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추진경위
목차
I. 계획의 개요 13
1. 기본계획(변경)의 수립배경 15
2. 기본계획(변경)의 목적 15
3. 기본계획(변경)의 수립기준 15
4. 기본계획(변경)의 범위 16
5. 계획의 수립절차 17
6. 계획수립의 기본원칙 18
II. 지역의 특성과 현황 19
1. 도시연혁 21
가. 김해시 지역변천사 21
나. 도시개혁 연혁 23
2. 도시현황 25
가. 일반현황 25
나. 자연환경 27
다. 인문환경 32
라. 도시생활환경 40
3. 상위 및 관련계획 51
가. 제4차 국토종합계획 수정계획(2006~2020년) 51
나. 부산 경남권 광역개발계획(1995~2011년, 건설교통부) 55
다. 제3차 경상남도 종합계획 수정계획(2008~2020년) 57
라. 2020년 부산권 광역도시계획(변경) 60
마. 2020년 마산·창원·진해권 광역도시계획 63
바. 2020년 김해도시기본계획(기정) 67
4. 도시개발의 문제점 및 발전잠재력 69
가. 도시개발의 문제점 및 제약여건 69
나. 개발잠재력 70
III. 도시기본구상 71
1. 도시의 미래상 73
가. 여건변화 전망 73
나. 정책이슈 74
2. 계획의 목표와 전략 75
가. 목표 및 전략 75
나. 추진방안 76
3. 도시지표 설정 79
가. 인구지표 79
나. 도시경제지표 80
다. 도시주요지표 82
4. 공간구조 구상 84
5. 생활권설정 및 인구배분계획 85
가. 생활권 설정 85
나. 생활권별 기능 및 인구배분계획 89
IV. 부문별 계획 93
1. 토지이용계획(변경) 95
가. 기본방향 95
나. 용도구분 기준설정 95
다. 개발가능지 분석 96
라. 용도별 소요면적 산정 99
바. 세부 토지이용계획 109
사. 단계별 계획 123
아. 관리지역 세분계획 128
자. 개발제한구역 해제지역의 관리계획 130
2. 기반시설계획(변경없음) 143
가. 교통계획 143
나. 물류계획 190
3. 도심 및 주거환경계획 (변경없음) 196
가. 도심 및 시가지 정비 196
나. 주거환경계획 200
4. 환경의 보전과 관리계획 (변경없음) 203
가. 기본방향 및 추진전략 203
5. 경관 및 미관계획(변경없음) 209
가. 현황분석 209
나. 기본방향 213
다. 유형별 경관계획 213
라. 권역별 경관형성 방안 217
마. 건축물 경관형성 방안 225
바. 경관관리 방안 226
6. 공원·녹지 계획(변경) 227
가. 현황분석 227
나. 공원·녹지계획 228
다. 공원시설 변경내역 232
라. 유원지시설 변경 내역 233
7. 방재 및 안전계획(변경없음) 235
가. 김해시 재난안전관리 시책 235
나. 도시방재계획 237
8. 경제·산업·사회·문화 개발 및 진흥계획 (변경없음) 239
가. 경제·산업개발계획 239
나. 사회·문화개발계획 241
V. 계획의 실행 245
1. 계획의 실행 247
가. 계획의 법적 시행체계 247
나. 계획의 행정적 지원방안 247
2. 재정 계획 248
가. 재정계획 248
나. 단계별 투자계획 251
[그림 II-2-1] 도시세력권도 26
[그림 II-2-2] 표고분석도 28
[그림 II-2-3] 경사분석도 28
[그림 II-2-4] 기상개황도 30
[그림 II-3-1] 수정계획의 기본틀 52
[그림 II-3-2] 약동하는 통합국토의 구도 53
[그림 II-3-3] 부산·경남광역권 개발구상 개념도 55
[그림 II-3-4] 계획의 기본목표 57
[그림 II-3-5] 동부경남 주요기능 및 주요사업 59
[그림 II-3-6] 부산 광역도시권 추진전략 60
[그림 II-3-7] 부산 광역도시권 공간구조·교통축·녹지축 61
[그림 II-3-8] 부산 광역도시권 지역별 기능분담 62
[그림 II-3-9] 마창진 광역도시권 공간구조·개발축 64
[그림 II-3-10] 마창진 광역도시권 교통축 65
[그림 II-3-11] 마창진 광역도시권 녹지축 65
[그림 II-3-12] 2016년 김해 도시기본계획(기정) 도시공간구조 68
[그림 III-2-1] 계획의 목표와 전략 75
[그림 III-4-1] 공간구조 구상도 84
[그림 III-5-1] 생활권 구분도 86
[그림 IV-1-1] 개발가능지 분석도 98
[그림 IV-1-2] 개별입지공장 분포 현황 114
[그림 IV-1-3] 2020년 김해도시기본구상도 - 기정 121
[그림 IV-1-4] 2020년 김해도시기본구상도 - 변경 122
[그림 IV-1-5] 단계별 계획도 127
[그림 IV-1-6] 개발제한구역의 조정 과정 130
[그림 IV-1-7] 근린생활권 단위의 집단취락군 정비 예시 135
[그림 IV-1-8] 조정가능지역의 해제절차 138
[그림 IV-2-1] 김해시 교통현황도 143
[그림 IV-2-2] 가로교통량 현황 및 서비스수준 분석도 149
[그림 IV-2-3] 교차로 회전교통량(pcu/h) 151
[그림 IV-2-4] 교통지구 구분도 154
[그림 IV-2-5] 도시교통정비중기계획의 김해시 광역교통체계구상 160
[그림 IV-2-6] 부산권 광역도로망 수용계획도 161
[그림 IV-2-7] 부산권 철도망 수용계획도 162
[그림 IV-2-8] 부산광역시 물류간선망 163
[그림 IV-2-9] 외부고속순환도로와 내부순환도로 연결체계 165
[그림 IV-2-10] 도로망 계획도 166
[그림 IV-2-11] 광역도로 장래 애로구간 확충계획도 167
[그림 IV-2-12] 도시도로 확충계획도 168
[그림 IV-2-13] 철도망 계획도 171
[그림 IV-2-14] 교통시설 계획도 175
[그림 IV-2-15] 경전철과 대중교통 환승체계 184
[그림 IV-2-16] 경전철과 부산지하철 환승계획 186
[그림 IV-2-17] 경전철과 연계한 대중교통지향 개발 187
[그림 IV-2-18] 물류·유통시설 계획도 191
[그림 IV-5-1] 김해시 경관권역 설정 217
[그림 IV-5-2] 동지역 동부권 경관관리 구상도 218
[그림 IV-5-3] 동지역 서부권 경관관리 구상도 219
[그림 IV-5-4] 대동면 경관관리 구상도 220
[그림 IV-5-5] 주촌면 경관관리 구상도 221
[그림 IV-5-6] 남부권 경관관리 구상도 222
[그림 IV-5-7] 서부권 경관관리 구상도 223
[그림 IV-5-8] 북부권 경관관리 구상도 224
[그림 IV-5-9] 경관관리 방안 226
[그림 IV-6-1] 공원녹지체계 구상도 230
[그림 IV-6-2] 공원·유원지 시설 변경내역도 234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1514758 | 711.40951993 -10-1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