되면서 식품 오염문제가 빈번하게 사회 문제화 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수입수산물의 양이 매년 늘고 있어, 이제는 양적인 생산증대보다는 질적으로 우수하고 안전함은 물론 해양환경과 양식생물 그리고 인간에 이르기까지 모든 구성요소에 친환경적인 수산물을 생산하지 않고서는 경쟁력 있는 수산업으로 자리매김하기가 어려운 실정에 있다. 따라서 해상가두리 어류양식업에도 환경적으로 건전하고 지속가능한 이용과 개발(ESSD) 개념이 도입될 시기에 이르렀다.

현재 우리나라 해상가두리 양식장은 전국 약 1,211ha가 운영되고 있으며, 가두리에서의 작업 및 도난방지를 위한 관리사 및 냉동창고 등 부대시설 면적 또한 수십 ha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그러나, 해상가두리양식장에서 배출되는 생활 쓰레기, 어류 폐사체 및 사료 찌꺼기 등 해양환경 오염원에 대한 정화한 배출 실태조차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오염을 근원적으로 줄이기 위한 효율적인 관리방안 또한 마련되어 있지 못한 실정이다.

뿐만 아니라, 해상가두리 자가오염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고효율 배합사료의 연구 개발은 현재 진행 중이나, 어업인의 호응도는 저조한 실정이며, 해상 도난방지 시설 개발, 배출 쓰레기 수거 및 처리 기술개발 대책은 전혀 없는 상황으로 친환경적 양식과 수산식품의 안전을 위해서도 친환경적 해상가두리양식장 관리방안이 우선적으로 해결되어야 할 사안이다.

이에 안전하고 깨끗한 양식수산물 생산 정책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의 일환으로 해상가두리양식장 오염원 실태 조사를 실시하여 저감방안을 모색하고, 해상가두리 양식장의 사료별, 관리사 유무별, 어장 규모별로 저층 환경 및 어류 건강도를 평가함으로서 친환경 해상가두리양식장의 발전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III. 연구개발의 내용 및 결과

1. 해상가두리양식장 오염원 현황조사

가. 해상가두리양식장 관리사 및 냉동창고 사용실태 조사

해상가두리양식장을 경영하고 있는 어업인을 대상으로 관리사 및 냉동창고의 사용실태 등을 조사하여 효율적이고 합리적인 해상가두리양식장의 관리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경남 통영시 관내에서 해상가두리양식장을 경영하고 있는 전체 어업인 509명을 대상으로 전수조사를 실시하였다.

나. 쓰레기 발생량 및 처리실태 조사

해상가두리양식의 각종 부산물, 쓰레기의 발생량과 처리방법을 조사하여 쓰레기의 적정처리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경남 통영시 관내에서 해상가두리양식장을 경영하고 있는 어업인 200명을 무작위로 선정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다. 해상가두리앙식장 거주인원 및 가축량 조사

해상가두리양식장의 관리사에 거주하고 있는 거주인원과 가축량을 조사하여 거주로 인한 해양오염을 줄이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경남 통영시 관내에서 해상가두리양식장을 경영하고 있는 어업인 200명을 대상으로 일대일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라. 사료 및 항생제 사용량 조사

해상가두리양식장의 어종별로 사용하고 있는 사료의 종류와 양, 항생제 사용량과 사용 목적 등을 조사하여 사료로 인한 자가오염을 줄이고 항생제 사용량을 저감하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경남 통영시 관내에서 해상가두리양식장을 경영하고 있는 어업인 200명을 대상으로 일대일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마. 어류 폐사체 발생현황 조사

해상가두리양식장 어류폐사의 주요 원인과 폐사체의 처리현황을 조사하여 폐사체의 유기로 인한 오염을 줄이고 적정 처리 방안을 모색하고자 경남 통영시 관내에서 해상가두리양식장을 경영하고 있는 어업인 200명을 대상으로 일대일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2. 해상가두리양식장 오염실태 및 경영분석

가. 사료종류별 잔이량 예측 및 가두리양식장 오염실태

1) 해상가두리 수질조사

생사료 및 배합사료 투여어장에 따른 해상가두리 해역내 수질상태를 조사하기 위해 지점별 염분과 pH를 측정하고 표층과 저층의 영양염류를 조사하였다.

2) 해상가두리 저질조사

생사료 및 배합사료 투여어장에 따른 해상가두리 해역내 저질상태를 조사하기 위해 스쿠버다이버를 활용하여 지점별로 저층 표면의 저질을 채취하여 함수율, 산화환원전위(ORP), 산휘발성황화물(AVS), 화학적산소요구량(COD)을 분석하였다.

3) 거리별 사료침강 잔이량 조사

생사료 및 배합사료 투여에 따른 사료 침강물의 확산범위, 사료 잔이량 예측 및 저질오염 가중치를 조사하기 위해 거리별 사료침강 잔이량을 조사하였다.

조사방법은 해상가두리양식장 사료투여지점으로부터 일정거리별로 트랩을 정치시켜 침강된 사료를 채취하여 함수율, 산휘발성황화물(AVS), 화학적산소요구량(COD)을 조사하였다.

나. 친환경 해상가두리양식장 경영측면에서의 장단점 분석

1) 관리사 유무 및 사료별 해상가두리양식장 규모별 경영분석 비교

관리사 유무별, 사료별(생사료 및 배합사료) 그리고 양식어장 규모별로 8개 조사구를 선정하고, 조사구별로 2개소를 선정하여 총 16개 양식어가에 대하여 경영비 분석을 실시하였다. 조사 항목은 종묘비, 사료비, 인건비, 시설비 등 생산비와 출하량, 판매금액 등 조수익과 순수익 그리고 경영측면에서의 문제점 등을 조사하였다.

2) 연구가설 설정

해상가두리양식어가의 경영비 분석에는 여러 가지 변수가 작용할 수 있고, 변용요인이 많아 다음과 같이 네 가지 가설을 설정해 두고 경영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가설 1, 사료여부에 따라 수익과 비용에 유의적이 차이가 존재한다.

연구가설 2, 관리사여부에 따라 수익과 비용에 유의적이 차이가 존재한다.

연구가설 3, 어장면적에 따라 수익과 비용에 유의적이 차이가 존재한다.

연구가설 4, 사료 종류, 관리사여부, 어장면적 등의 복합적 요인이 수익과 비용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친다

다. 사료별, 어종별 어류성장도 분석

조피볼락과 참돔 양식어가를 대상으로 생사료 및 배합사료 투여구에 따라 성장도를 비교 조사하였다. 조사구별로 각각 어가를 선정하여 총 12개 조사구에 대해 조사하였다.

3. 해상가두리양식장 사육환경평가

가. 사료 종류, 관리사 유무별 질병 발생 경향 조사

경남 통영 연안 해상가두리 양식장에서 투여하는 사료 종류와 관리사 유무에 따른 양식어류의 질병발생경향을 살펴보기 위해 통영연안 대표 양식어종인 조피볼락과 참돔을 대상으로 시기별 질병 발생 경향을 조사, 비교하였다. 조사 시기는 저수온기(3월), 수온 상승기(6월), 고수온기(9월), 수온 하강기(12월)로 나누어 분기별 1회 총 4회에 걸쳐 세균성 질병, 기생충성 질병 및 바이러스성 질병을 조사하였다.

나. 수질 및 저질 환경조사

각 실험 어장별로 수질 및 저질 특성의 차이를 조사하기 위해서 양식장별 수온, 염분, 용존산소를 측정하고, 수질 영양염과 용존성유기물(SS), 화학적산소요구량(COD) 등을 측정하였으며, 저질의 산화환원전이(ORP), 산휘발성황화물(AVS), 화학적산소요구량(COD)을 측정하였다.

다. 어류 건강도 평가

어류의 건강도를 평가하기 위해서 혈액학적지표를 이용하여 혈액성분 2종, 혈장 생화학성분 11종을 조사 비교하였다.

IV. 결과

1. 해상가두리양식장 오염원 현황조사

가. 해상가두리양식장 관리사 및 냉동창고 사용실태 조사

1) 관리사 일반현황

해상가두리양식장 평균 경영규모는 0.36ha로 0.5ha 미만의 소규모 어장이 전체 어장의 77.6%를 차지하였으며 0.5ha 이상의 중·대규모 어장은 22.4%를 차지하여 해상가두리 어류양식어업이 소규모로 운영되는 경우가 많았다. 어업권 소유형태에 있어서는 어촌계 공동소유의 어업권이 68.4%로 조사되었다.

개인소유 해상가두리양식장의 경우, 0.5ha이상의 중·대규모 어장이 56.5%를 차지하여 어촌계 소유어장보다 규모면에서 큰 경향이 뚜렷하였고, 어촌계 소유 해상 가두리양식장 대부분(93.4%)이 0.5ha 미만의 소규모 어장을 경영하고 있었다.

2) 관리사 이용실태 및 용도

해상가두리양식장의 관리사 보유율은 53.4%로 나타났으며, 1어가당 관리사 평균면적은 31.1㎡로 해상가두리 평균 시설면적의 4.3%를 차지하고 있었다. 사육면적별로는 소규모 양식장이 중·대규모 양식장에 비해 관리사 평균면적이 유의적으로 작게 나타났으며 지역별로는 육지와 가까운 비도서지역이 35.6㎡로 도서지역보다 크게 나타났으나 통계적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소유형태별로 보면 어촌계 소유어장(17.9㎡)이 개인 소유어장(59.2㎡)보다 유의적으로 작게 나타났다.

관리사의 용도 조사결과 42.7%가 창고용도로 이용하고 있었으며 28.3%가 주거용으로 21.3%가 휴게소 용도로 사용하고 있고 7.7%가 사무실 및 기타 용도로 사용하고 있었다.

3) 냉동창고 이용실태

사료보관용 냉동창고 보유율은 86.4%로 대부분 개별로 소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냉동창고를 가두리에 두는 경우가 59.3%로 반 이상을 차지하였으며 가두리 인근 육지에 두는 경우가 30.5%, 집이나 집근처에 두는 경우가 8.2%를 차지하였다. 1어가당 냉동창고 평균면적은 28.7㎡로 해상가두리 평균시설면적의 4.0%를 차지하며 사육면적별로는 1ha 이상 대규모 양식장의 냉동창고 평균면적(59.0㎡)이 유의적으로 가장 크게 조사되었다.

나. 쓰레기 발생량 및 처리실태 조사

해상가두리에서 가장 많이 발생되는 쓰레기는 사료포대로서 72%를 차지하였고 그 다음은 어류폐사체로 29%를 차지하였으며 생활 쓰레기보다는 어업활동으로 인한 쓰레기가 더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해상가두리에서 발생하는 1일 쓰레기량은 한 어가당 평균 1.5~2kg이 배출되어 2005년 기준 우리나라 국민 1인당 1일 쓰레기 배출량 0.99kg보다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해상가두리양식장에서 발생되는 쓰레기의 처리방법은 육상수거가 55%로 가장 많았으며 가두리 자체소각은 39%로 나타났다. 그러나 응답자의 76.5%가 도서지역 주민으로 육상수거의 비실효성을 고려해 볼 때, 실제 소각처리비율은 더 높을 것으로 추정된다. 취사행위 등으로 발생하는 음식물 쓰레기는 48%가 육상수거장소에서 처리하고 일부는 해안가 또는 해상에 투기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기타 의견으로는 개, 고양이의 사료로 활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 해상가두리양식장 거주인원 및 가축량 조사

해상가두리양식장 주거율 조사시 주야간 상시거주는 45.5%로 거주하지 않는 경우보다 많아 주거로 인한 각종 생활쓰레기 및 분변 등이 발생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사육면적이 클수록 상시거주인원이 유의적으로 많게 조사되었다.

과반수이상인 59.3%가 연중 가두리에서 거주하고 있었으며, 상시거주의 가장 큰 이유는 도난 및 시설물 파손 방지였으며 두 번째는 가두리 관리의 효율성을 위한 것이었고 거주인원은 평균 2명 정도가 거주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해상가두리에서 가축을 기르지 않는 어장이 62.5%로 조사되었으며 사육하는 경우 평균 마리수는 0.35마리로 개가 가장 많았고 고양이가 다음을 차지하였다. 가축을 사육하는 주 이유는 사육어류의 도난방지였으며, 이외에도 상시거주자의 안전과 새, 수달, 쥐 등으로부터 사육어류 보호 등이 있어 가축사육 이유가 상시거주 이유와 동일한 결과로 조사되었다.

라. 사료 및 항생제 사용량 조사

치어기 배합사료 전량 사용어장은 46%이며 배합사료를 더 많이 쓰는 어장이 35%로 나타나 치어기에는 생사료보다 배합사료를 주로 선호하고 있었다. 그러나, 성어기에는 치어기와 반대로 생사료를 더 많이 쓴다는 응답이 42.5%로 가장 많았으며 전량 생사료를 사용한다는 응답도 33.5%로 조사되었다.

어종별로 살펴보면, 조피볼락을 주로 사육하는 어장은 생사료 선호 비율이 85.7%로 전체 생사료 선호 비율인 76%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돔류를 주로 양식하는 어가에서는 생사료의 선호도가 56.9%로 조피볼락보다 낮게 나타났으며 전량 배합사료를 사용하는 경우도 36.2%로 비교적 높게 조사되었다.

해상가두리양식장 한 어가당 연간 굉균 288.7톤의 생사료와 57.1톤의 배합사료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급이형태 또한 MP(Moisture pellet) 사료 형태로 제작하여 급이하는 어장이 44.0%로 가장 많았으며 생사료를 가공없이 원형대로 공급하는 어장이 37.5%를 차지하였다.

정부에서 2004년부터 추진하고 있는 친환경 배합사료지원사업에 대하여 잘 알고 있는 경우가 44%, 조금 알고 있는 경우가 46%로 대부분 어업인들이 배합사료지원 사업에 대해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설문조사 대상자중 친환경 배합사료 지원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어가는 17.5%였으며 일부 참여하고 있는 어가도 24%를 차지하였다. 그러나 배합사료의 품질이 향상될 시 향후 참여하겠다고 답한 경우가 21.5%였으며 배합사료에 대한 불신으로 참여의사가 없는 경우가 35.5%를 차지하는 것으로 보아 배합사료에 대한 어업인의 불신이 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상가두리 한 어장당 연간 항생제 사용량은 평균 139.8kg이었으며 통영시 전 해상가두리어장에 사용되는 항생제로 환산 추정하면 71,158kg으로 이는 2004년 기준 우리나라 전체 수산용 약품 판매량인 217,565kg(국립수의과학검역원, 2005)의 32.7%에 해당하는 수치이다.

마. 어류 폐사체 발생현황 조사

최근 3년간 사육어류 폐사원인을 복수응답으로 조사하였다. 본 조사결과 질병에 의한 폐사가 42.3%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자연폐사가 19.9%, 태풍 및 해황악화로 인한 폐사가 14.7%, 겨울철 저수온으로 인한 폐사가 11.7%를 차지하였다.

사육어류의 입식 후 판매까지 생존율을 조사한 결과 66.5%가 50~80%의 생존율을 보인다고 하였고 80%이상의 생존율을 보인다고 답한 경우도 18.5%로 평균 생존율은 약 70%내외인 것으로 추정된다.

어류 사육시 소량 폐사하는 경우 처리방법은 47%가 해상 투기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아서 육지에 매몰하는 경우가 42.5%로 나타났다. 이는 전체의 절반에 해당하는 어업인들이 어류 폐사체를 상시 바다에 그대로 버리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 해상가두리양식장 오염실태 및 경영분석

가. 사료종류별 잔이량 예측 및 가두리양식장 오염실태

1) 사료종류별 가두리오염실태

생사료 어장의 저질 퇴적물 조사결과 해상가두리 10m이내에서는 산휘발성황화물(AVS)이 1.39~1.41mg/g이며, COD 44.34 ~62.58mg/ℓ 였으나, 해상가두리로부터 40m 떨어진 지점에서는 산휘발성황화물(AVS) 0.27mg/g, COD 29.14mg/ℓ 로 조사되어 해상가두리양식장으로부터 거리별로 오염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배합사료 어장의 경우 해상가두리 10m이내에서는 산휘발성황화물(AVS) 0.45~0.55mg/g, COD 34.64~ 38.99mg/ℓ 였으나, 해상가두리로부터 40~60m 떨어진 지점에서는 산휘발성황화물(AVS) 0.22~0.24mg/g, COD 21.02~ 22.02mg/ℓ 로 조사되어 해상가두리양식장으로부터 거리별로 오염도가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생사료 어장과 배합사료 어장의 조사결과 비교시 생사료 어장에서 산휘발성황화물(AVS) 0.22~1.41mg/g(평균 0.93mg/g), COD 21.20~62.58mg/ℓ (평균 41.33mg/ℓ), 산화환원전위(ORP) -204~-393mV(평균 -309mV)로 조사된 반면, 배합사료 어장에서는 산휘발성황화물(AVS) 0.24~0.55mg/g(평균 0.42mg/g), COD 21.02~38.99mg/ℓ (평균 31.59mg/ℓ), 산화환원전위(ORP) -202~-369mV(평균 -314mV)로 조사되어 배합사료 어장이 생사료 사용어장보다 오염이 덜 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해상가두리로부터 40m 떨어진 지점에서는 생사료 사용어장과 배합사료 사용어장의 조사수치에 별다른 차이가 없었으며, 60m 거리에서는 동일한 수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 사료잔이량 퇴적물 조사

통영시 산양읍 풍화리 생사료 사용어장의 사료 잔이량 퇴적물 조사결과는 산휘발성황화물(AVS)이 0.35~0.62mg/g(평균 0.45mg/g)으로 통영시 도산면 수월리 배합사료 사용어장의 산휘발성황화물(AVS) 0.00~0.34mg/g(평균 0.07mg/g)에 비해 높게 나타나 생사료 사용어장이 배합사료 사용어장보다 사료잔이량 및 오염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생사료 사용어장의 경우 20m 이상 거리지점에서도 비교적 높은 수치를 나타내어 사료허실로 인한 오염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나. 친환경 해상가두리양식장 경영비 분석

관리사 유무별, 사료별(생사료 및 배합사료) 그리고 양식어장 규모별로 8개 조사구를 선정하여 총 16개 양식어가(조사구별 2개소 선정)에 대하여 경영비 분석을 하였으며, 각 항목별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사료비

어장 면적이 0.5ha미만이고, 관리사가 없으면서 배합사료를 사용할 경우 사료비가 가장 낮았다. 특히, 배합사료를 사용하거나 관리사가 없거나 어장면적이 0.5ha미만인 경우가 그 반대의 경우보다 사료비가 저렴하였으며 관리사가 없으며 어장면적이 0.5ha미만일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저렴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배합사료 사용어장의 평균 사료비율은 0.46로 배합사료와 생사료를 혼합, 사용하는 어장의 평균 사료비율 0.56 보다 낮게 조사되었으며, 어장면적이 0.5ha미만이고, 관리사가 없으면서 배합사료를 사용할 경우 사료비율이 0.39로 가장 낮았다.

2) 총비용과 총수익

배합사료를 사용어장의 총비용 평균은 262,264,563원으로 배합사료와 생사료를 혼합 사용하는 어장의 388,058,031원 보다 낮게 조사되었다. 또한, 관리사가 있는 어장의 총비용 평균은 453,485,281원으로 조사되어 관리사가 없는 경우(196,837,313원)보다 높게 조사되었다. 어장면적이 0.5ha이상인 경우에는 449,464,000원으로 어장면적이 0.5ha미만의 경우(200,858,594원)보다 높게 조사되었다.

총수익의 경우, 배합사료와 생사료를 혼용하는 어장의 총수익 평균은 282,950,200원으로 배합사료를 사용하는 어장의 268,512,500원 보다 높게 조사되었다. 또한, 관리사가 있는 경우의 총수익 평균은 426,262,500원인 반면에 관리사가 없는 경우의 총수익 평균 25,200,200원 보다 높았다. 어장면적이 0.5ha이상인 경우 평균 사료비는 379,850,000원으로 어장면적이 0.5ha미만의 경우 171,612,700원 보다 높게 조사되어 어장면적이 0.5ha이상이고, 관리사가 있으면서 생사료를 사용할 경우 총수익이 가장 높았다.

3) 순이익

배합사료와 생사료를 혼용하는 어장의 순이익 평균은 -105,107,831원으로 배합사료를 사용하는 어장의 6,247,938원 보다 낮으며, 관리사가 있는 경우의 순이익 평균은 -27,222,781원인 반면에 관리사가 없는 경우의 -71,637,113원 보다 손실폭이 적었다. 또한 어장면적이 0.5ha이상인 경우 순이익 평균은 -69,614,000원으로 어장면적이 0.5ha미만의 경우 -29,245,894원 보다 손실폭이 높아 어장 면적이 0.5ha미만이고, 관리사가 있으면서 배합사료를 사용할 경우 순이익이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4) 이익율

배합사료와 생사료를 혼용하는 어장의 이익률 평균은 -1.01로 배합사료를 사용하는 어장의 -0.17보다 낮게 조사되었으며, 관리사가 있는 경우의 이익률 평균은 -0.11로 관리사가 없는 경우의 -1.06보다 손실률이 적게 조사되었다.

특히, 어장면적이 0.5ha이상인 경우 이익률 평균은 -0.32로 어장면적이 0.5ha미만의 경우 -0.84보다 손실률이 적게 조사되었으며, 어장 면적이 0.5ha미만이고, 관리사가 있으면서 배합사료를 사용할 경우 이익률이 가장 높았다.

다. 사료별, 어종별 어류성장도 분석

1) 생사료 사용어장의 어체 성장도

생사료 사용어장의 조피볼락 성장도 조사결과 3년산(28개월 양식)은 전장 22.1~32.7cm(평균 28.65cm), 중량 220.0~620.0g(평균 384.1g)이였고, 2년산(16개월 양식)은 전장 18.5~27.5cm(평균 22.8cm), 중량 112.0~360.0g(평균 223.9g)였으며, 1년산(4개월 양식)은 9.1~14.0cm(평균 10.5cm), 중량 15.0~50.1g(평균 19.8g)으로 조사되었다. 참돔 생사료 사용어장의 성장도 조사에서는 3년산(28개월 양식)이 전장 33.0~42.0cm(평균 38.3cm), 중량 670.0~1,230.0g(평균 985.5g)이였고, 2년산(16개월 양식)은 전장 20.9~29.0cm(평균 24.6cm), 중량 200.0~430.0g(평균 277.9g)였으며, 1년산(4개월 양식)은 전장 14.0~20.5cm(평균 17.5cm), 중량 53.0~210.0g(평균 129.9g)로 조사되었다.

2) 배합사료 사용어장의 어체 성장도

배합사료 사용어장의 조피볼락 성장도 조사결과 3년산(28개월 양식)은 전장 24.5~32.7cm(평균 28.6cm), 중량 250.0~490.0g(평균 365.8g)이였고, 2년산(18개월 양식)은 전장 19.0~26.4cm(평균 21.9cm), 중량 115.0~370.0g(평균 194.9g)였으며, 1년산(4개월 양식)은 전장 7.5~14.2cm(평균 9.8cm), 중량 7.9~51.4g(평균 12.4g)으로 조사되었다. 참돔 성장도 조사결과 3년산(28개월 양식)은 전장 28.4~36.5cm(평균 32.5cm), 중량 620.0~950.0g(평균 760.5g)이였고, 2년산(16개월 양식)은 전장 23.3~28.5cm(평균 26.0cm), 중량 210.0~410.0g(평균 334.1g)였으며, 1년산(4개월 양식)은 전장 13.0~17.5cm(평균 16.0cm), 중량 40.0~103.0g(평균 79.4g)으로 조사되었다.

3) 어체성장도 분석

생사료와 배합사료 사용어가의 성장도 비교시 생사료 사용어가가 배합사료 사용어가에 비해 참돔 2년산을 제외한 전 개체에서 성장이 양호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조피볼락 2년산의 경우 생사료 사용어장의 평균체장이 22.8cm로 배합사료 사용어장 21.9cm와 비교하여 큰 차이를 보이지 않으나, 평균체중에서는 생사료 사용어장이 223.9g으로서 배합사료 사용어장 194.9g와 큰 성장도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이러한 성장도 차이는 조피볼락 2년산 뿐만 아니라 1년산, 3년산에서도 공히 같은 현상을 보이고 있었다.

3. 해상가두리 양식장 사육환경평가

가. 사료 종류, 관리사 유무별 질병 발생 경향 조사

1) 3월

저수온기의 사료종류 및 관리사 유무별 질병 발생 경향을 조사한 결과, 조피볼락에서는 림포시스티스, 아가미빈혈, 아가미의 이물질과다 증상을 나타내었으며 아가미 흡충이 16.7~30%, 체표의 칼리구스충이 10% 감염되어 있었다. 생사료 투여구에서는 아가미흡충 감염율이 0~20%, 배합사료 투여구에서는 16.7~30%로 큰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양 구간 모두 세균과 바이러스는 검출되지 않아 생사료와 배합사료 투여구간의 질병발생의 차이는 미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참돔은 전반적으로 녹간, 장충혈, 간울혈, 간빈혈, 복수 등의 증상을 나타내었으며, 아가미흡충 감염율이 10~50%였다. 돔류는 온수성 어종으로 수온이 15℃이하의 저수온기에는 간녹변(녹간현상)을 나타내었으며, 아가미흡충율은 생사료구에서 33~50%, 배합사료구에서는 10%로 생사료 투여구에서 다소 높은 감염율을 보였으며 세균과 바이러스는 검출되지 않아, 관리사 유무에 따른 질병감염의 뚜렷한 차이는 확인할 수 없었다.

2) 6월

조피볼락은 림포시스티스 증상 외에 특이한 외부증상은 없었으며, 클라벨라충, 베네데리아충, 아가미흡충에 감염되어 있었으며, 생사료구에서는 아가미흡충 20%, 클라벨라충 10%, 베네데니아충 20%, 배합사료구에서는 아가미흡충 10~33%, 베네데니아 10~33%로 배합사료구에서 다소 높은 기생충 감염율을 나타내었으나 개체에 따른 차이로 생각될 수 있었으며 양 실험구 모두 세균과 바이러스는 검출되지 않았다.

참돔은 전반적으로 약한 간녹변(녹간현상), 체표궤양, 간위축, 아가미빈혈 등의 증상을 나타내었으며 이러한 현상은 저수온기 생리기능저하에 의한 증상으로 판단되었으며, 생사료의 아가미흡충 감염율은 33%, 배합사료구는 50~66%로 배합사료구 아가미흡충 감염율이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외 양 시험양식장 모두 세균과 바이러스성 질병은 검출되지 않아 관리사의 유무에 따른 질병감염의 뚜렷한 차이는 확인하기 어려웠다.

3) 9월

전반적으로 조피볼락에서 내장충혈, 간울혈, 복부함몰 증상을 나타내었으며 아가미흡충이 감염되어 있었다. 실험구별 조피볼락 질병발생 경향을 보면, 생사료 투여구에서는 아가미흡충 감염이 확인되지 않았으며, 배합사료 투여구에서는 50%의 아가미흡충 감염이 확인되어, 배합사료구가 생사료구에 비해 아가미흡충 감염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돔류는 생사료구에서 아가미빈혈, 점액과다. 간충혈 등의 증상을 나타내었으나 병원체의 검출은 없었으며, 배합사료구에서 간울혈, 아가미 빈혈, 간녹변, 아가미부식 등의 증상을 나타내었으며 아가미흡충이 50.0~66.6%의 감염율을 나타내었다.

4) 12월

전반적으로 조피볼락은 외부 질병증상은 없었으나 아가미흡충 33.3%, 칼리구스충 33.3~100% 감염되었다. 생사료구에서는 아가미흡충이 33.3%, 칼리구스충 33.3%였으며, 배합사료구에서는 칼리구스충이 66.6~100%로 감염되어 있어 배합사료구에서 기생충 감염율이 다소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채집시 개체의 차이로 인한 결과로 추정할 수 있었으며, 각 시험구에서 모두 세균과 바이러스는 검출되지 않았다.

나. 어류 건강도 평가

적혈구 헤마토크릿트 값은 조피볼락에서 저수온기인 3월과 수온하강기인 12월에 생사료 투여구가 배합사료 투여구에 비해 다소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수온상승기인 6월에는 양구간의 차이가 없었으나, 고수온기인 9월에는 생사료 투여구가 배합사료구에 비해 낮은 헤마토크릿트 값을 나타내어, 이러한 결과는 3월에 조피볼락 아가미흡충 감염율이 배합사료구가 생사료구에 비해 높아 아가미흡충 감염에 의해 헤마토크릿트 값이 낮아진 것으로 추정되었다. 혈액 총단백은 저수온기인 3월에는 생사료 투여구에서 다소 높았으나, 6, 9, 12월에는 양식장별 특이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돔의 조혈기능과 관련된 헤마토크릿트값은 저수온기인 3월에 관리사가 없는 양식장이 관리사가 있는 양식장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6, 9, 12월에는 양식장별로 특이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가두리 양식장 투여 사료별, 관리사 유무에 따른 참돔 혈장의 총단백은 시험구별로 시기별로 뚜렷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수온기인 3월에 관리사가 없는 양식장의 참돔 헤마토크릿트 값은 관리사가 있는 양식장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른 기간에는 양식장별 특이한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다. 혈액 중 총단백질은 저수온기인 3월에 참돔은 관리사가 없는 양식장이 관리사가 있는 양식장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수온하강기인 12월에는 관리사가 있는 양식장이 관리사가 없는 양식장의 조피볼락에 비해 혈중 총단백값이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특이한 경향의 차이는 파악하기 어려웠다.

V. 고찰 및 정책방향

우리나라는 그동안 기르는 어업육성책을 펼치면서 양적증산을 가져오는 결과를 초래하였고, 이로 인해 전국적으로 해상가두리양식장의 면적 확대는 물론 지역별로 무분별한 불법양식시설이 자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작금에 와서 국민들의 먹거리에 대한 안전의식이 높아짐에 따라 앞으로 해상가두리에서 생산되는 양식어류에 대한 비판의식은 더욱 높아질 것으로 생각되며, 양식정책방안도 이러한 시대흐름에 맞추어 시급하게 검토, 준비되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되며, 본 연구를 통하여 문제점으로 도출된 사안에 대하여 몇 가지 정책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1. 해상가두리양식장 무인카메라(CCTV) 설치 지원사업 조기도입

해상가두리내 관리사를 설치하는 주된 이유는 사육어류의 도난방지와 효율적인 관리가 목적이나 관리사를 설치함으로서 어장에서 발생하는 생활 쓰레기, 음식물 찌꺼기, 가축사육 및 세제 등은 부수적으로 어장환경오염을 가속화 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현재 통영관내 일부 어장에서는 무인감시카메라를 설치, 운용함으로서 해상가두리 내에 사람이 거주하지 않고 집에서 컴퓨터를 통하여 어장관리를 하는 선진적인 사례를 볼 수 있다. 그러나, CCTV 설치시 부가되는 고비용(1ha당 20,000천원)을 고려해 볼 때, 개인어장별로 설치하기는 어려움이 있어, 어촌계별로 광역화하여 공동관리하는 방안과 몇 개 어장을 권역화하여 관리하는 두 가지 방법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수산발전기금사업에 "해상가두리양식장 무인카메라 설치사업"을 신설하여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2. 환경친화형 배합사료 지원사업확대

해상가두리양식장내 시설되어 있는 냉동창고는 대부분 어장에서 생사료를 사용하기 때문에 필요하나 향후 양식수산물의 안전성과 어장환경오염을 줄이기 위해서 배합사료 정책을 활성화시킨다면 자연적으로 냉동창고 보유어가는 현저히 줄어들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현재 국내에서 생산되는 배합사료의 질적 문제와 배합사료지원사업의 상대적인 낮은 지원비율로 인해 희망 어업인은 저조한 실정이며, 선진국 특히 유럽수준으로 배합사료 사료계수(1이하 유지)를 낮추고 소화능력(배합사료 80%이상)을 향상시킨다면 생사료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배합사료만으로도 충분히 어류를 적정기간 내에 성육시키므로 어업경비절약에 의한 경영 소득증가와 환경오염 저감이라는 두 가지 성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3. 해상가두리 쓰레기 처리 및 어류 폐사체 적정처리 관리체계(법규) 정비

해상가두리양식장은 어업 특성상 도서지역에 많이 위치(72.2%)하고 있으나 도서지역은 대부분 폐기물관리법상 관리제외지역으로 분류되어 폐기물처리대책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따라서 배합사료 및 어업용 자재를 생산하는 사료업체와 어구생산업체 등 생산자 책임을 강화함은 물론, 어업인들로 하여금 쓰레기 배출자로서의 책임과 의무를 강화하고 지차체는 이를 수거(청소운반선 운영), 관리, 감시하는 관리체계를 갖추어야 할 것이다.

사료포대는 그 재질이 다양할 뿐 아니라 재활용이 힘든 비닐코팅재질도 포함되어 있다. 특히 사료포대의 개당 무게로 전국 해상가두리에서 연간 배출되는 사료포대를 추정해보면 배합사료포대 1천여톤, 생사료 비닐포대 2천여톤으로 추산될 수 있다. 이는 연간 발생되는 폐 스치로폼의 양과 맞먹는 수치로 조속한 시일 내 배합사료 포대 및 생사료 포대 그리고 사용어구에도 포괄적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EPR)의 하나인 제품판매업자 회수의무제도를 도입시켜야 할 것이다.

이에 앞서 현재 재활용이 어려운 내부 비닐코팅재질의 포대 생산을 금지시키고 LDPE 단일재질의 포장재나, 종이와 LDPE 만 있는 재질 포대만 생산 가능하도록 하여 재활용이 가능토록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농림부에서 시행하고 있는 농업용 폐비닐 수거보상비(농림부 2004, 농업용폐비닐수거보상비정책)나 빈농약병수거사업(한국환경자원공사사업)과 유사한 수거사업도 적극적으로 검토해 볼만하다.

4. 백신지원 보조금사업 조기도입 및 확대

수산용 항생제는 대부분의 어류양식장에서 질병치료를 위해 사용하고 있으나 치료목적이외 사용되는 사례 또한 35%에 이르고 있어 어업인들의 자가진단에 의한 약품 오남용이 빈번히 발생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항생제의 사용량을 줄이기 위해서는 어종에 맞는 백신개발과 동시에 사용어가에 대한 백신보조금지원사업을 확대, 시행함으로서 근원적인 항생제사용억제로 수산물 안전성 문제가 해결될 것으로 기대된다. 노르웨이에서는 1994년 연어 약 220,000톤을 생산하면서 최고 50,000kg의 항생제를 사용하였으나, 근년에 들어 항생제사용을 줄이기 위해 백신접종을 실시한 후 연간 항생제 사용량이 10,000kg이하로 감소한 사례를 볼 수 있다. 이에 반해 우리나라에서는 2004년 총 어류생산량 63,698톤을 생산하면서 항생제를 217,565kg을 사용함으로서 유럽에 비해 동일 생산량 대비 15배정도의 사용량을 사용한 바 있어 조속한 대책마련이 요구된다.

5. 사료사용량 쿼터제 도입 검토

우리나라 해상가두리양식장은 어장 특성상 대부분 만을 중심으로 시설되어 있어 양식생물의 배설물이나 사료 찌꺼기 등이 외양으로 확산되지 못하고 인근해역에 축적되는 지리적 여건을 가지고 있다. 이는 같은 장소에서 반복적으로 양식이 이루어 질 경우 퇴적물(침적물)에 의해 자정력을 상실하여 어류양식장 자가오염을 부추기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특히 미섭이율을 줄일 경우 고형물 침강량 감소로 저질오염도는 극감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또한, 현재 수산업법에는 어업방법과 시설량에 대해서만 규정하고 있고, 사육기준에 대해서는 해양수산부 고시 해양수산분야 재난복구비용 산정기준중 해수면 어종의 표준사육기준(해상가두리 5×5m×깊이5m/대)으로 품종별 사육기준을 제시하고 있으나 법적인 의무사항이 아니므로 사실상 실효성은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현실적으로 사육어종에 대하여는 규제가 불가능하므로 금후 어장환경 수용량 측면에서 ha당 사료사용량 쿼터제를 시행하다면 사료허실에 의한 어장환경 오염방지 및 경쟁력 제고는 물론 적정생산량 간접적 조절에 따른 대량생산에 의한 어가하락이 개선될 것으로 사료된다.

이용현황보기

친환경 해상가두리양식장 관리방안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T000024754 전자형태로만 열람가능함 전자자료 이용불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