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머리말

목차

연구요약 7

I. 서론 11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1

2. 연구방법 13

II.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의 의의와 동향 14

1. CSR의 의의와 주요영역 14

2. 국외 동향 20

1) CSR의 최근 추세 20

2) 장애인고용 관련 CSR 동향 28

3. 국내 동향 38

1) CSR의 도입과정과 실천형태 38

2) 장애인고용 관련 CSR 동향 51

4. 장애인고용에 대한 CSR의 의의 60

III. 장애인고용 관련 CSR 경영전략 분석 62

1. CSR의 경영전략 유형과 특성 62

2. 장애인고용 관련 CSR 경영전략과 국내외 사례 67

1) 기업윤리·사회책임 영역 67

2) 사업활동을 통한 사회혁신 영역 72

3) 투자적 사회공헌활동 78

3. 분석결과와 문제점 86

1) CSR 경영의 미성숙성 86

2) 전략적·투자적 접근의 부재 88

IV. CSR을 통한 장애인고용 활성화 방안 92

1. 장애인고용 관련 CSR 촉진을 위한 지원확대 93

1) 제도적·재정적 지원 93

2) 우수기업 시상 및 인증제도 확충 95

2. 민-관 파트너십 활성화를 통한 일자리 창출 96

3. 장애친화적 기업육성 99

V. 결론 및 제언 101

참고문헌 107

판권기

표목차

〈표II-1〉 CSR관련 가이드라인 및 평가지표 23

〈표II-2〉 Global Compact 10개 원칙 34

〈표II-3〉 G3 장애인 고용관련 지표 35

〈표II-4〉 ISO 26000의 인권 및 노동관행 분야 중 장애인고용관련 지표 36

〈표II-5〉 지속가능보고서 사회적 이슈 : 주요 노동 기준 37

〈표II-6〉 사회공헌비용 총지출 규모 추이 44

〈표II-7〉 매출액별 사회공헌활동 지출비용 추이 45

〈표II-8〉 국내 기업 장애관련 사회공헌 48

〈표II-9〉 기업규모별 장애인고용률(2006년 12월 기준) 52

〈표II-10〉 회사의 장애인 고용동기 55

〈표III-1〉 일본 특례자회사 설립유형 77

〈표IV-1〉 한국산업은행의 사회책임금융펀드 지원자금과 지원대상 95

그림목차

[그림II-1] 기업과 연계된 이해관계자와 CSR 활동 16

[그림II-2] CSR의 이슈별 영역 18

[그림II-3] CSR의 부문별 영역 19

[그림II-4] CSR 정의의 진화 25

[그림II-5] 기업의 윤리적 발달단계 41

[그림II-6] 2005년 사회공헌활동 추진 사내체제 정비비율 43

[그림II-7] 기업규모별 사회공헌활동 지출액 추이 45

[그림II-8] 기부와 직접운영 프로그램 지출현황 추이 46

[그림II-9] 주요 선진국의 CSR 보고서 발행비율 50

[그림II-10] 정부 및 민간부문 의무고용률 추이 52

[그림III-1] 전략적 CSR의 틀 64

[그림III-2] 사업활동을 통한 사회혁신 모델 66

[그림III-3] 전략적 장애인 고용 관련 CSR의 틀 68

[그림III-4] 노동권 준수에 대한 기업의 공약내용 70

[그림III-5] 연도별 특례자회사 설립증가 추이 76

[그림III-6] 영국 사회적 기업의 주요 수혜자 82

[그림III-7] 영국의 사회적 기업을 통한 취업자 82

[그림IV-1] 정부의 장애인 고용관련 CSR 활성화를 위한 역할과 지원 99

이용현황보기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확산에 따른 장애인고용 활성화 방안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T000025139 전자형태로만 열람가능함 전자자료 이용불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