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신서 ; 1939 하버드 비즈니스 클래식 = Harvard busines classics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50916527 ISBN: 9788950916701(세트)
제어번호
MONO1200938548
주기사항
원표제: Harvard business review on top-line growth
연계정보
외부기관 원문
목차보기
목차
1 수익 창출의 리더십 _ 폴 헴프
2 탁월한 매출성장을 유지하는 방법 _ 게리 하멜, 게리 게츠
3 혁신의 8가지 유형에 따른 수익성 평가 _ 제프리 무어
4. 새로운 수익원, ‘대중적 부유층’의 등장 _ 폴 눈스, 브라이언 존슨, R 티모시 브린
5 수익에 유리한 제휴ㆍ합병의 기술 _ 제프리 다이어, 프라샨트 케일, 하비어 싱
6. 수익성 높은 고객을 획득ㆍ유지하는 방법 _ 재클린 토머스, 베르너 라인알츠, V 쿠마르
7 CEO는 성장 의제를 어떻게 관리하는가 _ 란제이 굴라티, 케네스 프리먼, 조지 놀렌, 존 타이슨, 케네스 루이스, 로버트 그리필드
8 매출과 수익을 모두 실현하는 전략적 사고 _ 김위찬, 르네 마보안
이용현황보기
수익 창출의 원리 : 수익성을 담보한 기업 성장전략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1387052
658.406 -9-6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1387053
658.406 -9-6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하버드 비즈니스 스쿨이 발행하는 「Harvard Business Review」의 고급 경영정보만을 엄선한 정통 비즈니스 총서
시대를 뛰어넘는 현대경영학의 진수
믿을 수 있는 경영정보, 하버드비즈니스클래식 시리즈
1992년 하버드 비즈니스 스쿨은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라는 경영학술지를 발간했다.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는 여타 학술지와는 다른 독특한 특성을 갖고 있었는데, 우선 일반적인 학술지와는 달리 철저하게 경영자를 위한 학술지였다. 통상 학술지라고 하면 일반경영자들보다는 학자나 박사과정 학생들이 즐겨보는 것이 현실이다. 하지만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는 거의 유일하게 창간 이후 지금까지 독창적이면서 혁신적인 경영아이디어를 다루면서도 결코 경영자들을 실망시키지 않는 풍부한 시사점을 갖춘 경영의 주제들을 담고 있다. 엄격한 학문적인 기준에서는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는 학술지가 아니라 경영잡지에 불과하다는 혹독한 비판도 있지만, 기업계는 물론 학계나 기타 컨설팅업계에서도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를 인정하는 것은 시대를 관통하는 촌철살인의 문제의식과 독창적인 아이디어를 담고 있기 때문이다. 이제 막 100년을 넘긴 경영학의 역사에서 한 시대를 대표하는 핵심적인 이론과 개념들이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를 통해 발표되었다는 것은 주목할 만한 일이다. 예컨대 마이클 포터의 산업구조분석5 forces model, 게리 하멜의 핵심역량core competence, 마이크 해머의 리엔지니어링reengineering, 로버트 캐플란의 균형성과표balanced scorecard 등 경영학의 역사에서 하나의 변곡점을 만들어낸 주요 개념과 이론들이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를 통해 소개되었다. 뿐만 아니라 20세기 초의 GM, 포드, 듀폰 코닥 P&G는 물론 20세기 후반 GE, IBM, 인텔, 마이크로소프트, 애플, 구글 등 수많은 성공기업의 사례도 이 학술지를 통해 전 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어디 그 뿐인가. 피터 드러커, 헨리 민츠버그, 존 코터, 짐 콜린스, C. K. 프라할라드, 잭 웰치 등 세계적인 석학이나 성공한 경영자의 사상과 경험들을 접할 수도 있다. 이번에 21세기북스에서 발간되는 하버드비즈니스클래식은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에 논문 중에서 시대를 초월해 통찰력이 돋보이는 글들을 엄선해 주제별로 묶은 것으로, 온갖 경영정보가 난무하는 현실에서 공신력있는 경영지식을 찾는 독자들에게 좋은 길라잡이가 될 것이다.
하버드비즈니스클래식 특징
1. 다양성 각각의 단행본들이 다루고 있는 주제들에 대한 다양한 시각을 살펴볼 수 있다. 복잡한 경영의 이슈들을 하나의 이론이나 주장으로 이해한다는 것은 애초부터 불가능한 일일 것이다. 하버드비즈니스클래식은 유일무이한 한 가지 해답보다는 다양한 관점과 해석, 접근법을 소개한다. 그리고 마치 토론을 통해 스스로 해답을 찾아가는 사례교육처럼 다양한 시각을 담은 글 속에서 독자들 스스로 깨달음을 얻도록 유도한다.
2. 연계성 각각의 글들은 하나의 주제를 중심으로 서로 연결된다. 따라서 독자들은 다양한 글을 읽으면서도 다루는 주제에 대한 공통점이나 보완점들을 발견할 수 있다. 논문들은 각기 다른 시각을 제공하지만, 각각은 하나의 체계를 갖추고 있기 때문에 독자들이 일독을 마칠 무렵에는 머릿속에 주제와 관련된 큰 그림이 그려진다.
3. 실용성 연구를 위한 연구, 소수 학자들을 위한 현학적 수사를 배제한 철저하게 실무적인 이슈와 시사점들을 다루고 있다. 아무리 훌륭한 이론이더라도 실제 기업 경영에 대한 시사점이 부족하고 경영자들이 이해하기 힘든 개념이나 숫자들로 채워졌다면 구성에서 제외했다. 여기에 실린 글들은 ‘실제 기업 경영에 미치는 영향력’이라는 잣대로 평가되고 있다. 다시 말하면 경영자들에게 영향력이 있는 논문이 곧 뛰어난 논문인 셈이다.
하버드비즈니스클래식의 구성
이 시리즈는 4개의 분야로 구성되어 있다. - 전략과 실행 Strategy and Execution - 리더십과 조직관리 Leadership and Organization - 마케팅 Marketing - 글로벌 비즈니스 Global Business
수익성을 담보한 기업 성장전략
1. 수익 창출의 리더십 _ 폴 헴프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의 선임 편집자인 폴 헴프가 대규모 제약회사 암젠의 CEO 케빈 쉐어를 인터뷰한 내용을 담았다. 케빈 쉐어는 기업이 순조롭게 운영되는 중에 경영자가 직면하게 되는 어려움에 대해서 이야기한다. 그리고 ‘리더의 행동’은 고성장을 요구하는 환경에 맞춰져야 한다고 조언한다.
2. 탁월한 매출성장을 유지하는 방법 _ 게리 하멜, 게리 게츠 저자들은 탁월한 성과를 올리기 위한 혁신의 5가지 필수 요소를 제시한다. 첫째, 혁신 프로세스와 행사에 직원들을 참여시켜 직위에 관계없이 혁신 대비 직원의 숫자를 늘릴 것. 둘째, 고객의 기대에 부응하는 아이디어와 산업에 변화를 가져올 아이디어 개발에 집중할 것. 셋째, 기업의 내부에서뿐만 아니라 외부에서도 혁신의 원천을 찾을 것. 넷째, 비교적 위험성이 낮은 소규모 실험에서 배운 것들을 증대할 것. 다섯째, 장기간의 지속적인 개발 노력을 꾸준히 수행할 것.
3. 혁신의 8가지 유형에 따른 수익성 평가 _ 제프리 무어 저자는 혁신의 유형을 8가지로 나눈다. 즉 파괴적 혁신, 응용혁신, 제품혁신, 프로세스 혁신, 경험혁신, 마케팅 혁신, 비즈니스 모델 혁신, 구조적 혁신이 바로 그것이다. 많은 경영진이 어떤 종류의 혁신에 집중할지를 결정하는 것이 어렵다고 생각한다. 최선의 선택 방법은 시장에서의 수명 단계를 고려하는 것이다.
4. 새로운 수익원, ‘대중적 부유층’의 등장 _ 폴 눈스, 브라이언 존슨, R. 티모시 브린 지난 10년간 가계소득의 분포는 상당히 바뀌었다. 그로 인해 진정한 의미의 부자는 아니지만 소득이 높은 소비자들의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그 결과 이들을 겨냥한 새로운 제품 출시는 다수의 범주에서 매우 수익성이 높은 ‘새로운 중간 지대’를 형성했다. 기업은 시장에서 이 새로운 영역을 어떻게 이용할 수 있을까? 중요한 것은 이미 제공된 제품 포지셔닝과 디자인, 그리고 그것을 시장으로 가져오는 방법을 ‘새롭게’하는 것이다.
5. 수익에 유리한 제휴ㆍ합병의 기술 _ 제프리 다이어, 프라샨트 케일, 하비어 싱 합병과 제휴는 성장전략의 두 기둥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비즈니스는 성장 목표를 달성하는 대안 메커니즘으로 이 2가지를 고려하지 않는다. 그 결과 기업을 제휴해야 했을 기업을 인수하고, 인수해야 했을 기업과는 제휴하는 등 인수 합병과 제휴를 혼동한다. 저자들은 기업들이 방향을 정하기 전에 합병과 제휴의 상대적인 장점과 단점들에 대해 심사숙고 하지 않는 이유를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현명한 제휴ㆍ합병에 대해서 조언한다.
6. 수익성 높은 고객을 획득ㆍ유지하는 방법 _ 재클린 토머스, 베르너 라인알츠, V. 쿠마르 다수의 마케터들은 찾는 비용과 유지 비용이 적게 드는 고객을 유치함으로써 비용을 최소화하려고 애쓴다. 이와 달리 될 수 있는 한 많은 고객을 얻고, 고객을 오랫동안 유지하려고 애쓰는 마케터들도 있다. 하지만 고객은 이들의 수익성을 높여주기 위해 충성스러울 필요가 없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기업은 프로세스 각각의 단계에서 성과 측정을 최대화하려고 애쓰기보다는, 직접 마케팅을 수익 창출의 단일 시스템으로 볼 때 보다 많은 것을 얻을 수 있다.
7. CEO는 성장 의제를 어떻게 관리하는가 _ 란제이 굴라티, 케네스 프리먼, 조지 놀렌, 존 타이슨, 케네스 루이스, 로버트 그리필드 기업 성장에 관해 지식과 경험이 많은 5명의 경영진은 그들의 경력을 쌓아온 기업에서 리더십 역할을 어떻게 수행하고 총매출 성장에 어떻게 접근했는지를 설명한다. 그들은 자신들이 대표로 있는 기업과 산업 부문에서 다양하게 성장전략을 변경하며 이루어진 지금까지의 성과에 대해 진솔하게 들려준다.
8. 매출과 수익을 모두 실현하는 전략적 사고 _ 김위찬, 르네 마보안 전통적인 전략을 기본의 기본에 두어서는 안 된다. 다수의 기업을 자사의 산업 조건을 주어진 것으로 여기지만 가치 혁신가들은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 다수의 기업이 경쟁사를 전략 사고의 매개변수로 생각하는 반면, 가치 혁신 기업을 경쟁사를 벤치마킹 대상으로 이용하지 않는다. 가치 혁신 기업은 고객들간의 차이점에 주력하는 한편, 고객들이 공통적으로 가치 있다고 생각하는 것들을 찾는다. 가치 혁신 기업은 기존의 자산 및 역량에서 기회를 찾기 보다는 “우리가 다시 한 번 시작한다면 어떻게 될 것인가?”라고 묻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