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연구요약
목차
I. 서론 15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7
2. 연구의 내용 19
3. 연구의 방법 21
4. 연구의 제한점 25
II. 이론적 논의 및 국내 현황 27
1. 아동복지시설 29
1) 아동복지시설의 개념 29
2) 아동복지시설 현황 31
2. 아동복지시설 퇴소청소년 32
1) 아동복지시설 퇴소청소년의 개념 32
2) 아동복지시설 퇴소청소년 현황 33
3. 아동복지시설 퇴소청소년 적응 및 자립 35
1) 아동복지시설 퇴소청소년 적응 및 자립 개념 35
2) 아동복지시설 퇴소청소년 자립지원 현황 36
3) 아동복지시설 퇴소청소년의 적응 및 자립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9
4. 우리나라 아동복지시설 퇴소청소년 정책 46
1) 정책방향 46
2) 주요제도 및 프로그램 47
3) 우리나라 제도 및 프로그램의 문제점 50
III. 외국의 아동복지시설 퇴소청소년 정책 및 프로그램 53
1. 일본 55
1) 정책방향 55
2) 주요 제도 및 프로그램 63
3) 문제점 및 시사점 82
2. 미국 88
1) 정책방향 88
2) 주요 제도 및 프로그램 103
3) 시사점 117
3. 프랑스 122
1) 프랑스의 아동복지 정책 122
2) 프랑스 아동복지의 주요 쟁점과 프로그램 129
3) 특별 프로그램 136
4) 파리시 청소년 복지정책(paris ado sevice) 155
5) 시사점 158
IV. 아동복지시설 퇴소청소년 실태 및 자립지원현황 161
1. 아동복지시설 퇴소청소년의 생활 및 욕구실태 163
1) 아동양육시설 관련 특성 164
2) 일상 및 가족생활영역 173
3) 학교 및 또래관계 영역 184
4) 직장 영역 190
5) 주택 및 지역사회 영역 198
6) 사회적 지지 영역 202
7) 신체 및 심리적 발달 영역 204
2. 아동복지시설 퇴소청소년 자립지원현황 207
1) 아동복지시설 퇴소청소년 자립지원현황 및 사업실태 208
2) 아동복지시설 퇴소청소년의 자립지원의 어려움 및 문제점, 제안점 220
V. 아동복지시설 퇴소청소년의 적응과정 229
1. 퇴소청소년의 일반적 특성 231
1) 진학형 퇴소청소년 231
2) 취업형 퇴소청소년 236
3) 가족통합형 퇴소청소년 243
2. 퇴소청소년의 적응과정에 관한 유형별 분석 248
1) 진학형 퇴소청소년의 적응과정 248
2) 취업형 퇴소청소년의 적응과정 254
3) 가족통합형 퇴소청소년의 적응과정 264
VI. 정책제언 273
1. 제도적 차원에서의 정책제언 275
1) 아동복지시설에서의 체계적인 자립을 위한 준비 대책 수립 275
2) 퇴소청소년의 사후관리 체제 마련 276
3) 각 아동양육시설에서 퇴소청소년의 공동생활가정 운영체제 마련 278
4) 실효성 있는 자립정착금 지급 제도 확립 279
5) 자립지원시설의 개선 280
6) 직업훈련시설의 교육 및 프로그램 확충과 전문 인력의 보강 281
7) 특별한 퇴소청소년을 위한 치료형 보호시설 구축 282
8) 시설 서비스 및 프로그램의 확충과 표준화 283
2. 서비스 영역별 차원에서의 정책제언 284
1) 일상 및 가족생활 영역 284
2) 학교 및 또래관계 영역 286
3) 직장 영역 286
4) 주택 및 지역사회 영역 287
5) 사회적 지지 영역 288
6) 신체 및 심리적 발달영역 289
참고문헌 291
부록 299
[부록 1] 청소년용 설문지 301
[부록 2] 전문가 의견조사지 312
[부록 3] 심층면접지 318
2007년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간행물 안내
연구에 도움을 주신 분들
판권기
[그림 III-1] 요보호 아동에 대한 지방 자치단체의 정보수집과 치료, 평가 128
1. 연구목적
o 이 연구의 목적은 아동복지시설 퇴소청소년들이 어떠한 생활을 하고 있고 어떠한 욕구를 가지고 있으며 심리사회적 적응을 위해 어떠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지, 그 과정에서 구체적으로 필요한 것은 무엇인지 파악함으로써 이들을 위한 개선 및 지원방안을 도출하는 것임.
o 주요 연구방법은 첫째, 선행연구 및 관련통계자료 고찰을 통한 아동 복지시설 개념, 관련현황, 아동복지시설 퇴소청소년 적응 영향요인, 아동복지시설 퇴소청소년 관련 국내 정책 및 프로그램 파악 둘째, 자료검토를 통한 외국의 아동복지시설 퇴소 청소년 정책 및 프로그램 파악 셋째, 설문조사를 통한 아동복지시설 퇴소청소년 실태, 욕구 및 현황 파악 넷째, 심층면접 인터뷰를 통한 퇴소청소년 적응과정 파악 등임.
2. 주요내용
o 아동복지시설 보호아동 현황: 2006년 12월 현재 아동복지시설 보호 아동 현황은 총 18,817명이며 퇴소 아동수는 6,898명임. 아동양육시설의 보호아동수는 17,517명, 아동양육시설 퇴소아동수는 2,946명임.
o 퇴소아동 자립지원시설(자립생활관) 주거제공 현황: 2006년 12월 31일 현재 서울 3개소, 부산 1개소, 대구 2개소, 광주 1개소, 대전 1개소, 충북 1개소, 충남 1개소, 전북 1개소, 전남 1개소, 경남 1개소 총 13개소의 자립지원시설(자립생활관)이 운영에 있으며 이용인원은 총 235명으로 정원인 411명에조차 미치지 못하는 실정임.
o 퇴소아동 자립정착금 지원: 퇴소아동 자립정착금 지원단가 현황을 살펴보면 대부분의 지방자치단체가 퇴소시 아동 1인당 100-500만원의 자립정착금을 지원하였음. 시도별로는 인천이 500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부산, 대전, 강원, 경남이 100만원으로 가장 적음.
o 퇴소아동 전세자금지원: 일부 시도(서울, 부산, 강원, 충남)에서는 시설 퇴소아동에게 전세자금을 지원하고 있음. 2005년 현재 서울의 경우 1인당 2,500만원(2인당 4,000만원), 부산 1인당 1,000만원, 강원 1인당 300만원, 충남 1인당 1,250만원임, 그러나 실제로 이용하는 경우는 거의 드묾.
o 일본의 퇴소아동지원정책 및 프로그램: 리빙케어(living care), 사후케어(after care), 가정지원전문상담원(family social worker), 아동양호 시설분원형 자활훈련사업, 자립원조홈, 직업지도 위탁부모제도 등.
o 미국의 퇴소아동지원정책 및 프로그램: 자립생활프로그램(independent living program), 24시간 긴급전화서비스, 지방정부와 지역대학간의 연계를 통한 대학학자금 보조 프로그램 등.
o 프랑스의 퇴소아동지원정책 및 프로그램: 아동재가복지, 특별예방 프로그램, 길거리 사회교육, 대부모후원제도(le parrainage) 등.
o 우리나라 퇴소청소년의 가장 어려운 점: 아동양육시설 퇴소 후 가장 어려운 점을 살펴보면 살 곳을 마련하는 것(36.5%)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경제적인 어려움(35.7%), 사회적응(13.5%), 직장(10.0%), 외로움(4.3%) 순이었음.
o 가장 필요한 프로그램: 아동양육시설 퇴소와 관련하여 진로지도 및 관련 상담(47.9%)이 가장 필요하다고 인식하였으며 다음으로 직업훈련프로그램(37.2%), 심리적성자립능력검사(26.0%), 주택관리기술(21.5%), 건강관리(20.7%), 성과 결혼에 관한 교육(17.4%), 일상생활관리훈련(15.3%), 자조집단을 통한 자립지도(11.6%) 순이었음.
o 주된 상담자: 아동양육시설 퇴소이후 생기는 생활상의 어려움을 주로 상담하는 사람을 살펴보면 시설의 원장, 사무국장, 생활지도원 선생님이 가장 많았으며(34.0%), 다음으로 시설에서 만난 친구나 선후배(30.3%), 사회에서 만난 친구나 선후배(19.7%), 형제 혹은 자매(16.0%), 혼자(14.8%), 기숙사, 자립생활관, 그룹홈 등의 선생님(9.4%) 순이었음.
o 스트레스: 지난 세 달간 가장 스트레스 받은 항목(복수응답)은 경제적 영역이 가장 많았으며(76.1%), 진로관련영역(45.7%), 심리적영역(42.5%), 인간관계영역(35.6%), 일관련영역(26.7%), 가사생활영역 (24.3%) 순이었음.
o 진학형 청소년, 취업형 청소년, 가족통합형 청소년의 적응과정 분석결과 잦은 이직과 학업에서의 부족한 전공과 직업 간의 괴리감, 직업불안정성으로 인해 미래에 대한 불안 등을 경험하고 있었음. 그러나 이러한 현상은 일반적인 것이 아니며 개인적인 적응력이나 적절한 사회적 지지에 따라 긍정적 적응을 하는 사례도 상당부분 있었음.
3. 정책제언
o 2007년 4월부터 도입된 아동발달지원계좌(CDA) 강화, 확대
o 아동복지시설에서의 체계적 자립을 위한 자립생활프로그램(Indepencet Living Program)의 제도화
o 퇴소청소년 사후관리를 위한 전담기구 및 인력배치 의무화
o 아동양육시설 청소년의 퇴소로의 전이(transition) 준비를 위한 가족형 준자립형 공동생활가정 입소 확대
o 실효성 있는 자립정착금 지급 및 전세자금 지원방안 모색
o 보건복지부와 국가청소년위원회 공동으로 퇴소청소년을 위한 24시간 긴급지원전화 및 상설지원센터 설치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T000025038 | 전자형태로만 열람가능함 | 이용불가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