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1장 잃어버린 원을 찾아서

우리의 둥근 원

사람의 몸속에 살아 숨 쉬는 바다

하나를 알면 만을 안다

원은 어디에서 오는가?

단순한 공간은 시간의 원운동을 한다

다이아몬드와 흑연

시간과 공간은 둘인가, 하나인가?

신선놀음에 도낏자루 썩는다

어린 왕자의 눈에만 보이는 코끼리

잃어버린 원을 찾아서

얻기 위해 비우자

2장 우주를 낚는 그물

음양이란?

우주를 낚는 그물

음양(陰陽)의 탄생

음양(陰陽)을 깨닫기 위하여

3장 세상을 보는 음양의 눈

하나 짝이 있는 우주

생쥐와 녹색식물

고향으로 돌아가는 연어

꽃들의 유혹

뱀을 먹는 돼지

쥐와 고양이

도(道)란 무엇인가?

결혼을 하지 않으면?

반상의 질서

하늘과 땅이 이루는 짝

천지(天地)의 바둑

머릿속에 떠 있는 해와 달

몸속을 밝히는 별, 성신(星辰)

여자는 월경, 남자는 수염

삶과 죽음의 원운동

음양의 상대성

둘 홀로 있는 우주

몸과 맘

블랙홀은 우주의 자궁

따뜻한 남자, 차가운 여자

딱딱한 오징어, 부드러운 쇠

오징어에 체(滯)하면 오징어를 먹는다

여름엔 삼계탕, 겨울엔 냉면

자석과 지구, 그리고 우주

1+1=0 ?!

심자 중앙지태극야(心者 中央之太極也)

마음은 어디에 있을까?

만 가지 법(法)은 하나로 돌아간다

음양의 일원성

셋 밝혀지는 우주

결정되어야 할 음과 양

누가 주인인가

배우고 생각하지 않으면

주인과 손님은 바뀐다

소심(笑)과 흙탕물

식물과 동물

버섯과 선인장

살찌는 체질과 마른 체질

산삼은 명당에 나는 영약(靈藥)

체질의 한(寒)과 열(熱)

당신의 주인은?

녹용(鹿茸)의 효능

약(藥)을 보는 법

진맥(診脈)이란?

풍수지리(風水地理)와 명당(明堂)

명당(明堂)의 발복(發福)

음(陰) 속에 양(陽)이 있고, 양(陽) 속에 음(陰)이 있다

주인과 손님은 어디서 오는가?

음양의 역동성

4장 나는 누구인가

음양으로 풀어본 컴퓨터

인간과 지구의 중심(中心)

사람의 삼극(三極)

단전(丹田)이란

수승화강(水升火降)

임맥(任脈)과 독맥(督脈)

월인천강(月印千江)과 만법귀일(萬法歸一)

뇌 속에 살고 있는 해태

몸과 마음의 행로

신체발부는 수지부모라

램프의 요정

중용(中庸)

삼태극(三太極)

시각 바꾸기

음양을 마치면서

이용현황보기

음양이 뭐지?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1469735 181.211 -9-2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1469736 181.211 -9-2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음양오행은 어렵고 신비한 꿈나라의 이야기가 아닙니다.
해가 뜨고 달이 지고, 우리가 밥 먹고 음악 듣고 잠자는 등
일상의 모든 현상에 대한 동양적인 풀이입니다.
또한 나와 주위를 새로운 시각으로 볼 수 있는 쉽고 재미있는 과학입니다.

다양한 일상의 예를 통해 쉽고 재미있게 배우는 음양오행!
음양오행을 이해하면 결국 인간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하늘과 땅, 그 가운데에 인간은 서 있습니다.
음양오행을 통해 삼라만상의 이치를 깨닫고 천지의 뜻을 좇는 자가 바로 인간입니다.
음양오행의 본질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세상 만물과
우리 인간을 바라본다면 위대한 지혜가 생길 것입니다.

동양이 낳은 위대한 자연과학, 음양오행
서양 철학과 과학이 모든 질문에 답해주고 문제를 해결해줄 수 있을까요? 21세기에 들어서자 동양학이 서양 철학과 과학이 해결하지 못한 문제에 답해줄 수 있다는 믿음이 커지면서, 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동양의 문화유산들은 바다와 같이 넓고 깊은데, 그것들이 하도(河圖)와 낙서(洛書)에 의해 이루어진 ‘음양오행’이 뿌리가 되어 이루어졌음을 부정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많은 이들이 음양오행의 참뜻을 몰라서, 동양의 정신과 문화유산을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세상 만물의 구성요소인 음양오행을 올바로 이해하면 뿌연 안개로 뒤덮인 동양의 바다를 항해하는 데 필요한 나침반을 얻게 될 것입니다. 이 책은 동양의 세계에 뛰어들어 오랫동안 길을 잃고 헤매던 저자들이 같은 길을 걷고 있는 많은 이들에게 보내는 작은 보고서이자 일반 독자를 위한 동양학 입문서입니다. 동양학을 처음 공부하거나 다시 시작하고자 하는 이들, 대학에서 한의학을 공부하려는 학생들에게 큰 도움을 줄 것입니다.
다양한 일상의 예를 통해 음양오행을 쉽고 재미있게 소개하고 있는 이 책과 함께 동양학의 넓고 깊은 바다를 자유롭게 항해해봅시다.

다양한 예를 통한 쉽고 재미있는 동양학 풀이

동양학에 관심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이 유익하고 신기한 음양오행을 공부하려고 이 책 저 책 기웃거려 보았을 것입니다. 그런데 막상 책을 펼치면 모르는 한문 투성이고, 음양오행을 알아가는 즐거움은 어디서도 찾을 수 없고 뜬구름 잡는 본질론만 가득합니다. 이 책은 동양 학문에 뛰어들어 안개 속을 헤매며 고민하던 ‘젊은 한의사 두 사람’이 오랫동안의 연구와 경험을 바탕으로 쉽고 재미있는 예를 들어 음양오행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한 걸음 한 걸음 나아가다 보면 눈에 보이지 않던 들풀이 새로이 보이고, 먼 산이 가슴으로 다가오며, 자연의 숨소리가 들리기 시작할 것입니다.

음과 양의 이치를 체득하는 데 있어 가장 어려운 점은, 음형(陰形)은 보이는데 양기(陽氣)는 볼 수 없다는 점입니다.
양기는 항상 음형의 껍데기를 쓰고 그 속에 숨어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우리의 오감(五感)과 지각(知覺)은 음형만 파악하기 일쑤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시각은 우주의 실상 중 절반밖에 보지 못하는 잘못된 것임을 알아야 합니다.
‘보이는 것’이 절반이고, 그 이면에 ‘보이지 않는 것’이 절반으로 숨어 있습니다.
‘보이는 것’만을 고집하는 것은 사람을 판단할 때 그 사람의 외모만 보고 마음은 무시해 버리는 것과 같습니다. 마음은 눈에 보이지 않으니 말입니다.
-『음양이 뭐지?』 본문 중에서


음양이 뭐지?

음양편 『음양이 뭐지?』에서는, 1장 <잃어버린 원을 찾아서>와 2장 <우주를 낚는 그물>을 통해 왜 우리가 음양을 배워야 하는가 하는 당위성을 이야기하고, 3장 <세상을 보는 음양의 눈>에서는 ‘짝이 있는 우주’, ‘홀로 있는 우주’, ‘밝혀지는 우주’의 순서로 음양이 가지고 있는 숨은 뜻을 풀어봅니다. 그리고 <나는 누구인가>를 마지막 장으로 하여 인간에게 실제로 적용되는 음양을 밝히고 있습니다.
음양을 공부하는 궁극적인 목적은 삼라만상의 실상을 파악하고, 한 걸음 더 나아가 자기 자신을 깨닫는 데 있습니다. 음양은 천지의 도(道)로서 스스로 깨닫고 스스로 공부해가는 것입니다. 이 책은 어두운 밤에 작은 등불이 되어줄 것입니다. 음양을 공부한다는 것은 태극을 깨닫는 것입니다. 스스로 깨닫고 스스로 나아가야 합니다.

음양(陰陽)은 ‘낮에는 해가 뜨고 밤에는 해가 진다.’는 가장 단순하고 명확한 자연의 진리에서 출발한 학문이므로 ‘맞다, 틀리다’고 시비(是非)를 가릴 수 없습니다. 자연주의 사유 방법은 인간이 임의대로 설정한 인간 중심의 철학과는 다르기 때문입니다. 단지 문제가 되는 것은 음양이라는 자연의 비밀을 푸는 열쇠를 쥐고 있는 사람의 능력에 따라 그 쓰임이 달라질 수 있다는 것입니다. 불후의 보검을 가지고 활법(活法)을 터득해 사람을 살리는 데 쓸 수도 있고, 부엌에서 무를 자르는 데 쓸 수도 있습니다. 자칫하면 사람을 죽이는 데 쓸 수도 있는 것입니다.
-『음양이 뭐지?』 본문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