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과업수행자
유류유출 오염 조사지역
[화보]
요약
목차
I. 정밀조사 개요 80
II. 오염 현황 84
제1장 원유 특성 및 오염 현황 86
1. 유출원유의 원산지 특성 86
2. 해안선 유류오염 88
3. 주요 해변 유징 144
4. 해저 유류오염 168
제2장 요약 및 제언 210
III. 생태계 정밀조사 214
제1장 분야별 정밀조사 216
1. 해양수질 216
2. 해양퇴적물 오염 241
3. 해양퇴적물 분포 특성 319
4. 생물 체내 PAHs 및 중금속 농도 381
5. 미생물 분해 462
6. 식물플랑크톤 483
7. 동물플랑크톤 507
8. 어란 및 자치어 559
9. 저서규조류 574
10. 해조류 588
11. 해초류 614
12. 해양저서무척추동물 631
가. 조간대 경성기질 631
나. 조하대 경성기질 680
다. 조간대 연성기질 700
라. 조하대 연성기질 725
13. 해양어류 745
가. 조간대 어류(조수웅덩이 1) 745
나. 조간대 어류(조수웅덩이 2) 764
다. 조간대 어류(지인망) 778
라. 조하대 어류 795
14. 식물상·식생 821
15. 곤충류 841
16. 양서·파충류 853
17. 조류 862
가. 태안해안국립공원 및 인근지역 862
나. 생태민감지역 867
다. 특정도서 및 생태계변화관찰도서 877
라. 피해조류의 병리해부와 생리·생화학적 분석 882
18. 포유류 894
가. 육상포유류 894
나. 해양포유류 906
제2장 요약 및 제언 913
IV. 유류방재 작업으로 인한 훼손 현황 954
제1장 서론 956
제2장 조사내용 및 방법 956
제3장 결과 및 고찰 957
제4장 요약 및 제언 963
V. 탐방행태 및 인식변화 964
제1장 서론 966
제2장 조사내용 및 방법 967
1. 태안해안국립공원 현황 967
2. 탐방 및 인식변화 분석을 위한 조사규모 977
제3장 결과 및 고찰 983
1. 태안해안국립공원 탐방객 특성 및 탐방행태 983
2. 태안해안국립공원에 대한 일반국민 의식조사 1001
제4장 요약 및 결론 1007
1. 요약 1007
2. 연구결과의 정책적 함의와 공원관리 활용방안 1010
VI. 태안해안국립공원지역 복원방향(안) 1012
제1장 복원방향 개요 1014
1. 복원프로그램의 구성 1014
2. 복원 목표, 목적 및 전략 1015
3. 복원 프로그램의 추진 단계 1016
4. 주요 서식지 복원작업 방법 1017
제2장 복원방향 1018
1. 장기 모니터링 사업 시행 1018
2. 해양생태계 복원방향 1020
3. 훼손된 사구지역 복원방향 1023
4. 육상지역 복원방향 1024
참고문헌 1026
부록 1056
판권기 1182
그림 II-1-2-1. 태안해안국립공원 북부해안 조사지역. 90
그림 II-1-2-2. 특정도서 및 생태계변화관찰도서(삽시도) 위치도. 91
그림 II-1-2-3. 공원 내 유무인도서 위치도. [□: 1차조사 ('08.01~02), ○: 2차 조사('08.11~12)]. 93
그림 II-1-2-4. 학암포 지역 유류오염 및 방재작업. 97
그림 II-1-2-5. 학암포 지역 해안선 구분. 98
그림 II-1-2-6. 학암포 2차 조사 결과. 99
그림 II-1-2-7. 의항리 지역 유류오염. 100
그림 II-1-2-8. 의항리 지역 해안선 구분. 101
그림 II-1-2-9. 의항리 2차 조사 결과. 105
그림 II-1-2-10. 모항 지역 해안선 구분. 110
그림 II-1-2-11. 모항 지역 유류오염 및 방재활동. 111
그림 II-1-2-12. 모항 지역 2차 조사 결과. 114
그림 II-1-2-13. 파도리 지역 유류오염. 115
그림 II-1-2-14. 파도리 지역 해안선 구분. 116
그림 II-1-2-15. 파도리 지역 2차 조사. 119
그림 II-1-2-16. 해안선 유류오염 조사 결과. (△: 오염이 심한 도서, □: 오염이 발견되었으나 심하지 않은 도서, ○: 오염이 발견되지 않은 도서). 121
그림 II-1-2-17. 도서지역 유류오염 (표면). 122
그림 II-1-2-18. 도서지역 유류오염 (표면아래). (왼쪽: 옥도, 오른쪽 : 오도). 122
그림 II-1-2-19. 봄철 특정도서 및 생태계변화관찰도서 조사. 126
그림 II-1-2-20. 하계 특정도서 및 생태계변화관찰도서 조사. 130
그림 II-1-2-21. 추계 특정도서 및 생태계변화관찰도서 조사. 134
그림 II-1-2-22. 곳도 잔존유류. 137
그림 II-1-2-23. 공원 내 유무인도서 1차 조사 결과. 140
그림 II-1-2-24. 공원 내 유무인도서 2차 조사 결과. 143
그림 II-1-3-1. 지하유징 조사지점 위치도. 145
그림 II-1-3-2. 조사지점 위치도. 146
그림 II-1-3-3. 학암포 현황. 150
그림 II-1-3-4. 학암포 계절별 현황. 153
그림 II-1-3-5. 구례포 현황. 154
그림 II-1-3-6. 구례포 계절별 현황. 156
그림 II-1-3-7. 구름포 현황. 158
그림 II-1-3-8. 구름포 계절별 현황. 160
그림 II-1-3-9. 천리포 현황. 162
그림 II-1-3-10. 천리포 계절별 현황. 164
그림 II-1-3-11. 천리포해변 지형변화. 164
그림 II-1-3-12. 파도리 현황. 166
그림 II-1-3-13. 통개 현황. 167
그림 II-1-4-1. 조사시기별 조사정점. 170
그림 II-1-4-2. 조하대 연성저질과 유일하게 발견된 집게류. 174
그림 II-1-4-3. 조사 시 촬영된 자주새우류. 176
그림 II-1-4-4. 해수면에 부유한 갈색 유류띠와 타르볼 밴드. 177
그림 II-1-4-5. 조사해역에서 발견된 무쓰뿌리돌산호와 둥근전복. 178
그림 II-1-4-6. 백리포해변 오염 현황. 179
그림 II-1-4-7. 저질 표면에서 확인된 자주새우류와 집게류. 181
그림 II-1-4-8. 오일펜스, 오일스키머, 흡착포를 이용한 유류 방재활동. 181
그림 II-1-4-9. 유류침전물과 해중에 떠다니는 유류입자. 182
그림 II-1-4-10. 폐사한 모래무지염통성게와 아팰불가사리. 183
그림 II-1-4-11. 방파제 내벽에 피복된 유류과 비디오 촬영 중인 조사자. 183
그림 II-1-4-12. 활발한 움직임의 각시수랑과 폐사한 염통성게. 184
그림 II-1-4-13. 암반 기질에서 손에 묻어나오는 유류. 185
그림 II-1-4-14. 올빼미군소붙이. 187
그림 II-1-4-15. 조사선 하부의 갯지렁이 서관과 조사선 중부에 서식하는 집게류. 188
그림 II-1-4-16. 보트를 이용한 조사장소로의 이동동. 188
그림 II-1-4-17. 조사해역에서 발견된 해양저서무척추동물. 189
그림 II-1-4-18. 조사해역에서 발견된 해양저서무척추동물. 192
그림 II-1-4-19. 울미도 서쪽 해안에서의 조사와 조간대 하부 지중해담치 군락. 194
그림 II-1-4-20. 육식성 연체류인 따가리와 우점종인 갯고사리류. 195
그림 II-1-4-21. 채집된 대형 바다대벌레류. 195
그림 II-1-4-22. 방형구 내 빗살거미불가사리류와 내서동물인 측해변말미잘. 196
그림 II-1-4-23. 탁한 시야에서의 조사자와 방형구 내 별불가사리. 197
그림 II-1-4-24. 렌즈의 부유물 침착과 바닥에 서식하는 검은띠불가사리. 198
그림 II-1-4-25. 집갯지렁이류 서관과 진아무르불가사리. 199
그림 II-1-4-26. 조사지점 주변 전경 및 조간대의 건강한 해조류상. 200
그림 II-1-4-27. 조사해역에서 출현한 저서무척추동물. 200
그림 II-1-4-28. 유류성분이 제거된 방파제와 방파제 사석표면. 202
그림 II-1-4-29. 해수를 이용한 유류제거 작업과 이로 인한 부유물 침착. 202
그림 II-1-4-30. 암반에 표착된 유류와 해수 표면에 부유한 유막. 203
그림 II-1-4-31. 퇴적물에서 침출된 유류와 조하대에 서식하는 새우말. 203
그림 II-1-4-32. 고압세척기를 이용한 방재작업과 이로 인한 유막의 부유. 204
그림 II-1-4-33. 항내에 부유한 유막과 방파제 사석 아래 아스팔트화 된 유류. 205
그림 II-1-4-34. 정화된 암반과 퇴적물에서 표출된 유류. 205
그림 II-1-4-35. 정화된 암반의 부착생물과 유류가 제거된 바위. 206
그림 II-1-4-36. 유흡착포에 묻어나오는 유류와 굴의 패각에 표착된 유류. 206
그림 II-1-4-37. 수중 유류의 존재 유·무 확인. 207
그림 II-1-4-38. 조사시기 및 조사지점에 따른 오염 현황. 209
그림 III-1-1-1. 해양수질 조사 정점. 217
그림 III-1-1-2. 해양수질의 정점별 분포. 236
그림 III-1-1-3. 해양수질의 연간 분포. 240
그림 III-1-2-1. 해양퇴적물 조사 정점. 242
그림 III-1-2-2. 해양퇴적물(조간대) 조사 정점. 243
그림 III-1-2-3. 해양퇴적물의 일반항목 정점별 분포. 259
그림 III-1-2-4. 해양퇴적물의 중금속 정점별 분포. 276
그림 III-1-2-5. 해양퇴적물의 PAHs 정점별 분포. 317
그림 III-1-3-1. 태안해안국립공원의 대표적 해빈 위치도. 320
그림 III-1-3-2. 태안해안국립공원의 퇴적물 채취정점도. 320
그림 III-1-3-3. 태안반도 지질구조. 323
그림 III-1-3-4. 태안해안국립공원의 해안지질 특성.(허·최, 2007). 325
그림 III-1-3-5. 학암포-구례포 지역. 329
그림 III-1-3-6. 학암포 해빈. 330
그림 III-1-3-7. 학암포-국사봉지역 퇴적물 채취정점. 331
그림 III-1-3-8. 학암포 퇴적물의 입도분포곡선; 상부해빈-빨간선(굵은 실선), 중부해빈-검은선(실선), 하부해빈-파란선(점선). 332
그림 III-1-3-9. 구례포 해빈. 333
그림 III-1-3-10. 구례포 퇴적물의 입도분포곡선; 상부해빈-빨간선(굵은 실선), 중부해빈-검은선(실선), 하부해빈-파란선(점선). 333
그림 III-1-3-11. 국사봉 남측. 334
그림 III-1-3-12. 국사봉 남측 해빈 퇴적물의 입도분포곡선; 상부해빈-빨간선(굵은 실선), 중부해빈-검은선(실선). 334
그림 III-1-3-13. 신두리-만리포 지역. 336
그림 III-1-3-14. 신두리-모항지역 퇴적물 채취정점. 337
그림 III-1-3-15. 신두리 해빈 퇴적물의 입도분포곡선. 338
그림 III-1-3-16. 구름포 지역. 339
그림 III-1-3-17. 적현-구름포-의항리 해빈 퇴적물의 입도분포곡선: 역질 퇴적물-빨간색(굵은 실선). 340
그림 III-1-3-18. 십리포-백리포 지역. 341
그림 III-1-3-19. 천리포-만리포 지역. 341
그림 III-1-3-20. 백리포-천리포-만리포-모항 해빈 퇴적물 입도분포곡선; 붉은색(굵은 실선). 344
그림 III-1-3-21. 파도리 해빈. 344
그림 III-1-3-22. 파도리 지역 해빈퇴적물 채취정점. 345
그림 III-1-3-23. 파도리 지역 퇴적물의 입도분포곡선. 347
그림 III-1-3-24. 파도반도-마섬. 347
그림 III-1-3-25. 근소만(근흥만). 348
그림 III-1-3-26. 안흥-신진도 지역의 퇴적물 채취정점. 349
그림 III-1-3-27. 갈음이-신진도 퇴적물 입도분포곡선. 349
그림 III-1-3-28. 안흥반도 남부 해안. 350
그림 III-1-3-29. 연포 해빈. 350
그림 III-1-3-30. 아래황골-연포 해빈 퇴적물 입도분포곡선. 351
그림 III-1-3-31. 남산포 갯벌. 353
그림 III-1-3-32. 몽산리 암석해안. 354
그림 III-1-3-33. 몽산포-마검포. 354
그림 III-1-3-34. 몽산포-청포대 해빈 퇴적물 채취정점. 355
그림 III-1-3-35. 몽산포-청포대 해빈 퇴적물 입도분포곡선; 상부해빈-빨간선(굵은 실선), 중부해빈-검은선(실선), 하부해빈-파란선(점선). 356
그림 III-1-3-36. 마검포-아래드르니 지역. 357
그림 III-1-3-37. 마검포-아래드르니의 퇴적물 채취정점. 358
그림 III-1-3-38. 마검포-아래드르니 지역 퇴적물 입도분포곡선. 359
그림 III-1-3-39. 백사장-기지포-안면 해빈지역. 360
그림 III-1-3-40. 백사장-밧개 해빈의 퇴적물 채취 정점. 362
그림 III-1-3-41. 백사장-두여 해빈의 퇴적물 입도분포곡선. 362
그림 III-1-3-42. 밧개-방포 해빈지역. 363
그림 III-1-3-43. 밧개 해빈 퇴적물 입도분포곡선. 364
그림 III-1-3-44. 꽃지 해빈지역. 366
그림 III-1-3-45. 꽃지 해빈의 퇴적물 채취정점. 367
그림 III-1-3-46. 꽃지 해빈 퇴적물의 입도분포곡선. 367
그림 III-1-3-47. 꽃지 남부-둔두리 갯벌. 369
그림 III-1-3-48. 샛별-장곡 해빈. 369
그림 III-1-3-49. 샛별-장곡 퇴적물 채취정점. 370
그림 III-1-3-50. 샛별 해빈 퇴적물 입도분포곡선. 370
그림 III-1-3-51. 바람아래 해빈 및 딴달구지 지역. 372
그림 III-1-3-52. 바람아래 해빈-영목항 퇴적물 채취정점. 372
그림 III-1-3-53. 바람아래 해빈의 퇴적물 입도분포곡선. 374
그림 III-1-3-54. 조하대 퇴적물 채취정점. 375
그림 III-1-3-55. 조하대 퇴적물 입도분포곡선. 375
그림 III-1-3-56. 조하대 퇴적물의 지역적 분포특성.(●:〈2 phi, ○:2~3 phi,○:3~4 phi, ●:4 phi〈)(이미지참조) 377
그림 III-1-3-57. 태안반도 연근해 퇴적물 분포(오·김, 1999). 377
그림 III-1-3-58. 태안해안국립공원 퇴적물의 삼각도표(파란색-조하대 퇴적물). 378
그림 III-1-3-59. 조립사-중립사-세립사 계층의 함량에 따른 삼각도표 분류. 379
그림 III-1-3-60. 평균입도와 분급도의 분산도표(□-조하대). 380
그림 III-1-4-1. 미국 환경보호청에서 권고하는 16종의 PAH. 382
그림 III-1-4-2. 지중해담치의 16 PAHs 농도 분포. 410
그림 III-1-4-3. 특정도서 및 생태계변화관찰도서 지중해담치의 16 PAHs 농도 분포. 410
그림 III-1-4-4. 굴의 16 PAHs 농도 분포. 410
그림 III-1-4-5. 맵사리의 16 PAHs 농도 분포. 411
그림 III-1-4-6. 특정도서 및 생태계변화관찰도서 대수리의 16 PAHs 농도 분포. 411
그림 III-1-4-7. 엽낭게의 16 PAHs 농도 분포. 414
그림 III-1-4-8. 파래류의 16 PAHs 농도 분포. 420
그림 III-1-4-9. 특정도서 및 생태계변화관찰도서 파래류의 16 PAHs 농도 분포. 420
그림 III-1-4-10. 새우말의 16 PAHs 농도 분포. 420
그림 III-1-4-11. 어류 근육의 16 PAHs 농도 분포. 427
그림 III-1-4-12. 지중해담치의 Cu 농도 분포. 439
그림 III-1-4-13. 지중해담치의 Zn 농도 분포. 440
그림 III-1-4-14. 지중해담치의 Cd 농도 분포. 440
그림 III-1-4-15. 굴의 Cu 농도 분포. 441
그림 III-1-4-16. 굴의 Zn 농도 분포. 441
그림 III-1-4-17. 굴의 Cd 농도 분포. 441
그림 III-1-4-18. 특정도서 및 생태계변화관찰도서 대수리의 Cu 농도 분포. 442
그림 III-1-4-19. 특정도서 및 생태계변화관찰도서 대수리의 Zn 농도 분포. 442
그림 III-1-4-20. 특정도서 및 생태계변화관찰도서 대수리의 Cd 농도 분포. 442
그림 III-1-4-21. 맵사리의 Cu 농도 분포. 443
그림 III-1-4-22. 맵사리의 Zn 농도 분포. 443
그림 III-1-4-23. 맵사리의 Cd 농도 분포. 443
그림 III-1-4-24. 엽낭게의 Cu 농도 분포. 447
그림 III-1-4-25. 엽낭게의 Zn 농도 분포. 447
그림 III-1-4-26. 엽낭게의 Cd 농도 분포. 447
그림 III-1-4-27. 파래류의 Cu 농도 분포. 452
그림 III-1-4-28. 특정도서 및 생태계변화관찰도서 파래류의 Cu 농도 분포. 452
그림 III-1-4-29. 파래류의 Zn 농도 분포. 452
그림 III-1-4-30. 특정도서 및 생태계변화관찰도서 파래류의 Zn 농도 분포. 453
그림 III-1-4-31. 새우말의 Cu 농도 분포. 453
그림 III-1-4-32. 새우말의 Zn 농도 분포. 453
그림 III-1-4-33. 새우말의 Cd 농도 분포. 454
그림 III-1-4-34. 어류의 Cu 농도 분포. 459
그림 III-1-4-35. 어류의 Zn 농도 분포. 460
그림 III-1-5-1. 해안 토양시료에서의 미생물 분포(Marine broth) (A, 학암포해변; B, 구름포해변; C, 파도리해변; D, 백사장해변; E, 바람아래해변(□ 춘계, ▨, 하계, ▣, 추계)). 467
그림 III-1-5-2. 춘계 시료 채취 후, Marine Broth 배지상에서의 미생물 분포(희석률: 10-3) (A, 학암포해변; B, 구름포해변; C, 파도리해변; D, 백사장해변; E, 바람아래해변)(이미지참조). 467
그림 III-1-5-3. 하계 시료 채취 후, Marine Broth 배지상에서의 미생물 분포(희석률: 10-3) (A, 학암포해변; B, 구름포해변; C, 파도리해변; D, 백사장해변; E, 바람아래해변)(이미지참조). 468
그림 III-1-5-4. 추계 시료 채취 후, Marine Broth 배지상에서의 미생물 분포(희석률: 10-3) (A, 학암포해변; B, 구름포해변; C, 파도리해변; D, 백사장해변; E, 바람아래해변)(이미지참조). 468
그림 III-1-5-5. 춘계 시료 채취 후, MacConkey 배지상에서의 미생물 분포 사진(희석률: 10-2) (A, 학암포해변; B, 구름포해변; C, 파도리해변; D, 백사장해변; E, 바람아래해변)(이미지참조). 469
그림 III-1-5-6. 하계 시료 채취 후, MacConkey 배지상에서의 미생물 분포 사진(희석률: 10-2) (A, 학암포해변; B, 구름포해변; C, 파도리해변; D, 백사장해변; E, 바람아래해변)(이미지참조). 469
그림 III-1-5-7. 추계 시료 채취 후, MacConkey 배지상에서의 미생물 분포 사진(희석률: 10-2) (A, 학암포해변; B, 구름포해변; C, 파도리해변; D, 백사장해변; E, 바람아래해변)(이미지참조). 470
그림 III-1-5-8. 춘계 시료 채취 후, 유류를 포함하는 Bushnell-Haas 고체배지상 내, 미생물의 분해를 보여주는 사진(희석률: 원액). (A, 학암포해변; B, 구름포해변; C, 파도리해변 D, 백사장해변; E, 바람아래해변) 470
그림 III-1-5-9. 유류 분해 세균의 농화 및 배양 중 플라스크 내 액상변화(학암포). 471
그림 III-1-5-10. 유류 분해 세균의 농화 및 배양 중 플라스크 내 액상변화(구름포). 471
그림 III-1-5-11. 유류오염지역에서 분리한 유류분해세균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A, THK-1, B, THK-2; C, TGK-2). 478
그림 III-1-5-12. THK-2 균주의 165 rDNA 부분 염기서열. 479
그림 III-1-5-13. THK-3 균주의 165 rDNA 부분 염기서열. 480
그림 III-1-5-14. 학암포 지역의 미생물컨소시엄을 이용한 1% 유류의 분해양상을 보여주는 GC 크로마토그램(A, 0 day; B, 21 days; C, 28days). 481
그림 III-1-5-15. 구름포 지역의 미생물컨소시엄을 이용한 1% 유류의 분해양상을 보여주는 GC 크로마토그램(A, 0 day; B, 21 days; C, 28days) 482
그림 III-1-6-1. 태안해안국립공원 내 식물플랑크들 조사 정점도. 485
그림 III-1-6-2. 해양 식물플랑크톤 조사 시 측정된 계절별 정점별 수온변화. 487
그림 III-1-6-3. 해양 식물플랑크톤 조사 시 측정된 계절별 정점별 염분변화. 488
그림 III-1-6-4. 식물플랑크톤의 계절에 따른 수층별 정점별 출현종수. 491
그림 III-1-6-5. 식물플랑크톤의 계절별 평균 현존량(막대는 최소, 최대 현존량임). 493
그림 III-1-6-6. 식물플랑크톤의 계절에 따른 수층별 정점별 현존량 변화. 494
그림 III-1-6-7. 동계('08. 01)에 출현한 식물플랑크톤 우점종의 우점비율. 495
그림 III-1-6-8. 춘계('08. 04)에 출현한 식물플랑크톤 우점종의 우점비율. 496
그림 III-1-6-9. 하계('08. 07)에 출현한 식물플랑크톤 우점종의 우점비율. 497
그림 III-1-6-10. 추계('08. 10)에 출현한 식물플랑크톤 우점종의 우점비율. 497
그림 III-1-6-11.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계절에 따른 수층별 정점별 종다양도 지수. 498
그림 III-1-6-12. 동계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정점별 유사도에 의한 집괴분석. 501
그림 III-1-6-13. 춘계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정점별 유사도에 의한 집괴분석. 501
그림 III-1-6-14. 하계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정점별 유사도에 의한 집괴분석. 502
그림 III-1-6-15. 추계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정점별 유사도에 의한 집괴분석. 502
그림 III-1-6-16. 동계 표층에서 식물플랑크톤의 정점별 엽록소-α 농도. 503
그림 III-1-6-17. 춘계 식물플랑크톤의 수층별 정점별 엽록소-α 농도(상: 표층, 하: 중층). 503
그림 III-1-6-18. 하계 식물플랑크톤의 수층별 정점별 엽록소-α 농도(상: 표층, 하: 중층). 504
그림 III-1-6-19. 추계 식물플랑크톤의 수층별 정점별 엽록소-α 농도(상: 표층, 하: 중층). 505
그림 III-1-6-20. 총 엽록소-α 농도(상), 총 현존량(중) 및 최우점종의 현존량(하) 변동[허베이 스피리트호 사고 발생 전('07.11.22), 발생 4일 후('07.12.11), 1개월 후('08.01), 5개월 후('08.04), 8개월 후... 506
그림 III-1-7-1. 동물플랑크들 조사 정점도. 508
그림 III-1-7-2. 대상 해역에서 출현한 동물플랑크톤의 분류군별 구성비('08. 01). 511
그림 III-1-7-3. 대상 해역에서 출현한 동물플랑크톤의 분류군별 구성비('08. 04). 511
그림 III-1-7-4. 대상 해역에서 출현한 동물플랑크톤의 분류군별 구성비('08. 07). 512
그림 III-1-7-5. 대상 해역에서 출현한 동물플랑크톤의 분류군별 구성비('08. 10). 512
그림 III-1-7-6. 기존 조사의 동물플랑크톤 분류군별 구성비('05. 06). * 기존조사 : 국립공원관리공단, 2005 514
그림 III-1-7-7. 기존 조사의 동물플랑크톤 분류군별 구성비('05. 10). * 기존조사 : 국립공원관리공단, 2005 514
그림 III-1-7-8. 정점에 따른 동물플랑크톤 출현종수('08. 01). * 그래프내의 직선은 평균치를 나타냄 514
그림 III-1-7-9. 정점에 따른 동물플랑크톤 출현종수('08. 04). * 그래프내의 직선은 평균치를 나타냄 515
그림 III-1-7-10. 정점에 따른 동물플랑크톤 출현종수('08. 07). * 그래프내의 직선은 평균치를 나타냄 515
그림 III-1-7-11. 정점에 따른 동물플랑크톤 출현종수('08. 10). * 그래프내의 직선은 평균치를 나타냄 515
그림 III-1-7-12. 동물플랑크톤의 시기별, 정점별 출현종수. 516
그림 III-1-7-13. 기존 조사의 정점별 동물플랑크톤 출현종수('05. 06). * 그래프내의 직선은 평균치를 나타냄 * 기존조사 : 국립공원관리공단, 2005 517
그림 III-1-7-14. 기존 조사의 정점별 동물플랑크톤 출현종수('05. 10). * 그래프내의 직선은 평균치를 나타냄 * 기존조사 : 국립공원관리공단, 2005 517
그림 III-1-7-15. 조사해역에서 출현한 동물플랑크톤의 정점별 현존량('08. 01). * 그래프내의 직선은 평균치를 나타냄 532
그림 III-1-7-16. 조사해역에서 출현한 동물플랑크톤의 정점별 현존량('08. 04). *그래프내의 직선은 평균치를 나타냄 533
그림 III-1-7-17. 조사해역에서 출현한 동물플랑크톤의 정점별 현존량('08. 07). * 그래프내의 직선은 평균치를 나타냄 533
그림 III-1-7-18. 조사해역에서 출현한 동물플랑크톤의 정점별 현존량('08. 10). * 그래프내의 직선은 평균치를 나타냄 534
그림 III-1-7-19. 기존 조사에서 출현한 동물플랑크톤의 정점별 현존량('05. 06). *그래프내의 직선은 평균치를 나타냄 * 기존조사 : 국립공원관리공단, 2005 535
그림 III-1-7-20. 기존 조사에서 출현한 동물플랑크톤의 정점별 현존량('05. 10). * 그래프내의 직선은 평균치를 나타냄 * 기존조사 : 국립공원관리공단, 2005 536
그림 III-1-7-21. 동물플랑크톤의 해역별 현존량 분포도. 536
그림 III-1-7-22. 조사해역에서 출현한 동물플랑크톤의 상위 우점종. 545
그림 III-1-7-23. 조사해역에서 출현한 동물플랑크톤의 정점별 생체량('08. 01). * 그래프내의 직선은 평균치를 나타냄 546
그림 III-1-7-24. 조사해역에서 출현한 동물플랑크톤의 정점별 생체량('08. 04). * 그래프내의 직선은 평균치를 나타냄 547
그림 III-1-7-25. 조사해역에서 출현한 동물플랑크톤의 정점별 생체량('08. 07). *그래프내의 직선은 평균치를 나타냄 547
그림 III-1-7-26. 조사해역에서 출현한 동물플랑크톤의 정점별 생체량('08. 10). * 그래프내의 직선은 평균치를 나타냄 548
그림 III-1-7-27. 동물플랑크톤의 정점별 생체량 분포도. 549
그림 III-1-7-28.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생태지수. 553
그림 III-1-7-29.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정점 간 유사도('08. 01). 554
그림 III-1-7-30.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정점 간 유사도('08. 04). 554
그림 III-1-7-31.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정점 간 유사도('08. 07). 555
그림 III-1-7-32.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정점 간 유사도('08. 10). 555
그림 III-1-8-1. 태안해안국립공원 내 어란 및 자치어 조사 정점. 560
그림 III-1-8-2. 태안해안국립공원 해역 내 16개 정점에 대한 계절별 수온과 염분 변화. * 오차막대는 수온과 염분의 최소값 및 최대값임. 561
그림 III-1-8-3. 조사 해역 내 계절별 어란의 분포. 564
그림 III-1-8-4. 조사 해역 내 계절별 우점 어란의 분포. 565
그림 III-1-8-5. 조사 해역 내 계절별 자치어의 분포. 567
그림 III-1-8-6. 동계에 우점한 자치어 4종의 분포. 568
그림 III-1-8-7. 춘계에 우점한 문치가자미의 분포. 569
그림 III-1-8-8. 하계에 우점한 자치어 2종의 분포. 569
그림 III-1-9-1. 조사 정점 위치도. 576
그림 III-1-9-2. 만리포 하부 조간대에서 관찰된 타르볼과 조간대 유류제거 작업 577
그림 III-1-9-3. 조사 정점별 수온 및 염분 변화. 579
그림 III-1-9-4. 조사 정점별 pH. 580
그림 III-1-9-5. 조사 지역 표층수의 Chl-α 농도. 581
그림 III-1-9-6. 조사 지역의 계절별 평균 표층 퇴적물 Chl-α 농도. 581
그림 III-1-9-7. 조사 지역의 평균 표층 퇴적물 Chl-α 농도 비교. 581
그림 III-1-9-8. 학암포의 평균 표층 퇴적물 Chl-α 농도. 582
그림 III-1-9-9. 만리포에서 대발생한 저서규조류 Cocconeiopsis Kantsinesis의 광학 및 주사전자현미경 사진. 583
그림 III-1-9-10. 파도리 지역의 주변 환경 변화. 584
그림 III-1-9-11. 파도리의 평균 표층 퇴적물 Chl-α 농도. 584
그림 III-1-9-12. 백사장의 평균 표층 퇴적물 Chl-α 농도. 585
그림 III-1-9-13. 바람아래해변의 평균 표층 퇴적물 Chl-α 농도. 586
그림 III-1-10-1. 해조류 조사정점(St.1, 학암포; St.2, 만리포; St3, 파도리; St.4, 채석포; St.5, 몽산포; St.6, 방포). 589
그림 III-1-10-2. 학암포 해안 조간대의 조위별 계절적 생물량. 599
그림 III-1-10-3. 만리포 해안 조간대의 조위별 계절적 생물량. 600
그림 III-1-10-4. 파도리 해안 조간대의 조위별 계절적 생물량. 602
그림 III-1-10-5. 채석포 해안 조간대의 조위별 계절적 생물량. 603
그림 III-1-10-6. 몽산포 해안 조간대의 조위별 계절적 생물량. 604
그림 III-1-10-7. 방포 해안 조간대의 조위별 계절적 생물량. 606
그림 III-1-10-8. 정점별 계절별 유사도. 607
그림 III-1-10-9. 만리포와 방포의 기능형에 따른 생물량 변화(S, 엽상형; F, 사상형; other, 성긴분기형, 다육질형, 유절산호말형, 각상형). 608
그림 III-1-10-10. 2007~2008년 각 조사지점의 계절별 생물량 변화. 613
그림 III-1-11-1. 조사지역 거머리말의 생육밀도 비교. 624
그림 III-1-11-2. 조사지역 거머리말의 생물량 비교. 624
그림 III-1-11-3. 조사지역 새우말의 생육밀도 및 개체 무게 비교. 625
그림 III-1-11-4. 조사지역 거머리 말의 형태학적 비교. 626
그림 III-1-11-5. 조사지역 새우말의 형태학적 비교. 626
그림 III-1-11-6. 2007년과 2008년 거머리말의 생육밀도 비교. 627
그림 III-1-11-7. 2007년과 2008년 거머리말의 생물량 비교. 628
그림 III-1-11-8. 2007년과 2008년 새우말의 생육밀도 비교. 628
그림 III-1-11-9. 2007년과 2008년 거머리말의 형태학적 비교. 629
그림 III-1-11-10. 2007년과 2008년 새우말의 형태학적 비교. 630
그림 III-1-12-1. 경성기질조간대 저서무척추동물 조사지점. 632
그림 III-1-12-2. 조사지선 및 방형구의 설치 예. 634
그림 III-1-12-3. 방형구(50×50cm, 10×10cm 격자) 설치의 예. 634
그림 III-1-12-4. 학암포 경성기질조간대 및 조사지선의 설정. 635
그림 III-1-12-5. 학암포 경성기질조간대 전경 및 허베이 스피리트호 유류유출 피해 상황. 636
그림 III-1-12-6. 구름포 경성기질조간대 및 조사지선의 설정. 637
그림 III-1-12-7. 구름포 경성기질조간대 전경 및 허베이 스피리트호 유류유출 피해 상황. 637
그림 III-1-12-8. 파도리 경성기질조간대 및 조사지선의 설정. 638
그림 III-1-12-9. 파도리 경성기질조간대 전경 및 허베이 스피리트호 유류유출 피해 상황. 639
그림 III-1-12-10. 신진도리의 경성기질조간대 및 조사지선의 설정. 639
그림 III-1-12-11. 몽산포의 경성기질조간대 및 조사지선의 설정. 640
그림 III-1-12-12. 청포대의 경성기질조간대 및 조사지선의 설정. 641
그림 III-1-12-13. 영목항의 경성기질조간대 및 조사지선의 설정. 642
그림 III-1-12-14. 학암포 경성기질조간대에 서식하는 굴의 대량폐사. 656
그림 III-1-12-15. 경성기질조간대에서 출현하는 저서무척추동물의 시·공간적 종조성 변동. 662
그림 III-1-12-16. 학암포 경성기질조간대에서 출현하는 굴의 계절별 피도 변화. 663
그림 III-1-12-17. 파도리 경성기질조간대에서 출현하는 굴의 계절별 피도 변화. 663
그림 III-1-12-18. 청포대 경성기질조간대에서 출현하는 굴의 계절별 피도 변화. 664
그림 III-1-12-19. 조사지역별, 계절별 출현종 수 및 평균 서식밀도. 667
그림 III-1-12-20. 조사지역별 출현종 수 및 서식밀도. 668
그림 III-1-12-21. 조사지역별, 조위별 출현종수. 670
그림 III-1-12-22. 조사지역별, 조위별 서식밀도. 671
그림 III-1-12-23. 주요종의 지역별, 조사시기별 피도. 672
그림 III-1-12-24. 조사지 역 별 다양도지수(H')와 균등도지수(J'). 675
그림 III-1-12-25. 유사도지수를 이용한 집괴분석과 다차원배열법('08. 05). 677
그림 III-1-12-26. 유사도지수를 이용한 집괴분석과 다차원배열법('08. 07). 678
그림 III-1-12-27. 유사도지수를 이용한 집괴분석과 다차원배열법('08. 10). 679
그림 III-1-12-28. 조하대 저서 무척추동물 조사정점. 682
그림 III-1-12-29. 옹도의 조사정점 위치도 및 조사지 전경. 683
그림 III-1-12-30. 정족도의 조사정점 위치도와 조사지 전경. 684
그림 III-1-12-31. 장고도의 조사정점 위치도 및 조사지 전경. 685
그림 III-1-12-32. 옹도에서 출현한 저서 무척추동물. 686
그림 III-1-12-33. 정족도에서 출현한 저서무척추동물. 691
그림 III-1-12-34. 장고도에서 발견된 다양한 저서생물. 696
그림 III-1-12-35. 조간대 조사지역. 703
그림 III-1-12-36. 계절별로 측정한 정점별 퇴적물 온도의 변화. 704
그림 III-1-12-37. 계절별로 측정한 정점별 수온의 변화. 705
그림 III-1-12-38. 계절별로 측정한 정점별 염분의 변화. 705
그림 III-1-12-39. 계절별로 출현한 해양저서무척추동물 종조성. 706
그림 III-1-12-40. 계절별로 출현한 해양저서무척추동물 개체수. 707
그림 III-1-12-41. 계절별로 출현한 해양저서무척추동물 생체량. 708
그림 III-1-12-42. 계절별로 출현한 해양저서무척추동물의 정점별 종수. 709
그림 III-1-12-43. 계절별로 출현한 해양저서무척추동물 정점별 개체수. 710
그림 III-1-12-44. 계절별로 출현한 해양저서무척추동물 정점별 생체량. 710
그림 III-1-12-45. 2008년 계절별로 출현한 저서무척추동물의 정점별 종수 분포도. 712
그림 III-1-12-46. 계절별로 출현한 저서무척추동물의 정점별 개체수 분포도. 713
그림 III-1-12-47. 계절별로 출현한 저서무척추동물의 정점별 생체량 분포도. 714
그림 III-1-12-48. 해양저서무척추동물의 각 정점 상·중·하부 지역별 종수. 716
그림 III-1-12-49. 해양저서무척추동물의 각 정점 상·중·하부 개체수. 716
그림 III-1-12-50. 해양저서무척추동물의 각 정점 상·중·하부 생체량. 716
그림 III-1-12-51. 계절별로 출현한 저서무척추동물에 대한 생태학적 지수(H': 종다양도 지수, J': 균등도 지수, d: 풍부도 지수). 718
그림 III-1-12-52. 계절별로 출현한 저서무척추동물에 대한 유사도 분석. 719
그림 III-1-12-53. 유류유출 전후 2007년과 2008년 종수 비교. 723
그림 III-1-12-54. 유류유출 전후 2007년과 2008년 개체수 비교. 723
그림 III-1-12-55. 유류유출 전후 2007년과 2008년 생체량 비교. 723
그림 III-1-12-56. 조하대 조사정점. 727
그림 III-1-12-57. 저서무척추동물의 계절별 분류군별 종 조성. 729
그림 III-1-12-58. 저서무척추동물의 계절별 정점별 종수 분포도. 731
그림 III-1-12-59. 저서무척추동물의 분류군별 개체빈도. 732
그림 III-1-12-60. 저서무척추동물의 정점별 개체수 분포도. 733
그림 III-1-12-61. 저서무척추동물의 계절별 정점별 종수 및 개체수. 734
그림 III-1-12-62. 저서무척추동물의 계절별 분류군별 생체량. 735
그림 III-1-12-63. 저서무척추동물의 계절별 정점별 생체량. 737
그림 III-1-12-64. 저서무척추동물의 계절별 정점별 생체량 분포도. 738
그림 III-1-12-65. 저서무척추동물의 계절별 정점별 생태학적 제지수. 740
그림 III-1-12-66. 저서무척추동물의 계절별 정점별 유사도 분석. 741
그림 III-1-12-67. 2005년 5월과 2008년 4월 개체수 비교. 743
그림 III-1-12-68. 2005년 5월과 2008년 4월 종수 비교. 743
그림 III-1-12-69. 2005년 5월과 2008년 4월 분류군별 종수 비교. 744
그림 III-1-13-1. 조사 위치도(숫자는 조사 지점의 격자 번호). 746
그림 III-1-13-2. 태안해안국립공원 조간대 어류의 종조성. 748
그림 III-1-13-3. 학암포에서 채집된 어류의 종조성 비교. 752
그림 III-1-13-4. 구름포에서 채집된 어류의 종조성 비교. 752
그림 III-1-13-5. 모항에서 채집된 어류의 종조성 비교. 755
그림 III-1-13-6. 삼봉해변에서 채집된 어류의 종조성 비교. 755
그림 III-1-13-7. 밧개에서 채집된 어류의 종조성 비교. 758
그림 III-1-13-8. 꽃지에서 채집된 어류의 종조성 비교. 758
그림 III-1-13-9. 바람아래에서 채집된 어류의 종조성 비교. 761
그림 III-1-13-10. 영목항에서 채집된 어류의 종조성 비교. 761
그림 III-1-13-11. 어류서식현황 현지 조사지점. 765
그림 III-1-13-12. 조간대 어류 서식현황 조사지점 전경(숫자: 각 조사지점 번호, 좌측: 정량조사 지점, 우측: 정성조사 지점). 766
그림 III-1-13-13. 환경요인 측정(좌측: 수온 및 염분) 및 어류 채집장면(우측: 족대). 767
그림 III-1-13-14. 각 조사지점별 수온변동. 768
그림 III-1-13-15. 각 조사지점별 염분변동. 768
그림 III-1-13-16. 각 조사지점별 출현종수 및 개체수(정량조사). 771
그림 III-1-13-17. 각 조사지점별 출현종수 및 개체수(정성조사). 772
그림 III-1-13-18. 조수웅덩이에서 난괴를 보호 중인 세줄베도라치(E. hexagrammus)(충남 태안군 소원면 모항리, '08. 05). 775
그림 III-1-13-19. 계절별 출현종수와 개체수(정량조사). 776
그림 III-1-13-20. 계절별 출현종수와 개체수(정성조사). 776
그림 III-1-13-21 쇄파대 연안 어류 채집지점. 780
그림 III-1-13-22. 2008년 지인망 어류의 지역별 출현종수, 개체수(N), 생물량 및 종다양도지수의 변화(■: 주간, ◆: 야간). 785
그림 III-1-13-23. 지인망 어류('05. 04~'06. 03)의 지역별 출현종수, 개체수, 생물량 및 종다양도지수의 변화(■: 주간, ◆: 야간). 786
그림 III-1-13-24. 태안해안국립공원 조하대 어류 조사 지역. 798
그림 III-1-13-25. 저인망 어류의 계절별 수온, 염분, 출현종수, 개체수, 생물량, 종다양도지수의 변화. 806
그림 III-1-13-26. 자망 어류의 종별 출현개체수 및 생물량 비율. 808
그림 III-1-13-27. 자망 어류의 종별 출현개체수 및 생물량 비율. 811
그림 III-1-13-28. 자망 어류의 출현종수, 개체수, 생물량 및 종다양도지수의 계절별 변화. 816
그림 III-1-13-29. 자망 어류의 종별, 개체수 및 생물량 비율. 817
그림 III-1-14-1. 조사지역의 기후도(왼쪽) 및 한반도 식물구계구분도(오른쪽). 824
그림 III-1-14-2. 연도별 조사구별 출현종수 비교. 825
그림 III-1-14-3. 삼봉사구 조사구 전경(왼쪽), 백령풀(오른쪽). 826
그림 III-1-14-4. 학암포 사구의 가시박(왼쪽)과 학암포 사구습지의 붉은서나물(오른쪽). 827
그림 III-1-14-5. 해안사구벨트의 현존식 생도. 834
그림 III-1-14-6. 몽산포 사구습지(조사구 10)의 현존식생도. 835
그림 III-1-14-7. 학암포 사구습지(조사구 22)의 현존식생도. 836
그림 III-1-14-8. 사구훼손 장면. 838
그림 III-1-14-9. 사구식물의 새순. 838
그림 III-1-14-10. 식물체 고사 및 황화현상. 839
그림 III-1-15-1. 각 지역별 조사지 전경. 843
그림 III-1-15-2. 함정을 설치하는 모습과 설치된 함정. 844
그림 III-1-15-3. 각 분류군별과 및 출현종수 비교. 845
그림 III-1-15-4. 각 지역별 곤충종 풍부도. 845
그림 III-1-15-5. 본조사에서 확인되지 않은 해변메뚜기. 848
그림 III-1-15-6. 각 지역별 사구의존성곤충의 다양성 비교. 848
그림 III-1-15-7. 중요종 및 중요종 후보로 선정된 사구의존성곤충. 850
그림 III-1-15-8. 선행연구와의 종다양도 비교. 851
그림 III-1-15-9. 선행연구와의 사구의존성곤충 종다양도 비교. 851
그림 III-1-15-10. 선행연구와의 각 지역별 종다양도 비교. 852
그림 III-1-16-1. 양서·파충류 종조성 비율. 860
그림 III-1-17-1. 태안해안국립공원 조류 조사지역. 863
그림 III-1-17-2. 신두리, 근소만, 이원의 조사지역. 868
그림 III-1-17-3. 신두리 지역, 근소만 지역, 이원 지역에서 관찰된 조류 개체수 874
그림 III-1-17-4. 피해확산지역에서의 월별 조류 구성. 875
그림 III-1-17-5. 특정도서(○) 및 생태계변화관찰도서(□) 조사지역. 877
그림 III-1-17-6. 도서전경 및 관찰 조류 현황. 881
그림 III-1-17-7. 발견당시 기름에 노출된 조류 외관. 884
그림 III-1-17-8. 부검당시의 뿔논병아리 외관. 885
그림 III-1-17-9. 뿔논병아리 부검. 885
그림 III-1-17-10. 논병아리 및 뿔논병아리의 병리해부 소견. 886
그림 III-1-18-1. 육상포유류 조사지점. 895
그림 III-1-18-2. 수달 서식실태 조사대상 수계도. 895
그림 III-1-18-3. 육상포유류 관련사진. 905
그림 III-1-18-4. 조사지역 현황. 907
그림 III-1-18-5. 상괭이가 발견된 지점. 909
그림 III-1-18-6. 계절별 조사시 조사해역에 출현한 상괭이. 909
그림 III-1-18-7. 계절별 상괭이 분포율. 911
그림 III-1-18-8. 조사지역에서 발견된 상괭이 폐사체와 부검장면. 912
그림 IV-3-1-1. 방재작업으로 인한 생태계훼손 지역 위치도. 959
그림 IV-3-1-2. 도로 확장·신규 조성지 세부 위치도. 960
그림 IV-3-1-3. 도로 확장·신규조성 현황. 961
그림 IV-3-1-4. 해안사구 훼손 현황. 962
그림 V-2-1-1. 태안해안국립 공원 전경. 968
그림 V-2-1-2. 태안해안국립공원의 탐방객 현황. 976
그림 V-2-2-1. 유류유출의 사회적 비용. 979
그림 V-3-1-1. 태안해안의 해변. 986
그림 V-3-1-2. 비시장재부문의 사회적 비용. 1000
그림 VI-2-2-1. 연성기질 해변의 자연 복원을 위한 이용지역과 자연보전지역. 1020
그림 VI-2-2-2. 멸종위기종과 서식지인 구름포 암반해안(b). 1021
그림 VI-2-2-3. 태안해안국립공원 유류오염 복원 대상지. 1021
그림 VI-2-2-4. 방재활동 진입로 시설로 인한 조간대 암반지역 훼손. 1022
그림 VI-2-2-5. 잘피류 모니터링과 수중조사. 1022
그림 VI-2-3-1. 훼손된 해안 사구와 포집기. 1023
그림 VI-2-3-2. 사구식물의 생활형에 맞는 환경 조성. 1024
그림 VI-2-4-1. 확장된 산길과 터널 지역. 1024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1507091 | 628.16833 -10-2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
0001507092 | 628.16833 -10-2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