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들어가는 말_ 책의 나비효과

고대 : 기억의 역사가 시작되다

사후 세계 여행안내서_ 《사자의 서》
영웅 신화의 원조_ 호메로스 : 《일리아스》
하늘과 땅의 균형_ 공자 : 《논어》
세계의 기원이 된 책_ 유클리드 : 《기하학 원론》
책 중의 책_ 《구약성서》
희망의 서_ 《신약성서》
역사와 행복의 결합_ 아우렐리우스 아우구스티누스 : 《신국론》

중세 : 종교를 위한 책에서 학문을 위한 책으로

신의 마지막 계시_ 《코란》
영원을 향한 명상_ 《벽암록》
좌절과 몰락의 서사시_ 《니벨룽겐의 노래》
진리를 찾는 다른 방법_ 마이스터 에크하르트 : 《독일어 설교》

근대 : 세상을 정복한 책

중용의 파라다이스_ 토머스 모어 : 《유토피아》
민중서가 된 성서_ 마르틴 루터 : 《독일어 성서》
한 시대가 무너지다_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 : 《천체의 회전에 관하여》
자연 치유법의 고안_ 파라셀수스 : 《매우 놀라운 작품》
정확한 지도, 정확한 세계상_ 헤르하르뒤스 메르카토르 : 《아틀란티스 혹은 세계 구조에 관한 지리학적 고찰》
사람들을 사로잡은 로맨스_ 윌리엄 셰익스피어 : 《로미오와 줄리엣》
의학의 센세이션_ 윌리엄 하비 : 《동물의 심장과 혈액의 운동에 관한 해부학적 논고》
인간 중심주의로의 전환_ 르네 데카르트 : 《방법서설》
자연과학의 발견_ 갈릴레오 갈릴레이 : 《두 우주 체계에 대한 대화》
현대 정치철학의 토대_ 토머스 홉스 : 《리바이어던》
인간 사고의 ABC_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 : <극대·극소를 위한 새로운 방법>
완전히 새로운 물리학_ 아이작 뉴턴 : 《자연철학의 수학적 원리》
난파된 인생의 고독_ 대니얼 디포 : 《로빈슨 크루소》
풍자적 유토피아 소설_ 조너선 스위프트 : 《걸리버 여행기》
일반의지는 가능한가_ 장 자크 루소 : 《사회계약론》
만인을 위한 부?_ 애덤 스미스 : 《국부론》
폭군에 맞서_ 프리드리히 실러 : 《군도》
자유와 도덕법칙_ 이마누엘 칸트 : 《순수이성비판》
세계를 담은 작품_ 요한 볼프강 폰 괴테 : 《파우스트》

현대 : 생활 매체로서의 책

자유의 법_ 나폴레옹 보나파르트 : 《민법전》
사라진 인간_ 게오르크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 : 《정신현상학》
과학에 대한 경고_ 메리 셸리 : 《프랑켄슈타인》
파라다이스를 위한 투쟁 안내서_ 카를 마르크스와 프리드리히 엥겔스 : 《공산당 선언》
인간을 만든 자연_ 찰스 다윈 : 《종의 기원》
소시민을 조롱한 악동들_ 빌헬름 브슈 : 《막스와 모리츠》
정신적 노예화 거부_ 프리드리히 니체 :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억압된 내면을 들여다보라_ 지그문트 프로이트 : 《꿈의 해석》
만들어진 적_ 《시온 의정서》
혁명을 가져온 빛_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 《특수 상대성 이론과 일반 상대성 이론에 관하여》
핵물리학의 출발점_ 어니스트 러더퍼드 : <알파 입자와 가벼운 원자의 충돌>
방황하는 청춘을 위하여_ 헤르만 헤세 : 《황야의 이리》
여성과 아동에게도 권리를_ 아스트리드 린드그렌 : 《말괄량이 삐삐》
계몽의 추락에 대한 고민_ 테오도어 아도르노와 막스 호르크하이머 : 《계몽의 변증법》
성의 금기를 깨다_ 알프레드 킨제이 : 《킨제이 보고서》
생명의 암호_ 제임스 왓슨과 프랜시스 크릭 :
교양 있는 판타지_ J. R. R. 톨킨 : 《반지의 제왕》
강력한 설득 무기_ 마오쩌둥 : 《마오쩌둥 어록》
문화는 공존한다_ 새뮤얼 헌팅턴 : 《문명의 충돌》
자아실현에 대한 동경_ J. K 롤링 : 《해리 포터》

사진 · 그림출처

이용현황보기

책 vs 역사 : 책이 만든 역사, 역사가 만든 책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1523069 028.1 -10-29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1523070 028.1 -10-29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1523897 028.1 -10-29 부산관 서고(열람신청 후 2층 주제자료실) 이용가능
0001523898 028.1 -10-29 부산관 서고(열람신청 후 2층 주제자료실)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책의 나비효과를 주목하라!
“책은 인간과 같다.”(독일 극작가 게르하르트 하우프트만)
“책은 삶 자체이다.”(미국 여류 시인 에이미 로웰)
“책은 세상을 지배한다.”(프랑스 계몽사상가 볼테르)
“책은 세계를 알게 해준다.”(프랑스 실존주의 철학자 장 폴 사르트르)

이처럼 책은 단순히 책이 아니다. 책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책의 세계를 들여다보면 인류의 사고의 흐름이 보인다. 역사적 사건과 인물들의 얽히고설킨 연결고리들이 보인다. 책을 날조하고 오용하거나, 곧이곧대로 믿는 사람들의 욕망도 보인다. 우리가 책이 만든 역사, 역사가 만든 책을 주목해야 할 이유가 여기에 있다.

대표도서 50권으로 읽는 인류 역사의 빛과 그림자
《책 vs 역사》는 고대부터 현대까지, 즉 사후 세계 여행안내서인 《사자의 서》부터 자아실현에 대한 동경을 담은 《해리 포터》까지 인류가 기억해야 할 책 50권을 선정해, 그 책들이 영향을 준 역사.문화.정치 등의 다양한 면면을 살펴보는 책이다.
독일의 유명 저널리스트인 저자 볼프강 헤를레스는 필독도서 몇 백 권을 죽 나열해놓고 책의 내용과 저자 소개만 담아놓은 다른 책들과 달리 ‘사고의 역사’를 풀어내기 위해 노력했다. “세계 역사상 가장 막강한 힘을 가진 서적들의 배후에도 본보기와 선구자, 갖가지 상상과 아이디어, 유래를 알 수 없는 신화와 전설이 숨어 있”다고 말하는 그는 다양한 역사적 변혁의 시초에 과연 누구의 어떤 말과 글이 존재했는지 보여준다.
또한 50권을 선정한 기준에 대해서도 이론의 여지를 무시하거나 배타적 시각을 고수하고 있지 않으며, 좀 더 중요한 책과 그렇지 않은 책을 둘러싼 흥미로운 논쟁을 목적으로 함을 밝히고 있다. 즉 그동안 책과 역사의 관계에 목마른 사람들을 위한 일종의 안내서인 것이다.

책과 역사를 자유롭게 여행하도록 도와주는 안내서
이 책의 구성을 살펴보면, 고대.중세.근대.현대, 총 4부로 나뉘어 있으며, 한 챕터당 하나의 책을 다루고 있다. 본문에서는 그 책과 작가를 둘러싼 배경, 그 책이 역사에 끼친 영향 등을 중점적으로 살펴보고, 책의 구성과 줄거리, 작가의 사상과 생애, 숨겨진 이야깃거리 등은 각각 박스글로 본문 곳곳에 배치했다.
하인리히 슐리만은 호메로스의 《일리아스》와 함께 트로이를 어떻게 발견했는지, 《신약성서》는 유럽의 형성에 어떤 의미가 있는지, 《파우스트》는 국가사회주의자들에 의해 어떻게 오용되었는지, 제1차 세계대전 중 군인들의 배낭 속에 왜 《짜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가 있었는지, 《특수 상대성 이론과 일반 상대성 이론에 관하여》를 지은 아이슈타인은 달라이 라마와 어떻게 연관되어 있는지, 톨킨의 《반지의 제왕》은 어떻게 새로운 장르를 개척했는지, 《말괄량이 삐삐》는 여권과 아동권 신장에 어떻게 기여했는지 등등 대표도서의 핵심 내용과 인류 역사의 핵심 내용을 동시에 습득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책은 저자의 말대로 “A에서 Z까지 빠짐없이 섭렵해야 하는 학교 교과서가 아니다.” 처음부터 한 번에 읽지 않아도 좋다. 그냥 마음 내키는 대로 골라 읽어도 되고, 앞뒤로 왔다 갔다 하면서 읽어도 상관없다. 보고 싶은 내용을 찾기 쉽도록 시대별로 색깔을 구분해 놓았다. 그리고 내용에 대한 이해를 돕는 다양한 그림과 사진이 컬러로 배치되어 있다.

책은 또 어떻게 역사를 만들어갈까?
볼프강 헤를레스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세계를 움직이는 생각들은 앞으로도 계속 책을 통해 전파될 것이다. 책은 수천 년의 세월을 뛰어넘어 가장 뛰어난 매체이자 불굴의 매체로 그 위상을 유지해 왔다. 책을 없애는 것은 가능할지 몰라도, 책에 담긴 핵심적인 내용을 없애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렇다. 책은 이미 우리의 삶이 되었고, 지금도 계속해서 역사를 만들어가고 있다. 《책 vs 역사》는 독자들에게 앞으로 책과 역사의 관계가 어떻게 될지 생각해보는 계기를 만들어줄 것이다.

책속에서

알라딘제공
[P.15] 서적은 기억과 토론의 장이 되었고, 세 종교의 중심이 되었다.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가 바로 그것이다. 사람들은 이 세 종교를 가리켜 서적 종교라고도 부르는데, 그 까닭은 책이 그 중심부에 놓여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사상 최초의 서적은 다름 아닌 고대 이집트인이 만든 《사자의 서》였다.
- 고대: 기억의 역사가 시작되다
[P. 33] 기원을 전후해 공식적인 공자 숭배가 도입되었고, 그가 제시한 체계는 바른 행동과 권력 행사에 대한 요람이자 인간 상호 교류에 대한 보편적인 기준이 되었다. “공자 가라사대”라는 서두는 모두를 침묵하게 하는 정신적인 권력을 의미한다.
- 하늘과 땅의 균형_ 공자 : 《논어》
[P. 62] 아우구스티누스는 그의 신학적 구상을 역사에 적용시켜 역사철학적 사고의 토대를 마련했다. (…) 그의 사상이 없었더라면 중세 유럽도, 마르틴 루터의 종교개혁도 존재할 수 없었을 것이다. 마르크스주의에 이르는 유럽의 역사철학 역시 아우구스티누스가 제시한 구상안에 대한 세속적인 해석이라고 할 수 있다.
- 역사와 행복의 결합_ 아우렐리우스 아우구스티누스 : 《신국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