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지 등]
목차
인사말 8
요약 9
I. 서론 12
II. 본론 14
1. 우리나라 ODA의 현황과 문제점 14
1.1. 양적 측면 14
1.2. 질적 측면 17
1.3. 구조적 측면 19
2. 한국국제협력단 이라크 재건지원 사업 평가 22
2.1. 한국국제협력단 이라크 재건지원 사업 실적 22
2.2. 한국국제협력단 이라크 재건지원 사업의 문제점 26
2.2.1. 이라크 편중 지원으로 인한 빈국에 대한 소외 26
2.2.2. 한국 ODA의 방향성의 실종 29
2.2.3. 한탕주의식 사업집행 32
2.2.4. 부실한 사업 관리·평가 및 실적 부진 33
2.2.5. 과도한 정치적 지원으로 인한 인도주의적 지원의 부족 35
2.3. 한국국제협력단 이라크 재건지원 사업의 분야별 평가 37
2.3.1. 교육훈련 분야 37
2.3.2. 보건의료 분야 38
2.3.3. 행정제도 분야 40
2.3.4. 정보통신 분야 41
2.3.5. 산업에너지 분야 42
2.3.6. 환경 및 기타 분야 43
3. 우리나라 ODA의 개선 방향 45
3.1. ODA사업 양적 확대를 위한 범국가적 협력 체제 마련 45
3.2. 무상원조사업의 일원화 체계마련 46
3.3. ODA에 관한 국민 의식 및 공감대 확대 48
3.4. DAC가입을 통한 본격원조 체제 도입 48
4. 한국국제협력단과 이라크 재건지원 사업에 대한 개선 방향 50
4.1. 이라크 재건지원 사업에 대한 감사원 감사 실시 50
4.2. 한국국제협력단의 인적쇄신과 직원에 대한 처우개선 51
4.3. 부실한 사업평가 및 사후 관리 시스템의 개선 52
4.4. 이라크 정부와의 보다 긴밀한 파트너십 구축 54
4.5. 향후 이라크 정세 변화에 대한 대응책 마련 55
4.6. 인도주의적 사업 지원의 보다 폭넓은 확대 55
4.7. 이라크 및 중동 관련 전문가 양성 시스템 마련 56
III. 결론 57
참고자료 60
[뒷표지] 61
〈그림 1〉 DAC 회원국의 ODA 현황 14
〈그림 2〉 DAC 회원국의 GNI 대비 ODA 15
〈그림 3〉 연도별 ODA 지원 현황 16
〈그림 4〉 한국국제협력단평가제도 운영시스템 53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1374684 | 328.345 -9-168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
0001374750 | 328.345 -9-168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
0001863792 | 328.345 -9-168 | 부산관 서고(열람신청 후 2층 주제자료실)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