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고농서국역 발간 추진위원

조선총독부 농사시험장 소재지도

전임장장 농학박사 혼다(本田辛介)

전임장장 농학박사 하시모토(橋本在五郞)

전임장장 농학박사 다이쿠(大牙原銀於卽)

장장 농학박사 가토(加藤茂包)

본장 청사

서호 일춘구, 여기산 및 향미정

잠사부

여자잠업강습소

남선지장

목포선착지장

서선지장

북선지장

화산 목장

차련관 잠업출장소

용강선착 출장소

김제 간척 출장소

서언

범례(예언)

목차

연혁 43

조선총독부 농사시험장 연혁 43

권업모범장 개장식에서의 혼다(本田) 장장 식사 55

권업모범장 개장식 당일의 이토(伊藤) 통감 훈사 57

조선총독부 농사시험장 관제 59

조선총독부 농사시험장 사무분장 규정 60

조선총독부 농사시험장 직원 (1931년 5월 현재) 62

창립이래 구직원표 64

제1편 사업개요 66

종예 67

〈수도(水稻)〉 68

품종 68

1. 개요 68

2. 재래 수도 품종의 특성 69

1) 까락(芒)의 유무 69

2) 출수기와 생육일수 69

3) 도열병에 대한 저항성 70

4) 줄기길이(稈長)와 이삭길이(穗長) 72

5) 이삭당 벼 알수(粒數) 73

6) 줄기수(莖數) 74

3. 우량 품종의 선정과 육성 77

4. 기타(자연잡종 정도) 조사 79

재배 및 비료 80

1. 못자리(苗代) 80

1) 못자리 양식(苗代樣式) 80

2) 묘대 비료 82

3) 파종기 82

4) 파종량 83

5) 관리 86

2. 본답(本沓) 87

1) 경서(耕서: 경운) 시기 87

2) 비료 87

3요소 적량시험 성적 88

질소비료의 효과 89

질소시비(3.75kg) 대한 현미 증수량 91

논갈이 깊이(耕서)와 비료 용량 91

3) 이앙(移秧) 94

이앙기와 육묘 94

이앙주수와 볏대수(本數) 94

4) 제초 96

제초의 시기와 횟수 96

피(稗) 방제법 97

적미의 방제법 97

5) 수확 및 조제 98

수확 적기 98

나락의 건조 99

나락의 조제 99

벼 가마니(입)의 표준 100

〈밭작물 재배(田作物 栽培)〉 101

밭작물 재배 개요 101

1. 조선의 밭작물과 기상 개관 101

2. 밭작물의 작황과 기상과의 관계 105

1) 추파대맥 105

2) 추파 소맥 105

3) 춘파 대맥 105

4) 조(栗) 106

3. 내한(耐旱) 경종방법 106

1) 파종 106

2) 시비법 106

3) 파종 후 밟기(踏壓) 107

4) 관리 107

5) 배토(培土) 108

6) 비료 배합법 109

7) 밭갈이 깊이(耕起深度) 110

4. 동해방지(耐凍) 경종방법 110

1) 정지 111

2) 파종 위치 112

3) 파종량 113

4) 파종방법 113

5) 파종 시기 114

6) 시비 방법 114

7) 피복 115

5. 간작(間作)과 한발피해(旱害) 116

6. 한해(旱害) 또는 수해 전후 대책으로서의 전작물(田作物) 선택 117

7. 돌려짓기 118

〈가을보리(秋播大麥)〉 122

품종 122

1. 재래 품종의 조사 122

2. 우량 품종의 선정과 육성 126

3. 보리의 유전에 관한 시험조사 129

재배 129

1. 정지(整地) 129

2. 파종기 131

3. 파종량 132

4. 파종법 133

5. 파종구 넓이 133

6. 파종위치 134

7. 복토 135

8. 흙 넣기(土入) 135

9. 중수재배 135

비료(肥料) 136

1. 3요소의 비효 136

2. 3요소와 월동력과의 관계 138

3. 퇴비의 효과 138

4. 추비 140

〈봄보리(春播大麥)〉 141

재배 141

1. 파종기 141

2. 파종량 141

3. 중경(中耕) 142

4. 흙 넣기(土入) 142

5. 다비재배와 품종 143

〈밀(小麥)〉 144

품종 144

1. 재래품종의 특성 조사 144

2. 우량품종의 선정과 육성 147

재배 148

1. 정지(整地) 148

2. 이랑의 방향 149

3. 파종기 149

4. 파종구 넓이 150

5. 복토 150

6. 흙 넣기(土入) 151

7. 증수 재배 151

비료 151

1. 각종 비료의 효과 151

2. 덧거름(追肥) 152

〈육도〉 154

품종 154

1. 재래 품종의 특성 154

2. 우량 품종의 선정 155

재배 155

1. 파종기 155

2. 종자의 준비(豫措) 155

3. 이식과 직파 156

4. 시비법 156

5. 제초 및 토양교요(攪擾) 157

6. 빗물가두기(雨水저溜) 157

〈조(栗)〉 158

재배 158

1. 정지 158

2. 파종기 158

3. 파종량 159

4. 파종법 159

5. 솎기 160

6. 시비의 효과 160

〈고구마(甘藷)〉 161

품종 161

재배 162

1. 육묘 162

2. 채묘방법과 수량과의 관계[원문불량;p.99] 163

3. 이식기 164

4. 고구마의 맥간작 165

5. 묘의 저장 166

6. 재식법 167

7. 재식 거리 167

8. 삽식법 168

9. 덩굴 제치기(蔓返し) 168

10. 덩굴올림재배(支柱作) 168

11. 수확 적기 169

12. 저장법 169

1) 수확기와 저장력과의 관계 169

2) 저장방법 170

3) 저장소 지형의 양부 170

4) 저장고(움)의 구조와 저장력 171

5) 저장고 충전 재료의 종류와 저장력[원문불량;p.109] 172

〈감자(馬鈴薯)〉 175

품종 175

재배 176

1. 정지 176

2. 식부기 176

3. 복토 177

4. 씨감자의 대소와 쪼개기 177

5. 씨감자(종서)의 퇴화현상 178

6. 퇴화 방지법 179

1) 품종의 선택 179

2) 채종법 179

7. 수확기 181

8. 2기작 182

1) 품종과의 관계 182

2) 최아방법 182

3) 식부법 182

4) 2기작의 수량 183

9. 적화와 적아 184

10. 한 눈 심기(1芽植) 184

비료 185

1. 칼리비료의 효과 185

2. 퇴비의 비효 186

〈콩(大豆)〉 187

품종 187

1. 재래품종의 특성[원문불량;p.123] 187

2. 우량 품종의 선정 188

3. 보리 뒷그루 콩 품종 188

재배 190

1. 파종기 190

2. 파종량 191

3. 간작 192

비료 193

〈대마〉 195

품종 195

1. 재래품종의 특성 195

1) 개화기(수꽃) 195

2) 초장 197

3) 채종량 197

2. 우량 품종의 선정 198

재배 198

1. 파종기 198

2. 파종량 200

3. 채종 200

비료 201

1. 각종 비료의 효과 201

2. 칼리 비료의 효과 202

〈곤마(곤麻)〉 203

품종 203

재배 204

1. 파종기 204

2. 포기 사이 205

3. 채유(採油) 206

비료 206

1. 각 요소의 효과 206

〈녹비 작물〉 208

추파 녹비 208

춘파 녹비 209

여름작물의 간작 녹비 210

〈팥(小豆)〉 212

재래 품종의 특성 212

〈녹두(綠豆)〉 217

재래품종의 특성 217

〈옥수수(玉蜀黍)〉 219

재래품종의 특성 219

〈들깨(荏)〉 220

재래품종의 특성 220

〈목초(牧草)〉 223

원예(園藝) 225

〈과수〉 226

1. 총설 226

2. 조선의 기후와 과수의 생육상황 227

3. 조선의 기후 및 과수의 종류와 품종 230

4. 과수 재배에 관한 주요 사항 232

1) 토질과 지형 232

2) 재식거리 233

3) 재식방법 235

4) 대목(砧木) 237

5) 우량 품종 238

6) 축력이용[원문불량;p.175] 239

7) 비료 240

8) 저장 242

9) 수형 243

10) 전정 246

11) 과수의 노쇠와 그 선후책(善後策) 248

5. 본 장 과수원의 연중 주요 행사 251

6. 조선 재래과수 257

1) 밤(栗) 258

2) 배 258

3) 감(시) 259

4) 기타 과수 259

〈채소(蔬菜)〉 260

1. 총설 260

2. 채소 재배와 조선의 기후 특징 261

1) 파종과 발아 262

2) 이식 263

3) 관수 264

4) 기후와 종류 266

3. 채소 종류별 우량 품종 267

4. 경종 개요 268

5. 조선 재래채소 272

1) 배추류(숭類) 273

2) 무 273

3) 참외 274

4) 마늘(葫) 276

5) 생강(薑) 277

6) 호박 277

7) 박(호리병 박, 扁蒲) 277

6. 조선에서 채소류의 온실재배 278

7. 채소의 저장 280

8. 조선에서의 특수한 채소 재배 283

1) 배추의 채종재배 283

2) 온돌식 온상재배 284

3) 온돌 안에서 두류의 재래 연화재배[원문불량;p.221] 285

4) 전라남도 무등산의 수박재배 285

5) 충청남도 대전에서의 오이 촉성재배 286

9. 조선의 김치 288

토지 개량 291

1. 개설 292

2. 저수지에 관한 조사 293

1) 집수비율에 관한 조사 293

2) 기타 사항 301

3. 관개에 관한 조사 301

1) 논의 관개수량에 관한 조사 301

2) 삼투 과잉에 대한 시험조사 304

3) 관개수온이 벼 수량에 미치는 영향 304

농구 307

개설 308

재래 농구 308

1. 경서 용구 (耕鋤 用具) 310

2. 파쇄 및 진압용구 311

3. 파종 및 시비용구 313

4. 중경 제초용구 314

5. 관개용구 316

6. 수확용구 317

7. 조제용구 318

8. 정곡 및 정분용구 321

9. 운반용구 324

10. 축산 용구 327

11. 가공용구 330

12. 경서 용구 중 중요한 쟁기(犁) 334

13. 증경제초용구 중 중요한 호미 338

14. 조제용구 중 중요한 연자매와 방아 338

15. 재래 농구의 장래 340

시험 및 조사 성적 340

1. 인력용 회전 탈곡기(稻급機) 340

2. 답작용 쟁기 344

3. 전작용 쟁기 351

4. 답작용 중경 제초기 359

해충 365

개설 366

벼의 해충 369

1. 이화명충(二化螟충) (Chilo simplex Butler) 369

2. 끝동매미충 (Nephotettix cincticeps Uhler) 372

3. 흰등멸구 (Sogatella furcifera Honvath) 372

4. 벼멸구 (Nilaparvata lugens Stal) 373

5. 벼애나방(稻螟령) (Naranga aenescens Moore) 375

6. 혹명나방 (Cnaphalocrocis medinalis Guene) 376

7. 벼잎벌레 (Oulema oryzae Kuwayama) 377

8. 벼모기붙이(Chironomus oryzae Matsumura) 378

9. 붉은실지렁이(Ceratocephal oswai Iuzuka) 379

보리의 해충 381

10. 등빨간잎벌(Dolerus ephippiatas Smith) 381

조의 해충 382

11. 멸강나방 (Pseudaletia separata Walker) 382

12. 조명나방 (Ostrinia furnacalis Guenee) 383

13. 붉은가슴거짓방아벌레(疑細型葉충) (Anadastus fucosus Lewis) 384

14. 조회색명나방 (Diatraea sp.) 385

두류의 해충 386

15. 콩나방 (Leguminivora glycinivorella Maisura) 386

저장 곡물의 해충 387

16. 쌀바구미(穀象) (Sitophilus oryzae LinnIl) 387

17. 보리나방(麥蛾) (Sitotroga cerealella Olivier) 388

과수 해충 388

18. 사과면충(綿충) (Eriosoma lanigerum Hausman) 388

19. 사과등에잎벌(葉蜂) (Hylotoma malia Matsumura) 392

20. 배혹나방(영蛾) (Metzneria sp.)→ Blastodacna pyrigalla Yang 393

21. 배나무벌 (Janus piri Okamoto et Matsumura) 394

22. 애배잎벌 (Hoplocampa coreana Takcuchi) 394

23. 복숭아순나방 (Grapholita molesta Busck) 395

24. 복숭아심식나방(梨姬心식蛾) (Carposina sasakii Matsumura) 396

25. 배명나방 (Ectomyelois pirivorella Matsumura) 397

26. 사과흰애기잎말이나방 (Spilonota ocellana S.) 398

27. 사과무늬잎말이나방 (Archips breviplicanus K.) 399

28. 사과잎말이나방 (Hoshinoa longicellana W.) 400

29. 참나무거위벌레 (Rhynchites coreanus Kono) 401

30. 애거위벌레 (Rhynchites bucchus L.) 401

과수나무좀의 방제법 402

(1) 봉지 씌우기(袋掛法) 402

(2) 약제살포 402

31. 사과호리비단벌레(평果姬吉丁충) (Agrilus mali Matsumura) 404

32. 참검정풍뎅이 (Holotrichia diomphalia Bates) 405

채소의 해충 406

33. 배추흰나비 (Artogeia rapae (L.)) 406

34. 무잎벌 (Athalia cloibri Chrisk) 407

35. 좁은가슴잎벌레(무잎벌레) (Phaedon brassicae Baly) 407

36. 큰이십팔점박이무당벌레 (Hensoepilachna vigintioctomaculata M.) 408

사탕무의 해충 409

37. 흰띠명나방 (Hymenia recurvalis Fabricus) 409

38. 파밤나방 ((사탕무도둑나방) Spodoptera exigua H.) 411

39. 도둑나방(Mamestra brassicae L.) 412

40. 애우단풍뎅이 (Maladera orientalis Mois.) 414

41. 뽕나무바구미 (Scepticus insularis Roelof) 415

목화의 해충 417

42. 조선의 목화 주요 해충 417

43. 목화다래나방 (Pectinophora gossypiella Saunder) 417

44. 목화진딧물 (Aphis gossypii Glov.) 420

45. 목화의 점박이응애 (Tetanychus urticae koch) 421

46. 목화밤나방 (Earias cupreoviridis Wk) 422

47. 목화명나방 (Notarcha derogata F.) 423

병해 425

병해 범론 426

1. 병해 426

1) 병해와 조선 426

2) 병해와 기후 427

3) 병해의 종류 427

4) 병해의 분포 438

2. 병균 441

1) 병균의 종류 441

2) 병균의 유래 441

3. 병해의 방제 442

1) 병원균의 방제 442

2) 병원균의 배제 443

3) 상관관계의 파괴 443

4) 내병성 품종의 선발육성 443

병해 각론 444

1. 벼의 병해 444

도열병 444

2. 보리의 병해 448

맥류의 녹병 448

3. 조의 병해 449

조의 군데병(白발病) 449

4. 콩의 병해 461

1) 자주무늬병(紫斑病) 461

2) 미이라병(木乃伊病)(Diaporthe sojae Lehman) 463

5. 인삼의 병해 464

1) 붉은빛썩음병(赤腐病)(Bacillus araliavorus Uyeda) 464

2) 잎마름병(葉燒炳: 현재병명은 탄저병임)(Colletotrichum panacicola Uyeda & Takimoto) 466

3) 엿빛무름병(飴色軟化病)(Bacterium panacis Nakata & Takimoto) 467

4) 균핵병(Sclerotinia panacicola Nakata & Takimoto) 468

6. 목화의 병해 469

1) 탄저병(Glomerella gossypii(Southw.) Edg. 469

2) 모무늬병(角點病)(Xanthomonas malvacearum Dowson) 471

7. 사탕무의 병해 474

1) 갈색무늬병(褐斑病)(Cercospora beticola Sacc.) 474

2) 뱀눈무늬병(Phoma betae(Oud.)Frank) 488

3) 세균성점무늬병(細菌性斑點病)(Bacterium aptatum Brown & Jamieson) 490

4) 줄기썩음병(莖腐病)(Corticum vagum Berk. & Curtis) 492

5) 균핵병(Sclerotinia sclerotiorum) 493

6) 뿌리혹병(根頭癌腫病)(Agrobacterium tumefaciens Conn.) 494

8. 사과의 병해 496

1) 부란병(腐爛病)(Valsa mali Miyabe & Yamada) 496

2) 갈색무늬병(褐斑病)(Marssonia mali Ito) 497

3) 축과병(縮果病): 생리적 병 499

4) 붉은별무늬병(赤星病)(Gymnosporangium yamadae Miyabe) 502

5) 탄저병(炭疽病) 502

9. 배의 병해 504

1) 붉은별무늬병(赤星病)(Gymnosporangium asiaticum Miyabe & Yamada) 504

2) 검은별무늬병(黑星病)(Venturia nashiola Tanaka) 505

3) 검은무늬병(黑斑病)(Alternaria kikuchiana Tanaka) 506

4) 양배의 줄기마름병(胴枯病)(Phomopsis sp.) 507

10. 뽕나무의 병해 509

1) 흑고성세균병(黑枯性細菌病)(Bacterium mori Boyer & Lambert) 509

11. 밤나무의 병해 510

줄기마름병(胴枯病)(Cryponectria parasitica(Murill) Barr.) 510

화학 513

1. 조선에 있어서 산성토양의 연구 514

2. 조선에 있어서 간척지 토양의 화학적 연구 516

3. 녹비 분해에 관한 화학적 연구 520

4. 조선산 야생 두과식물에 관한 화학적 연구 523

5. 조선에 있어서 전작 녹비연구 528

6. 벼와 보리(춘파 및 추파)에 대한 각종 질소 및 인산비료의 비효율 530

7. 농작물 종자의 저장에 의한 발아력 감퇴와 산화효소와의 관계 534

8. 토양 분석법 536

1) 본장 논 토양 분석 536

2) 서선지방 밭 토양 분석(I구) 540

3) 목포 면작지장 토양 분석 544

4) 용강 출장소 밭(田) 토양 분석 548

5) 전 난곡 목마지장 토양 분석 553

6) 전 세포 목양지장 토양 분석 555

7) 전 뚝섬 원예지장 밭 토양 분석 559

8) 전 덕원지장 토양 분석(채소밭 토양) 561

9. 비료 분석 성적 564

1) 동물질 비료 564

2) 식물질 비료 567

3) 광물질 비료 569

가. 질소비료 569

나. 인산비료 570

다. 카리비료 572

라. 석회비료 573

4) 조합비료 573

5) 화성비료 580

6) 잡비료 583

축산 585

서언 586

연혁개요[원문불량;p.523] 587

축우(畜牛) 588

1. 조선 소 588

1) 체격 588

2) 특성 589

3) 개량방침 589

4) 종우(種牛)의 선택 590

5) 번식 590

6) 사양(飼養) 591

7) 관리 592

8) 이용 593

9) 거세 594

2. 서양 종우(種牛) 594

1) 젖소 사양관리 일반 595

2) 에어샤종 597

3) 홀스타인후리지안종 597

4) 홀스타인후리지안과 재래종간의 잡종우 597

양돈(養豚) 598

1. 재래종의 특성 598

2. 개량 방침[원문불량;p.535] 599

3. 종류 시험 599

4. 종돈의 선택 601

5. 번식 601

6. 사양(飼養) 601

7. 관리 603

8. 돈구비(豚廐肥)의 이용 603

양계(養鷄) 606

1. 재래종의 특성[원문불량;p.543] 606

2. 장려종의 선정 608

3. 각 품종의 사육성적 608

4. 종계(種鷄)의 선택[원문불량;p.545] 609

5. 사양관리[원문불량;p.547] 610

6. 종축, 종계 및 종란의 배부 614

〈각종시험 조사 성적 개요〉 616

축우에 관한 사항 616

1. 도분(搗粉)을 혼재한 쌀겨의 축우 사료 가치 시험(1918년) 616

2. 조선소 거세시험(1921~1926)[원문불량;p.553] 616

3. 소의 낙제(酪製) 공정 중의 각 생산물 비율 조사(1925년) 618

4. 소의 구비(廐肥) 생산량 조사(1926년) 618

5. 조선 재래종의 비유능력 조사(1920~1926년) 619

6. 홀스타인 후리지안종 비유능력 조사(1924~1930년) 619

7. 동계간에 소요되는 조선소의 건강사료량에 관한 시험(1929년) 620

8. 축우의 건조잠사(乾燥蠶沙) 사양시험(1918년) 621

양돈에 관한 사항 621

1. 만주(滿洲) 돼지에 관한 조사(1918년) 621

2. 돼지에 대한 향신류의 중독 작용에 대하여(1919년) 622

3. 버크샤종 돼지의 유두수(乳頭數)와 백반 조사(1925년) 623

4. 어린 돼지에 대한 보리, 보리겨 및 미강(米糠)의 가치에 관한 조사(1926년) 624

5. 양돈 사료 조리시험(1926년) 625

6. 늙은 돼지 비육 시험(1926년) 625

7. 돼지 구비 생산량 조사(1927년) 626

8. 쌀겨 및 콩 지게미의 어린 돼지 사료가치 시험(1928년)[원문불량;p.563] 626

9. 포유중인 모자 돼지 방목 사양시험(1928년) 628

10. 쌀겨의 양돈사료 가치에 관한 시험(1929~1930년)[원문불량;p.567] 630

11. 쌀겨 중에 함유된 도분량(搗粉量)의 영향에 관한 시험(1930년)[원문불량;p.569] 633

12. 번식과 새끼 발육에 관한 조사(1925~1929년) 634

양계에 관한 사항 636

1. 달걀 저장 시험(1925년) 636

2. 백색 레그혼과 조선재래 1회 잡종에 관한 조사(1927~1930년)[원문불량;p.573] 637

3. 백색 레그혼 조선재래 2회 잡종에 관한 조사(1929~1930년) 638

4. 종란의 상태 및 저장 일수의 부화 성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시험(1927년) 638

5. 분말사료 및 익힌 사료(練飼)의 병아리 발육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시험(1927년) 639

6. 무정란 및 유정란의 저장력 시험(1928년) 640

7. 낳은 닭 점등사양시험(1928년) 641

8. 식염 급여가 건강 및 산란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시험(1928~1929년) 642

9. 자외광선이 부화 성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시험(1928~1929년) 645

10. 산란계(産卵鷄)의 점등 사양 시험(1929년) 646

마필(馬匹) 개량에 관한 시험[원문불량;p.585,591] 648

면양(綿羊)개량에 관한 시험[원문불량;p.593] 657

판권기 676

vol.2 : 하

표제지

고농서국역 발간 추진위원

목차

제1편 사업개요(事業槪要) 속(續) 701

잠업 703

〈뽕나무〉 704

품종 704

1. 장려품종의 결정 경위 704

2. 장려품종의 성상 705

3. 장려품종의 보급상황 711

4. 뽕의 품종에 관한 조사 712

5. 뽕나무의 내한성에 관한 조사 713

6. 뽕나무 묘목의 배부 715

재상(栽桑) 717

1. 종래의 재상법 717

2. 현재의 재상법 718

가. 실생묘 718

나. 접목 720

다. 재식 721

라. 비배관리 722

마. 수확법 724

바. 기르기 방법[仕立法] 725

사. 간작 726

아. 병해충 729

〈누에〉 730

품종 730

1. 누에 장려품종의 결정 경위 730

2. 누에 장려품종의 계통과 성상 734

3. 누에씨의 배부상황 753

4. 누에 장려품종의 변천과 보급 상황 756

사육법의 변천 762

1. 농사시험장(권업모범장) 창설 이전까지의 양잠 개요 762

2. 농사시험장(권업모범장) 창설 당시의 재래사육법 763

가. 알깨기법[催靑法] 763

나. 누에떨기[掃立] 및 사육 763

다. 누에올리기[上족] 764

라. 고치따기[收繭] 764

마. 번데기죽이기[殺용] 764

바. 누에씨의 제조와 보호법 765

사. 실켜기법[繰絲法] 765

3. 농사시험장(권업모범장) 설치 당시 장려한 개량 사육법 769

가. 잠실 769

나. 잠구 769

다. 알깨기 769

라. 누에떨기와 사육 770

마. 누에올리기 770

바. 고치따기 770

사. 번데기죽이기와 고치말리기(殺용乾繭) 771

아. 누에씨의 제조 771

자. 누에씨의 검사 771

차. 제사법 771

4. 농사시험장(권업모범장)에서 행한 장려사항과 사육법의 변천 772

시험 및 조사가 실업계에 미친 영향 775

1. 봄누에 잠깨기 경과조사 776

2. 월년종가을누에종의 성질에 대하여 776

3. 유잠성(油蠶性)의 반성유전(伴性遣傳)에 대하여 776

4. 봄누에 종자 저장에 관한 조사 776

5. 집누에에서의 난소이식(卵巢移植)과 혈액이주(移住) 실험 특히 화성(化性)의 변화에 대하여 776

6. 집누에의 치사인자에 대하여 777

7. 조선누에구더기파리의 연구에 따른 구제예방법 777

8. 작잠(작蠶)에 관한 시험 777

전작 779

〈조〉 780

품종 780

1. 우량품종 780

2. 내병성 품종 784

재배 785

1. 조 재배와 기상 785

2. 경운 787

3. 파종기 789

4. 두둑폭 및 주당 본수 793

5. 두둑 만들기 798

6. 중경(中耕) 및 배토(培土) 798

7. 채종 799

8. 연작 800

9. 구한경작(救旱耕作) 800

10. 관개재배 801

11. 군데병[白髮病] 방제 802

12. 다수확재배 807

13. 시험구의 예취(刈取) 면적 크기와 수량 조사의 오차 808

비료 811

1. 3요소의 비효 및 용량 811

2. 비료용량 813

3. 황산암모니아 및 석회질소의 용량 815

4. 퇴비의 비효 816

5. 녹비의 비효 817

6. 녹비의 사용법 819

7. 추비 820

〈밀〉 820

품종 820

1. 개설 820

2. 봉산군(鳳山郡) 재래종 순계분리 821

3. 교배신품종 육성 821

4. 품종비교 시험 822

재배 822

1. 밀의 재배와 기상 822

2. 연작과 윤작 825

3. 전(前)작물의 종류 826

4. 경운의 심도 826

5. 파종기 827

6. 정지(整地) 827

가. 두둑만들기 방법 827

나. 두둑폭 827

다. 광파(廣播) 828

7. 관리 828

8. 간작(間作)과 관수 829

비료 833

1. 3요소의 비효 834

2. 각종 질소질 및 인산질비료의 비효 835

3. 비료용량 836

4. 퇴비의 효과 837

5. 녹비 838

6. 시비와 밀의 품질 839

〈보리〉(겉보리와 쌀보리) 841

품종 841

1. 춘파겉보리의 품종 선택 841

재배 842

1. 기상 842

2. 표토긁기(表土攪擾) 및 관수 842

3. 간작 843

〈밭벼〉 844

품종 844

1. 우량품종의 선정 844

재배 846

1. 밭벼 재배와 기상 846

2. 밭벼 재배와 토질 849

3. 밭벼와 다른 작물과의 관계 850

4. 파종기 852

5. 파종량 및 파종폭 852

6. 이식 853

7. 두둑폭 및 두둑 만들기 854

8. 중경(中耕: 사이갈이) 855

9. 채종 856

10. 집약재배 856

11. 연작 857

12. 한해 방지 857

가. 구한(救旱)경작법 857

나. 표토피복 858

다. 엽부 절단(잎 자르기) 858

라. 관개 재배 859

마. 식염(食鹽) 및 장유박(醬油粕) 시용 864

13. 경종조직 865

비료 867

1. 3요소의 적량 867

2. 시비량 868

3. 각종 비료의 비효 868

4. 퇴비의 비효 869

5. 녹비 870

6. 추비 872

7. 비료의 반응과 비효 872

〈콩〉 873

품종 873

1. 우량품종의 선정 873

재배 873

1. 기상 873

2. 파종기 874

3. 연작과 윤작 875

4. 두둑만들기 875

5. 두둑폭 875

6. 관수 876

비료 876

1. 석회의 효과 876

2. 인산의 효과 876

〈알팔파〉 877

개설 877

재배 877

1. 파종기 877

2. 두둑폭 및 파종량 878

3. 예취시기 880

4. 예취 횟수 881

5. 관수 882

비료 882

1. 질소질 비료의 효과 882

2. 인산, 칼리 및 석회의 효과 883

3. 종토(種土: 근류균을 접종한 흙)의 효과 883

채종 883

1. 예취와 채종량 883

사탕무 884

조선에 있어서 사탕무 시험사업의 연혁 885

사탕무의 생육 경과 886

재배 887

1. 심경 887

2. 두둑폭 및 포기 사이 887

3. 파종기 889

4. 파종법 890

5. 솎아내기 890

6. 제초 및 중경 891

비료 891

1. 3요소의 비효 891

2. 각종 비료의 비효 892

3. 비료 용량 896

4. 추비 898

5. 비료의 이용률 899

품종 900

1. 우량종의 선정 및 육성 900

2. 채종 902

가. 스테크링마서 재배의 파종기 902

나. 두둑폭 902

다. 모근의 크기 903

라. 모근의 저장 903

마. 재식시기 904

바. 모근 재식밀도 905

사. 관수와 채종 905

북선(北鮮)에서의 사탕무 재배시험 성적 906

목화 909

〈육지면〉 910

품종 910

1. 킹스 임플루브드종을 장려하게 된 경과 910

2. 조숙계 113-4호를 선발하게 된 경과 및 그 성상 911

3. 풍산계(豊産系) 380호를 선발하게 된 경과 및 그 성상 913

4. 조숙계 및 풍산계의 원종 대부 현황 914

5. 해도면(海島棉) 및 애급면(埃及棉) 등의 시험재배성적 개요 915

육지면의 성상 915

1. 종자 915

가. 종자의 상태 915

나. 종자의 발육순서 917

다. 다래속의 위치별 종자중량 및 섬유량 918

라. 종자의 발아성 919

마. 종자의 나이와 발아 919

바. 종자의 발아에 요하는 발아상 중의 수분 920

2. 목화줄기의 생육 920

3. 뿌리의 생육 921

4. 개화 순서 922

5. 수정에 요하는 시간 923

6. 다래의 발육 924

7. 개화에서 개서(開絮)에 이르는 일수 925

8. 섬유 926

가. 섬유의 발육순서 926

나. 섬유의 연곡수(撚曲數) 927

다. 네프(보풀) 928

라. 조면비율의 변이 929

9. 꽃봉오리 및 다래의 추락에 대하여 930

가. 꽃봉오리의 추락 930

나. 다래의 추락 931

목화 종류 및 품종에 따른 다래의 추락 931

강우와 다래 떨어짐과의 관계 932

토양습도와 다래 떨어짐과의 관계 932

기계적 상해와 다래 떨어짐과의 관계 933

양분과 다래 떨어짐과의 관계 933

10. 육지면의 자연잡종 933

11. 형질유전 935

재배 935

1. 정지 936

2. 파종기 937

3. 종자의 예비 조치 937

4. 파종법 938

5. 이식 938

6. 중경 및 표토긁기 939

7. 적심 939

8. 단근(斷根) 940

9. 연작 940

10. 개간지에서의 목화 재배 941

11. 간사지(干瀉地)에서의 목화 재배 941

12. 천수답의 목화 재배 941

13. 맥류 간작의 목화 두둑폭 942

14. 목화의 전작(前作)으로서 맥류의 종류 및 품종 943

15. 기상이 수량에 미치는 영향 943

비료 947

1. 3요소의 비효 947

2. 석회의 비효 948

3. 질소 시용량 948

4. 질소질 비료의 종류 949

5. 인산 시용량 949

6. 칼리 시용량 950

7. 비료의 시용시기 951

8. 분뇨의 시용시기 951

9. 지리초석(智利硝石)의 시용시기 951

10. 황산암모니아의 시용시기 952

〈재래면〉 953

품종 953

1. 조선재래면의 품종 953

2. 조선재래면 풍산계통의 선발 953

3. 조선재래면 조숙계통의 선발 954

4. 조선재래면과 일본면과의 잡종 955

5. 육지면 계통 비교 955

재배 956

1. 파종기 956

2. 파종기 지연 시험 957

3. 포기 사이 거리 957

4. 두둑폭 958

5. 적심 958

6. 돌려짓기 959

7. 목화, 맥류 이모작과 두둑폭과의 관계 962

8. 다수재배 962

9. 목화, 아주까리, 참깨, 고추의 간혼작(間混作) 963

비료 965

1. 3요소의 비효 965

2. 3요소의 배합률 965

3. 질소질비료 등량(等量) 비교 965

4. 황산암모니아의 시용 방법 966

5. 인분뇨의 비효와 그 시용법 및 추비시기 967

6. 퇴비의 용량 967

7. 과린산석회의 용량 968

기타 시험조사 968

1. 목화의 윤상박피(輪狀剝皮)에 의한 도장 억제 968

2. 강우량과 목화 수량과의 관계 969

3. 종자 저장과 발아력 969

4. 목화의 저장에 의한 변화 970

경종개요 971

제2편 보문적요(報文摘要) 973

종예(種藝) 975

1. 피뽑기에 관한 조사 975

2. 수도 침수피해 조사 975

3. 조선도(稻) 품종 일람 975

4. 도작요의(稻作要義) 976

5. 수도의 발근에 관한 조사 976

6. 앵미에 관한 조사 976

7. 조신력(早神力)벼 재배 성적 976

8. 차차벼에 관한 조사 977

9. 조선미의 정선, 특히 토사제거에 관한 고안 977

10. 벼농사의 풍흉과 천후와의 관계 978

11. 조선에 있어서 벼 우량품종 분포 보급상황 978

12. 수도조신력(早神力), 곡량도(穀良都), 다마금(多摩錦)의 일본 내에 있어서 주요 재배지 978

13. Studies on the Inheritance of the Spring and Winter Growing Habit in Crosses between Spring and Winter Barleys. By NOBORU TAKAHASHI Bulletin of The Agricultural Experiment Station, Government-General 979

14. 쌀 및 벼의 건조에 대하여 979

15. 조선재래 수도품종 조동지(趙同知)의 기원 979

16. 수도 이(異)품종간의 자연교잡 정도 980

17. 수도 이앙기의 지연에 대하여 980

18. 동할(胴割)종자의 발아 및 생육에 대하여 980

19. 벼에 있어서 부선(부先: 왕겨선단) 및 망색(芒色) 유전의 일례 981

20. 수도 조신력종의 망에 대하여 981

21. 수도에 대한 종자 침지제의 효과에 대하여 981

22. 수도의 부선 및 마디색(節色)에 관한 유전(제1보) 982

23. 평안남도의 건답 983

24. 시비량의 다소가 쌀 품질에 미치는 영향 983

25. 수도 직파의 적기 및 가능한 종말기(終末期)에 대하여 983

26. 이앙기를 달리한 경우의 품종비교시험 성적 984

27. 조선의 수도 주요 품종과 분포상황 984

28. 미곡검사 표준미에 관한 조사 985

29. 조냉(早冷)이 수도종자의 충실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986

30. 조명(照明)의 장단이 수도 출수기 및 생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986

31. 수도 육도 및 건도(乾稻)의 발아에 대하여 987

32. 벼 품종의 이삭도열병 저항성과 이삭의 형태와의 관계 988

33. 침수가 도작에 미치는 피해에 대하여 989

34. 조선재래콩, 보리밀, 조 품종 조사 990

35. 조선의 맥류 품종 개량에 대하여 991

36. 조선콩의 수급 992

37. 고구마 재배 992

38. 고구마의 동계저장법에 대하여 992

39. 농작물과 한상(寒傷) 예방 993

40. 추파보리의 풍흉과 기후와의 관계 993

41. 조선의 기후와 밭작물의 관계 및 대처방안 994

42. 조선의 주요 작물 분포 상황 995

43. 조선의 기후와 콩 재배 995

44. 콩꼬투리색 유전의 일례 996

45. 호밀과 밀과의 종간잡종 996

46. 콩의 자연교배율에 대하여 996

47. 감자의 퇴화에 관한 조사 997

48. 보리밀 종실발육도(發育度)가 발아력 및 차대식물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997

49. 콩의 개화순서 및 결협 비율에 대하여 997

50. 콩의 성숙기에 대하여 998

51. 덴마크 국립종자검사소의 사업개요 998

52. 헤아리벳치 파종기 시험 999

53. 농업용 각종 침지제에 관한 실험 성적 999

54. 콩 검사등급과 콩알의 성질의 관계에 대하여 1000

55. 조선에 있어서 농산물 종자 수명에 대하여 1000

56. 1대잡종의 강세에 관한 한 가지 고찰자료 1001

57. 포장수량시험법에 대하여 1001

58. 감자의 품종간에 있어서 수량과 제형질과의 관계 1001

59. 콩 품종간에 있어서 실용형질의 상관현상 1002

60. 콩의 생육에 미치는 조명의 영향 1002

원예 1004

61. 사과자연형 재배 1004

62. 과수와 채소의 공작(共作) 1004

63. 과수 신품종 육성 시험 1004

64. 사과재배상 주의해야 할 문제점들 1004

65. 사과의 시비에 대하여 1005

66. 복숭아의 정지법에 대하여 1005

67. 사과 저장에 포장지를 사용한 시험 성적 1005

68. 과수(특히 복숭아나무)의 한해와 그의 선후책(善後策) 1006

69. 성호원(聖護院)무 파종기 시험 1006

70. 당근 파종기 시험 1007

71. 토란 종자의 대소와 수량과의 비교 1007

72. 참마 종자의 대소와 수량과의 비교 1007

73. 개성배추 파종기 시험 1007

토지개량 1009

74. 간척지 제염시험 보고 1009

75. 삼투성 방지에 관한 조사 1012

76. 관개수의 온도와 수도생육과의 관계 1012

농구 1014

77. 인력용 회전탈곡기에 관한 조사 1014

78. 논쟁기 비교시험 성적 1015

79. 논쟁기 비교시험 성적 1016

80. 미개간지 개간에 관한 조사 1017

충해 1021

81. 해충 1021

82. 해충에 관한 조사 1021

83. 해충에 관한 조사 1023

84. 해충에 관한 조사 1024

85. 해충에 관한 조사 1025

86. 해충에 관한 조사 1026

87. 해충 도해(圖解) 1026

88. 해충사육 성적 1027

89. 해충 1027

90. 해충 1028

91. 해충에 관한 조사 1028

92. 식용, 약용곤충에 관한 조사 1029

93. 강도래목에 관한 연구 1030

94. 사과긴비단벌레에 관한 연구 1030

95. 제주도의 곤충상(昆蟲相) 1031

96. 조선에 있어서 벼를 해하는 멸구매미충류에 관한 연구 1031

97. 배나무벌에 관한 연구 1032

98. 밑들이목에 관한 연구 1032

99. 해충사육에 관한 연구 및 조사 1033

100. 대추좀나방 1034

101. 사탕무 해충 흰띠명나방에 관한 연구 1034

102. 복숭아애바구미에 대하여 1035

103. 사탕무도둑나방에 대하여 1035

104. 뽕나무 신(新)해충 노랑누에나방에 대하여 1036

105. 과실심식충류에 관한 조사연구(1) 1036

106. 조선에서 농업경제상 중요한 해충 조사(1) 1036

107. 조선에 있어서 사탕무 해충 목록 1037

108. 조선에 있어서 사과면충 1037

109. 함북 경성(鏡城) 부근의 나비류 목록 1038

110. 사과면충의 형태 및 생태적 연구 1038

111. 조명나방의 천적에 관한 연구(1) 1038

112. 조명나방의 천적에 관한 연구(2) 1039

113. 조선에서 농업경제상 중요한 해충 조사(2) 1039

114. 조의 복숭아명나방에 대하여 1039

115. 추광성 곤충에 관한 조사 1040

116. 농용살충제에 대하여 1040

117. 수원산 혹명나방의 형태 및 생태 일부 연구 1040

118. 고원지대의 3대 해충 1041

목화의 해충 1042

119. 1913년 사과응애 피해조사 1042

120. 목화다래나방에 대하여 1042

121. 목화다래나방 훈증시험 1042

122. 조선에 있어서 목화 해충과 그 피해 1043

123. 목화의 해충 목화다래나방 및 사과응애 1043

124. 목화다래나방에 대하여 1043

125. 참새와 목화다래나방 1044

126. 목화다래나방과 그 기생봉 1044

127. 병해충에 관한 사항 1044

128. 목화의 해충 목화다래나방과 자색(紫色)유아등 유살시험에 대하여 1045

129. 목화다래나방의 기생봉에 관한 조사(예보) 1045

병해 1046

130. 조선에 있어서 사탕무의 병해 1046

131. 육지면의 탄저병에 대하여 1046

132. 과수재배상 가장 염려되는 부란병 1047

133. 인삼재배상 장래 주의해야 할 1병해(균핵병) 1048

134. 목화의 탄저병에 관한 연구 1049

135. 사과의 축과병에 관한 연구(예보) 1049

136. 인삼의 병해에 관한 연구 1051

137. 사탕무의 병해에 관한 연구 1055

138. 목화의 모무늬병[角點病]에 관한 연구 1060

139. 고추(Capsicum annuum L.)의 세균성연화병에 관한 연구 1061

140. 조선작물 병해목록 1061

141. 사탕무의 세균성점무늬병에 관한 연구 1062

142. 송충이와 Botrytis병 1063

143. 저장사과의 병해 1063

144. 콩의 자주무늬병에 대하여 1063

145. 콩의 미라병(예보) 1064

146. 사탕무갈색무늬병 방제시험 성적(추보) 1064

147. 1926년도에 있어서 사과의 병해 1065

148. 1926년도에 있어서 작물의 병해 1065

149. 사탕무의 갈색무늬병과 종자[種粒] 소독에 대하여(제1보) 1066

150. 보르도액 1066

151. 보르도액의 오염탈색법 1067

152. 소나무푸른무늬병 발생 1067

153. 맥류의 위축병에 대하여 1067

154. 벼흰잎마름병에 따른 발생 1068

155. 1929년도 조선의 식물 신(新)병해에 대하여 1068

화학 1070

156. 산성토양에 관한 연구 1070

157. 간사지 토양의 조사 1073

158. 재배 및 야생녹비질소 분해와 화학적 성분의 관계 1076

159. 남선지방에 있어서 녹비작물 1087

160. 조선에 있어서 전작녹비작물의 성분 및 가치 1089

161. 벼에 대한 각종 질소비료의 비효율(肥效率) 1091

162. 벼에 대한 각종 인산비료의 비효율(肥效率) 1093

163. 보리(추파 및 춘파)에 관한 각종 질소비료의 비효율(肥效率) 1094

164. 보리(추파 및 춘파)에 관한 각종 인산비료의 비효율(肥效率) 1098

축산 1101

165. 남선지방 소의 사초(飼草) 소비량 조사 1101

166. 남선지방 소의 형태에 관한 조사 1101

167. 남선지방 소의 안상수(鞍傷數)에 관한 조사 1103

168. 소안장 개량에 관한 연구 1104

169. 아까시나무잎의 축우 사료 가치 시험 1105

170. 조선우 단기간 비육시험 1105

171. 돼지이 살충제의 효력 비교시험 1106

172. 목화씨기름깻묵의 양돈사료 가치에 관한 연구 1107

173. 잡생초(雜生草: 잡초생풀)의 양돈사료 가치에 관한 시험 1110

174. 조선소주박(燒酒粕)의 돈 사양시험 1113

175. 재래닭 비육시험 1113

176. 닭의 산란능력과 사료소비량에 관한 시험 1114

177. 재래닭 산란능력 조사 1115

잠업 1117

178. 재배뽕과 재래뽕과의 비교시험(1) 1117

179. 재배뽕과 재래뽕과의 비교시험(2) 1118

180. 추잠사료 시험 1119

181. 수원부근 뽕나무 해충 조사 1120

182. 뽕나무극동줄과실파리 조사 1123

183. 뽕나무극동줄과실파리 예방법 조사 1125

184. 뽕나무 내한성 조사 1125

185. 뽕나무 한해 예방 시험 1126

186. 접목묘 육성법에 관한 시험 1127

187. 뽕나무 가지줄기 벌채 조사 1128

188. 노상(魯桑) 실생묘 육성법에 관한 시험 1128

189. 얼음창고[氷庫] 저장 노상종자 파종시기 비교 시험 1130

190. 뽕나무묘 추식(秋植: 가을심기)에 관한 시험 1130

191. 뽕나무묘 뿌리손질에 관한 시험 1132

192. 산성토양에 있어서 노상실생묘 육성 조사 1133

193. 뽕의 품종에 관한 조사 1133

194. 뽕의 품종에 관한 조사 1134

195. 뽕나무 수엽법(收葉法) 시험 1134

196. 헤아리벳치 간작조사(제1보) 1136

생리에 관한 시험 및 조사 1137

197. 가잠 사육 성적 1137

198. 누에씨 저장 시험 1139

199. 조선재래누에씨 사육 성적440 1140

200. 가을누에 생종(生種:불월동알) 냉장시험 성적(1) 1141

201. 가을누에 생종(生種:불월동알) 냉장시험 성적(2) 1142

202. 종류시험(1) 1143

203. 종류시험(2) 1144

204. 조선에 있어서 누에알씨눈의 발육 조사 1146

205. 인공부화누에알 이탈방지에 관한 조사 1147

206. 월년종가을누에종 알깨기 중 재냉장에 관한 조사 1148

207. 봄누에 잠깨기 경과 조사 1149

208. 월년종가을누에종의 성질에 대하여 1151

209. 봄누에 우량1대교잡종 및 그 원종의 시험 성적 1153

210. 유잠성(油蠶性)의 반성유전에 대하여 1155

211. 봄누에씨 저장에 관한 조사 1156

212. 누에가슴발의 재생에 관한 실험 1157

213. 누에경과의 조만과 자웅과의 관계 1158

214. Experiments of Ovarian Transplantation and Blood Transfusion in Silkworms,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Alternation of Voltinism (Bombyx mori L.) (가잠에 있어서 난소이식 및 수혈 실험, 특히 화성의 변화에 대하여) 1159

215. Studies on the Silkglands of Silkworm(Bombyx mori L.)(가잠의 실샘에 관한 연구) 1162

216. 가잠의 암나방에 있어서 생식부속기의 생성에 대하여 1165

217. 다른 품종간 난소이식 및 같은 품종의 환경을 달리한 2형질간의 교배에 의한 가잠의 강세에 대하여 1167

218. 가잠에 있어서 다섯잠누에씨 선발의 과정에 대하여 1170

219. 가잠에 있어서 치사인자에 대하여 1173

병리에 관한 시험 및 조사 1176

220. 누에구더기 조사 1176

221. 조선누에구더기파리의 연구에 따른 구제예방법 1177

222. 가잠에 기생하는 1신원생동물에 대한 연구 제1보 1179

223. 증기소독법 경제성 조사 1180

사육법에 관한 시험 및 조사 1182

224. 잠실조사 1182

225. 온돌잠실의 불때기[焚火]와 온도와의 관계 조사 1184

226. 온돌잠실에 있어서 잠가사(蠶架飼: 누에시렁 기르기)와 상상사(床上飼: 마루 위 기르기)와의 비교시험 1185

227. 뽕주기 횟수 시험 1186

228. 순뽕치기법 조사 1188

229. 순뽕치기 뽕주기 비교 시험 1189

230. 사육법시험 1190

231. 사육법의 차이에 기초한 채상법과 수량과의 관계 1192

232. 춘잠 순뽕치기와 뽕의 품종과의 관계 조사 1193

제사(製絲)에 관한 시험 및 조사 1194

233. 마른고치 정도와 고치저장기의 관계 조사 1194

234. 마른고치 정도 조사 1194

235. 살용건제(殺용乾劑) 홀타일 사용성적 1195

작잠에 관한 시험 및 조사 1197

236. 작잠 사양 시험 1197

237. 작잠 사양 성적 1 1197

238. 작잠 사양 성적 2 1201

239. 작잠의 조사 1202

240. 작잠의 사엽양부(飼葉良否) 비교 시험 1207

241. 작잠에 관한 조사 1208

242. 작잠 번데기에 대한 가온과 발아(發蛾), 산란시일, 발아일과의 관계에 따른 누에알수 및 누에알 상태 조사 1210

사탕무 1211

243. 서북선에서의 사탕무 1211

244. 사탕무의 포장시험에 대하여 1211

245. 서선지방의 기상으로 본 사탕무 재배법 1212

목화 1213

246. 목화섬유의 길이 측정법 1213

247. 목화섬유 장력의 측정법 1213

248. 목화섬유 꼬임수[撚曲數]에 대하여 1213

249. 실면(實棉)의 수분에 대하여 1213

250. 조선재래면의 꽃가지[花枝] 및 잎에 관한 조사 1214

251. 조선산 목화[地木棉]의 제조법 1214

252. 면섬유의 꼬임수와 건조의 관계에 대하여 1215

253. 일본 시장에 있어서 조선육지면의 장점과 단점 1215

254. 목화의 개화부터 개서까지의 일수 1215

255. 목화의 폭풍우 피해에 대하여 1216

256. 육지면 종자의 형상에 대하여 1216

257. 육지면 각 품종의 특성 조사 1216

258. 목화의 품위감정표준에 대하여 1216

259. 조면(繰綿) 비율의 변이에 대하여 1216

260. 나종자(裸種子)의 유전성에 대하여 1217

261. Nep에 대하여 1217

262. 육지면 '킹스 임플루브드' 종의 다래 발육에 대하여 1217

263. 2황화탄소 훈증이 목화의 종자생육에 미치는 영향 1217

264. 목화의 밀선(蜜腺: 꿀샘)에 대하여 1218

265. 목화의 어린 다래 추락 현상에 관한 연구 1218

266. 육지면의 꽃에서 화분이 주두(柱頭: 암술머리)에 부착하여 화분관이 씨방 내로 들어가기까지의 시간에 대하여 1218

267. 한발시의 관수가 꽃봉오리 및 어린 다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1219

268. 강우가 목화의 다래 떨어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1219

269. 목화의 인공교배에 있어서 수정 비율 및 그 적시(適時)에 대하여 1219

270. 햇빛과 육지면의 생육성숙에 관한 실험 1220

271. 목화의 화분 발아에 대하여 1220

272. 토양중의 습기 다소와 목화뿌리의 발육상태의 관계에 대하여 1220

273. 목화의 제2회 생육에 대하여 1221

274. 목화의 꽃봉오리 다래의 추락현상에 대하여(제2보) 1221

[판권기 등] 1222

이용현황보기

조선총독부 농사시험장 25주년 기념지. 상, 하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1419974 630.951 -9-5 v.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1419975 630.951 -9-5 v.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1419976 630.951 -9-5 v.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1419977 630.951 -9-5 v.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