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일러두기
책머리에

01 로마 제국은 어떻게 광대한 영토를 지배하게 되었는가
― 위대한 로마 제국의 탄생
02 지중해의 패자 카르타고와 로마 제국의 대격돌
― 제1차 포에니 전쟁
03 천재 전략가 한니발과 카르타고의 운명
― 제2차 포에니 전쟁
04 로마는 어떻게 아프리카를 지배하게 되었는가
― 제3차 포에니 전쟁
05 주변 민족과 노예들의 반란이 잦았던 이유는 무엇인가
― 카이사르 등장 이전의 혼란
06 카이사르는 어떻게 갈리아 정복에 성공했는가
― 천적과의 전쟁
07 클레오파트라는 왜 카이사르를 선택했는가
― 로마 영웅과 이집트 여왕의 밀애
08 카이사르는 왜 암살되었는가
― 카이사르와 원로원의 대결
09 클레오파트라는 왜 안토니우스와 결합했는가
― 로마를 뒤흔든 여왕의 야심
10 초대 황제 아우구스투스는 로마를 어떻게 지배했는가
― 훌륭한 독재자
11 네로 황제 이전의 로마 제국
― 서서히 다가오는 쇠락의 징후
12 네로는 왜 폭군이 되었는가
― 의심이 낳은 공포 정치
13 기독교는 어떻게 로마의 국교가 되었는가
― 로마 제국의 정신적 통일
14 ‘빵과 서커스’는 왜 로마의 상징이 되었는가
― 무료로 보급된 식량과 오락
15 로마 제국 최대의 판도를 획득한 5현제 시대
― 팍스 로마나 1세기
16 현제의 잔혹한 아들 콤모두스
― 심약한 청년을 황제로 만든 제국민의 비극
17 고트족은 어떻게 로마를 쇠망의 길로 이끌었는가
― 가공할 만한 적과의 전투
18 로마 군이 대패를 맛본 에데사의 전투
― 페르시아에 체포당한 황제
19 로마 제국에는 왜 30명이나 되는 참주가 출현했는가
― 황제가 자초한 제국의 쇠망
20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는 왜 제국을 4분할했는가
― 4분할 통치의 음양
21 콘스탄티누스는 왜 수도를 콘스탄티노플로 옮겼는가
― 역사에 길이 남을 세계
22 서로마와 동로마는 어떻게 구분되는가
― 두 번 다시 통합되지 못한 제국의 행방
23 게르만 민족의 대이동은 왜 일어났는가
― 급속도로 취약해진 로마의 군사력
24 고트족은 왜 로마를 침략했는가
― 잃어버린 영원의 도시
25 유스티니아누스 황제는 왜 로마 최후의 황제로 불리는가
― 로마 제국의 부활
26 황비 테오도라의 공과功過는 무엇인가
― 황제가 된 황비
27 로마를 전란으로 몰고 간 녹파와 청파의 싸움
― 서로 반목하는 두 당의 폭거
28 이슬람교는 어떻게 급속도로 발전할 수 있었는가
― 이슬람 세력의 확산
29 비잔틴 제국은 어떤 나라였는가
― 변모한 로마 제국
30 콘스탄티노플은 어떻게 함락되었는가?
― 세계사에 길이 남을 공방전

옮기고 나서
로마사 연표

이용현황보기

(한권으로 읽는)로마 제국 쇠망사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1514524 937 -10-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1514525 937 -10-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30가지 핵심 테마로 단숨에 읽는 로마사 !

『한 권으로 읽는 로마 제국 쇠망사』는 에드워드 기번이 1776년부터 12년에 걸쳐 완간한, 최초로 로마 제국의 역사를 학문적으로 개관한 역사서 <로마 제국 쇠망사>를 30가지 핵심 테마 중심으로 요약한 책이다. 아울러 기번이 절정기에서 쇠락의 길로 떨어지는 과정이야말로 최대의 테마라고 생각하여 <로마 제국 쇠망사>에서는 다루지 않았던 그 이전 시대, 로마 전반기의 주요한 사건들에 대한 설명도 추가했다. 따라서 이 책에서는 로마가 어떻게 이탈리아 반도를 점령하게 되었으며, 카르타고를 멸망시키고 아프리카를 수중에 넣었는지, 로마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인물인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갈리아 정복 과정, 카이사르와 클레오파트라의 죽음, 초대 황제 아우구스투스의 공적, 기독교는 어떻게 로마 제국에 뿌리를 내렸는가 등의 이야기까지 담고 있다. 역사상 최고의 전성기를 자랑하던 대로마 제국. 그 대제국이 얼마나 거대했으며 또 어떻게 쇠락했는지 처음부터 끝까지의 과정을 한눈에 살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