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용역연구개발과제 최종보고서[개인신상정보 삭제]

제출문

목차

최종보고서 요약문[개인신상정보 삭제] 8

Summary[개인신상정보 삭제] 10

연구개발과제 연구결과 12

제1장 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목표 12

1절 연구개발과제의 목표 12

1. 연구의 필요성 12

2. 최종 연구 목표 13

2절 연구개발과제의 목표달성도 15

1. 국내 각 기관의 분류법과 CODEX 및 외국의 농수축산물 분류법 비교 검토 15

2. 국내 관련연구의 인덱스 작성 및 DB화를 위한 자료입력 15

3. 국내 식품원재료와 CODEX 분류상의 식품항목 일치여부 검토 15

4. 신 식품분류(안) 작성과 DB화를 위한 자료 입력 15

3절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16

1. 국내연구동향 16

2. 국외연구동향 16

제2장 총괄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18

1절 연구내용 18

2절 연구방법 18

1. 기초 자료 수집 및 분석 18

2. 관련연구 인덱스 작성 18

3. 자문위원단 구성 및 운영 18

4. 워크샵 개최 19

5. 공청회 개최 19

6. 관련부처와의 협의 19

7. 분류안 작성 및 분류안에 따른 DB 자료 입력 19

8. 보고서 작성 및 제출 19

제3장 총괄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결과 20

1절 국내의 식품분류체계 및 연구 20

1. 식품공전의 식품분류 20

2. 식품공전의 농약 잔류허용기준에서의 품목분류 23

3. 농수축산물 표준코드시스템에서의 품목분류 24

4. 관세 품목분류체계(HS)에서의 품목분류 26

5. 식품 수급표에서의 품목분류 30

6. 식품성분표에서의 품목분류 32

7. 국가 식물 자원정보 관리시스템에서의 품목분류 32

8. 수입식품검사 전산시스템에서의 품목분류 35

9. 기타 품목분류 37

2절 국외 식품분류 체계 및 연구 45

1. 주요 외국의 식품분류 체계 45

2. CODEX CCPR의 분류 체계 76

3. 국내외 식품분류법 비교 검토 83

3절 관련연구 인덱스의 작성 87

1. 관련연구 인덱스의 작성 87

2. 주요 관련 연구의 내용 87

4절 식품분류 전문가 자문위원단 구성과 운영 98

1. 자문위원단 구성 및 위촉 98

2. 자문위원단 운영 99

3. 공청회 개최[개인신상정보 삭제] 99

5절 품목분류가 모호한 품목류 조사[개인신상정보 삭제] 113

6절 CODEX 식품분류안에 반영 할 국내자료의 작성[개인신상정보 삭제] 121

1. 우리나라 인삼의 품목분류에 관한 자료 작성 121

2. 그 외 CODEX 활동지원 141

7절 관련부처 의견 검토 의뢰 142

1. 관련부처 의견 수렴 142

2. 1차 실무회의 참석(08.7.30) 142

3. 2차 실무회의 참석(09.1.22) 142

8절 국제조화를 이룬 신 식품분류안 작성 148

1. 신 식품분류안 품목분류 설정 배경 148

2. 대/중 분류안의 구분과 정의 작성 149

3. 국제조화를 이룬 신 식품분류안 작성 157

제4장 연구개발과제의 연구결과 고찰 및 결론 159

1절 연구결과 고찰 159

2절 결론 159

제5장 연구개발과제의 연구성과 160

1절 활용성과 160

2절 활용계획 161

제6장 기타 중요변경사항 161

제7장 참고문헌 162

총괄 연구과제 요약[개인신상정보 삭제] 166

부록 : 국제조화를 위한 식품분류(안) 168

표목차

[표 1] 식품공전 농산물의 형태 및 농약의 잔류특성에 따른 분류 23

[표 2] 농수산물 표준코드 체계 25

[표 3] HS의 농산물 품목배열 및 내용 28

[표 4] 우리나라 식품수급표 식품군 및 품목 31

[표 5] 국가표준식물목록 식물 수 33

[표 6] 농수산물 표준코드 시스템, 농산물 관세 품목분류체계, 식품성분표, 식품영양가표, 식품수급표, 수입식품전산시스템의 식품분류 비교 38

[표 7] 식품공전 내 식품분류 비교 41

[표 8] 일본의 식품분류표 46

[표 9] 미국의 식품 원재료 분류표 51

[표 10] EU MRL설정을 위한 Food Grouping 57

[표 11] FAO 분류 62

[표 12] 중국의 식품분류 67

[표 13] 네덜란드의 식품분류 68

[표 14] CCPR의 향신료와 건조고추 code number 80

[표 15] 식품공전 분류와 국외 분류 비교 84

[표 16] 식품분류 관련연구 목록 88

[표 17] 식품분류 전문가 자문위원단 명단 98

[표 18] 품목분류가 모호한 식품류 조사표 114

[표 19] 품목분류조사표 정리 115

[표 20] 1차 검토의뢰 회신 자료(CODEX 분류안에 없는 채소 및 과수) 143

[표 21] 2차 검토의뢰 회신자료(추가 필요품목) 147

[표 22] 신 식품분류 중분류의 정의 및 대표식품 150

[표 23] 식품공전 분류안과의 Matching 비교 155

[표 24] 신 식품분류안 수록 품목수 158

그림목차

[그림 1] HS 코드 상품분류 예 29

[그림 2] 국가식물자원정보관리시스템 검색화면 34

[그림 3] 수입식품전산시스템 품목분류내역 화면 36

[그림 4] 미국 EPA의 식품원재료 검색 화면 56

[그림 5] EU의 식품별 MRL조회 화면 59

[그림 6] FAO의 Grouping과 품종 선택의 예 61

이용현황보기

식품분류의 국제조화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T000030369 전자형태로만 열람가능함 전자자료 이용불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