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제출문

참여진

목차

제I편 사업개요 9

제1장 사업의 배경 및 목적 10

1. 추진배경 10

2. 사업목적 10

제2장 추진경과 11

1. 총괄 11

2. 2차 사업 내용 14

3. 사업추진 체계 15

제II편 습지기능평가 기준(안) 설정 연구 18

제1장 과업 범위 20

1. 총괄 20

제2장 습지 기능평가 기준(안) 설정 연구 21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21

2. 습지의 기능 및 가치평가 21

3. 수정 평가(안) 38

4. 결론 62

제III편 습지 GIS-DB 구축 64

제1장 과업 범위 66

1. 총괄 66

제2장 습지 GIS-DB 구축 67

1. 습지 GIS-DB 속성 67

2. 습지 GIS-DB 대상 70

3. 습지 GIS-DB 구축방법 70

4. 습지 GIS-DB 구축결과 71

제IV편 인터넷서비스 시스템 확대보완 78

제1장 과업 범위 80

1. 총괄 80

제2장 인터넷서비스 시스템 확대보완 81

1. 습지 GIS-DB 질의기능 강화 81

2. 회원관리 등 관리자페이지 기능 강화 91

3. 신규지형도 서비스 99

4. 사업단 메일호스팅 서비스 101

부록 - 기능평가 Field form 168

부록 - 습지 GIS-DB 구축결과 312

표 차례

〈표 1-1〉 1차사업 GIS-DB 구축 결과 12

〈표 1-2〉 2차사업 추진경과 14

〈표 1-3〉 사업추진 체계 15

〈표 1-4〉 조직별 역할 15

〈표 1-5〉 임무분장 및 참여인력 16

〈표 2-1〉 EPA가 제시하는 습지의 기능(www.epa.gov) 23

〈표 2-2〉 습지의 기능 (Admiraal et al., 1997; California Resources Agency, 1999; Cylinder et al., 1995; Kusler et al., 1996; Ramsar, 1997; Tilton et al., 2001; USACE, 1998; USGS, 1999) 25

〈표 2-3〉 Summary of 14 wetland evaluation methods reviewed for ecological criteria 27

〈표 2-4〉 습지의 평가를 위해 선행연구들에서 사용된 기준들 Classes of evaluation criteria and their frequency of use in 14 wethland evaluation methods. Adamus (1983) and Adamus et al. (1987) methods contain identical classes of criteria and are combined in this table(Osborn, 1996) 28

〈표 2-5〉 간이기능평가에 의한 습지 기능 및 가치평가 기준 29

〈표 2-6〉 습지정보관리체계의 평가항목 및 내용 30

〈표 2-7〉 습지정보관리체계의 평가기준 및 점수 31

〈표 2-8〉 적합성 평가기준 및 이론적 근거 32

〈표 2-9〉 서식처 적합성에 대한 평가기준 및 점수 33

〈표 2-10〉 기능 평가 항목 및 지표 예시 (기존 평가표안) 35

〈표 2-11〉 기존평가 안의 결과에 따른 습지 보전 가치 판단 기준 37

〈표 2-12〉 기능 평가 항목 및 지표 예시 (수정 RAM) 39

〈표 2-13〉 수정 평가안의 결과에 따른 습지 보전 가치 판단 기준 41

〈표 2-14〉 정밀조사습지 기능평가 결과표 60

〈표 3-1〉 습지 GIS-DB 항목 67

〈표 3-2〉 습지 GIS-DB 구축 절차 70

〈표 3-3〉 습지 GIS-DB 구축 결과 71

그림 차례

〈그림 1-1〉 국가습지 인벤토리 구축 사업의 목표 10

〈그림 1-2〉 국가습지 인벤토리 구축 사업의 추진경과 11

〈그림 1-3〉 1차사업 주요 사업 내용 11

〈그림 1-4〉 1차사업 GIS-DB 구축 결과 13

〈그림 2-1〉 습지 기능평가 기준(안) 설정연구 과업범위 20

〈그림 2-2〉 습지의 기능과 가치(USGS,1999) 22

〈그림 2-3〉 sedimentation trap : 습지는 침전물을 여과, 제거하는 기능이 존재 22

〈그림 3-1〉 습지 DB 구축 과업범위 66

〈그림 3-2〉 한강하구 습지보호지역 구축 결과 72

〈그림 3-3〉 정밀조사습지 구축 결과 73

〈그림 3-4〉 일반조사습지 구축 결과 74

〈그림 3-5〉 경기도 내륙습지 구축 결과 75

〈그림 3-6〉 낙동강유역 습지 구축 결과 76

〈그림 4-1〉 인터넷서비스 시스템 확대보완 과업범위 80

〈그림 4-2〉 습지 GIS-DB 질의기능 강화 81

〈그림 4-3〉 습지 GIS-DB 검색 82

〈그림 4-4〉 습지 GIS-DB 검색 결과 83

〈그림 4-5〉 습지 GIS-DB 검색 결과 전체속성 보기 84

〈그림 4-6〉 습지 GIS-DB 검색 결과 전체속성 다운로드 85

〈그림 4-7〉 습지 GIS-DB 검색 결과 보고서 다운로드 86

〈그림 4-8〉 습지 GIS-DB 검색 결과 이미지 보기 87

〈그림 4-9〉 습지 유형 GIS-DB 검색 결과 88

〈그림 4-10〉 습지명 GIS-DB 검색 결과 89

〈그림 4-11〉 회원로그인 및 회원가입 기능 90

〈그림 4-12〉 회원가입시 약관 동의 절차 91

〈그림 4-13〉 본인확인을 위한 실명확인 92

〈그림 4-14〉 실명확인 서비스 93

〈그림 4-15〉 회원가입 94

〈그림 4-16〉 로그인 화면 95

〈그림 4-17〉 회원관리 페이지[개인신상정보 삭제] 96

〈그림 4-18〉 회원대상 메일링 서비스 97

〈그림 4-19〉 홈페이지 접속자 통계 98

〈그림 4-20〉 신규지형도 서비스 99

〈그림 4-21〉 신규지형도 서비스 상세화면 100

〈그림 4-22〉 사업단 메일호스팅 서비스[개인신상정보 삭제] 101

이용현황보기

(제2차)국가습지 인벤토리 구축 사업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T000030433 전자형태로만 열람가능함 전자자료 이용불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