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연구요약 4

제1장 서론 23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3

1) 연구의 배경 23

2) 연구의 목적 28

2. 연구의 범위 28

1) 연구의 공간적 범위 28

2) 연구의 내용적 범위 31

3. 주요 연구내용 및 방법 31

1) 공공공간 현황진단모형의 필요성 제시 31

2) 국내외 공공공간 현황진단자료 구축 및 활용 사례 검토 32

3) 공공공간 현황진단(diagnostic)모형 제안 및 검토 32

4) 공공공간 현황진단모형 활용을 위한 정책 제언 33

4. 주요 선행연구와 본 연구의 차별성 33

1) 선행연구의 현황 33

2)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36

5. 연구 추진 과정 38

제2장 공공공간 현황진단모형 구축의 필요성 39

1. 공공공간의 질 : 세 가지 주요 관점 39

1) 공공공간의 질에 대한 논의 39

2) 공공공간의 질 : 세 가지 주요 관점 41

3) 공공공간의 질적 현황에 대한 객관적 진단 45

2. 공공공간 현황진단모형의 전제 : 통합적 접근 45

1) 서로 다른 공공공간들에 대한 통합적 접근 46

2) 공공공간과 인접필지에 대한 통합적 접근 46

3) 건축물과 필지내외부공간에 대한 통합적 접근 46

3. 공공공간 현황진단 도구로서의 공공공간 도식화의 필요성 47

1) 공공공간(외부공간) 도식화의 역사 48

2) 도시디자인 도구로서의 공공공간 도면 51

4. 공공공간 현황진단모형의 효용성 55

1) 통합적 접근을 위한 수단 55

2) 잠재요소 발굴ㆍ문제 진단 및 지속적 관리를 위한 수단 56

3) 사업 프로세스 투명화를 위한 근거 제공 57

제3장 국내 공공공간 현황자료 구축과 활용 현황 58

1. 국내 공공공간 관련 계획의 현황조사 항목 58

1) 도시단위 : 도시기본계획, 도시경관계획 58

2) 지구단위 : 지구단위계획 63

3) 가로단위 : 가로환경개선사업 69

2. 공공공간 현황자료 작성 형태 74

1) 도면 74

2) 사진 76

3) 수량 데이터 77

3. 국내 지자체 공공공간 현황자료 구축ㆍ활용 및 관리 현황 78

1) 지자체 지리정보시스템 구축 현황 78

2) 공공공간 현황자료 활용 및 관리 현황 80

4. 소결 82

제4장 해외 공공공간 현황진단모형 구축 및 활용 사례 분석 84

1. 해외 공공공간 현황진단모형 유형 84

1) 도시 공공공간 전반의 정비전략 수립을 위한 도구로서의 현황진단모형 84

2) 공공건축에의 보행접근성 개선을 위한 도구로서의 현황진단모형 86

3) 민간소유 공공공간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수단으로서의 현황진단모형 88

4) 지속가능한 도시계획을 위한 현황진단 모형 89

2. 해외 공공공간 현황진단모형 구성요소 및 체계 91

3. 해외 공공공간 현황진단모형 작성 형태 101

4. 해외 공공공간 현황진단모형의 활용 및 관리 현황 105

5. 소결 109

제5장 기성시가지 공공공간 현황진단모형 제안 111

1. 공공공간 현황진단모형 구성요소 도출 112

1) 공공공간 현황진단모형 구성요소 도출 프로세스 112

2) 공공공간 현황진단모형 구성요소 및 조사항목 121

2. 공공공간 현황진단모형의 주요 관점별 평가기준 및 긍정ㆍ문제 요소 도출 143

1) 매력도 143

2) 접근성 146

3) 연계성 148

3. 공공공간 현황진단모형 평가기준의 중요도 검토 150

1) 전문가 설문조사의 개요 150

2) 평가기준 중요도 검토 결과 151

4. 공공공간 현황진단모형 제안 157

1) 도시 단위 158

2) 지구 단위 159

3) 가로 단위 161

4) 필지 단위(건축물과 주변부) 163

5. 공공공간 현황진단모형 검토 164

1) 시범적용 대상지 개요 164

2) 기성시가지 공공공간 현황진단모형 적용 164

3) 기성시가지 공공공간 현황진단모형 시범적용 주요 결과 분석 194

제6장 공공공간 현황진단모형 운용방식 및 활용 방안 198

1. 공공공간 현황진단모형 운용 및 활용 방안 198

1) 도시 단위 공공공간 계획 수립에 있어서 공공공간 현황진단모형 운용 198

2) 지구 단위 공공공간 계획 및 사업 추진에 있어서 공공공간 현황진단모형 운용 199

3) 필지 단위 공공공간 개선 사업 추진에 있어서 공공공간 현황진단모형 운용 : 공공 건축 주변부 통합 환경 조성 200

2. 국가공간정보체계 (KOPSS)와 연계 방안 모색 201

1) 공공공간 현황의 자료모형과 정보화의 필요성 201

2) 국가공간계획지원체계와 연계 방안 모색 202

제7장 결론 및 정책 제언 208

1. 연구 성과와 한계 208

2. 정책 제언 210

1) 도시디자인부서를 중심으로 한 공공공간 현황자료 구축 및 활용 210

2) 기존 공공공간 관련 계획 수립지침의 기초조사 항목 추가 검토 211

3) 국가공간계획지원체계(KOPSS)와 연계 가능성 모색 212

참고문헌 213

Summary 217

[부록 1] 공공공간 현황진단모형 평가기준 도출을 위한 전문가 설문조사 222

[부록 2] 공공공간에 관한 시민 인식 조사 228

[부록 3] 공공공간에 관한 시민 인식 조사 결과 232

표목차

[표 1-1] 도시재생 추진 단계별 공공부문의 역할 25

[표 1-2] 공공공간 분류 29

[표 1-3] 공공건축 분류 29

[표 1-4] 본 연구와 선행 연구와의 차별성 37

[표 2-1] 코펜하겐, 옥스퍼드, 취리히의 공공공간 관련정책ㆍ계획의 주요내용 40

[표 2-2] 중앙정부 주도 주요 공공공간 7대선 사업 41

[표 2-3] 해외사례에서 보이는 공공공간 가치 부여의 주요 관점 42

[표 2-4] 공공공간 현황진단모형의 주요 관점 42

[표 3-1] 도시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조사 항목 중 공공공간 관련 항목 59

[표 3-2] 경관계획 수립을 위한 경관자원 조사항목 60

[표 3-3] 안양시 도시기본계획의 부문별 계획 중 공공공간 관련 현황조사 항목 60

[표 3-4] 서울시 기본경관계획 중 경관자원 조사의 경관유형별 분석 대상 61

[표 3-5] 서울시 기본경관계획 중 경관자원 조사의 경관유형별 진단 및 전략 61

[표 3-6] 청주시 경관계획의 경관현황 조사 내용 62

[표 3-7] 인사동 지구단위계획 기초조사 중 공공공간 관련 현황조사 항목 64

[표 3-8] 인사동 지구단위계획의 공공공간 현황 진단과 개선방향 65

[표 3-9] 명동관광특구 지구단위계획 기초조사 중 공공공간 관련 현황조사 항목 66

[표 3-10] 명동관광특구 지구단위계획 현황조사 방법 67

[표 3-11] 명동관광특구 제 1종지구단위계획 공공공간 현황 진단과 개선방향 68

[표 3-12] 만안구 공공디자인 시범사업 공공공간 현황 진단과 개선방향 69

[표 3-13] 노유거리가꾸기 사업 공공공간 관련 현황조사 항목 70

[표 3-14] 노유거리가꾸기 사업 공공공간 현황 진단과 계획 71

[표 3-15] 영등포구 공공디자인 시범사업 현황조사 항목 72

[표 3-16] 청주 중앙로 차없는거리 공공디자인사업 기초조사 항목 73

[표 3-17] 공간단위별 공공공간 현황 도면 작성 사례 75

[표 3-18] 청주시 지리정보시스템 데이터 구축 현황 79

[표 4-1] '파리와 그 지구들' 의 주요 내용 구성 85

[표 4-2] 공공공간의 질과 관련된 주요 이슈 92

[표 4-3] 취리히 공공공간 현황조사 중 공공공간 유형화 기준 94

[표 4-4] 취리히 공공공간 현장조사시 기록 사항 94

[표 4-6] 런던 보행환경 현황진단 조사항목 및 방법 95

[표 4-5] 제네바 보행공간계획(Plan Pieton)의 현황진단도면 95

[표 4-7] 도로 환경의 결정 요소(ARTISTS) 98

[표 4-8] 조사된 164개의 도로를 유형화하기 위한 9가지 구성요소(ARTISTS) 99

[표 4-9] 공공공간 중요도 판단기준(취리히) 102

[표 4-10] 현황진단에 의한 잠재ㆍ문제 요소 도출에 따른 도시 정비방향 설정 사례 105

[표 5-1]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공공공간 구성요소 113

[표 5-2] 인사동, 명동관광특구 제1종 지구단위계획과 노유거리가꾸기 사업 공간분석체계 114

[표 5-3] 취리히와 런던 공공공간 현황분석 보고서의 공공공간 조사항목 및 세부사항 116

[표 5-4] 공공공간 유형별 개선 계획 및 사업 내용 119

[표 5-5] 디자인서울 공공디자인 대상 분류 121

[표 5-6] 디자인성동 가이드라인 공간분류 121

[표 5-7] 공공공간 현황진단 구성요소 분류체계 121

[표 5-8] 주요 연구에서 제시한 공공공간 쾌적성 요인 143

[표 5-9] 매력도 관련 공공공간 현황진단모형 구성요소와 양적ㆍ질적 평가기준 144

[표 5-10] 매력도 관련 공공공간 현황진단모형 구성요소와 긍정ㆍ문제 요인 145

[표 5-11] 접근성 관련 공공공간 현황진단모형 구성요소와 양적ㆍ질적 평가기준 147

[표 5-12] 매력도 관련 공공공간 현황진단모형 구성요소와 긍정ㆍ문제 요인 147

[표 5-13] 연계성 관련 공공공간 현황진단모형 구성요소 149

[표 5-14] 연계성 관련 공공공간 현황진단모형 구성요소와 긍정ㆍ문제 요인 150

[표 5-15] 설문조사 응답자 특성 151

[표 5-16] 공공공간 진단관점의 중요도 152

[표 5-17] 매력도 평가기준의 중요도 152

[표 5-18] 매력도와 관련된 긍정적 요인과 문제 요인에 관한 전문가 인식 154

[표 5-19] 접근성 평가기준의 중요도 155

[표 5-20] 접근성과 관련된 긍정적 요인과 문제 요인에 관한 전문가 인식 156

[표 5-21] 연계성 평가기준의 중요도 157

[표 5-22] 도시단위 공공공간 현황진단모형_매력도 158

[표 5-23] 도시단위 공공공간 현황진단모형_연계성 159

[표 5-24] 지구단위 공공공간 현황진단모형_매력도 159

[표 5-25] 지구단위 공공공간 현황진단모형_접근성 160

[표 5-26] 지구단위 공공공간 현황진단모형_연계성 161

[표 5-27] 가로단위 공공공간 현황진단모형_매력도 161

[표 5-28] 가로단위 공공공간 현황진단모형_접근성 162

[표 5-29] 가로단위 공공공간 현황진단모형_연계성 162

[표 5-30] 필지 단위(건축물과 주변부) 공공공간 현황진단모형_매력도 163

[표 5-31] 필지 단위(건축물과 주변부) 공공공간 현황진단모형_접근성 163

[표 5-32] 기성시가지 공공공간 현황진단모형에 의한 도시 보행공간 현황 분석 194

[표 5-33] 기성시가지 공공공간 현황진단모형에 의한 녹지체계 분석 195

[표 5-34] 기성시가지 공공공간 현황진단모형에 의한 접근성 분석 195

[표 5-35] 기성시가지 공공공간 현황진단모형에 의한 가로공간 분석 196

[표 5-36] 기성시가지 공공공간 현황진단모형에 의한 공공건축 주변부 197

[표 6-1] KOPSS의 컴포넌트로 개발된 분석 모형 203

그림목차

[그림 1-1] 대구 동성로 공공디자인사업(2008) 25

[그림 1-2] 서울 명동 가로 정비(2009) 25

[그림 1-3] 오픈스페이스 전략의 준비단계 27

[그림 1-4] 공공공간 현황진단 대상 28

[그림 1-5] 연구 추진 과정 38

[그림 2-1] 영주시 건축디자인시범사업 사업계획 46

[그림 2-2] 놀리의 로마 지도(1748) 49

[그림 2-3] 오스만의 파리개조계획(1867) 49

[그림 2-4] 까밀로 지테, 비엔나링의 서부지역에 대한 제안 50

[그림 2-5] 피에르 파트 작성 파리지도 : 광장조성을 위한 공공공간 재정비 51

[그림 2-6] 케빈 린치 보스톤 분석 도면 : 도시이미지의 문제요소 51

[그림 2-7] 베니스와 파리 도시 공간 분석 도면 중 일부(E.Bacon. 1969) 52

[그림 2-8] 옥스퍼드 공공영역 전략(Public Realm Strategy, 2000) 53

[그림 2-9] 파리 포르트드샤펠지구 보행공간 현황 및 개선안 (APUR, 2009) 54

[그림 2-10] 파리 베르시샤랑통지구 보행공간 현황 및 개선안 (APUR, 2008) 54

[그림 2-11] 공간의 투명성에 대한 도식화 (Conceptual Representation of Transparency of Space) 55

[그림 3-1] 인사동 지구단위계획의 기초조사 중 외부공간의 이용현황 도면 64

[그림 3-2] 인사동 지구단위계획의 기초조사 중 주요가로별 보행량(보행자수/시간) 도면 64

[그림 3-3] 명동 지구단위계획 기초조사 중 보행횡단 불가구간 및 횡단보도 설치지점 도면 67

[그림 3-4] 명동 지구단위계획 기초조사 중 외부공간 현황 도면 67

[그림 3-5] 만안구 공공디자인 시범사업 현황조사 중 기반시설 도면(좌:공원, 우:공공기관) 69

[그림 3-6] 영등포구 공공디자인 시범사업 기초조사 중 가로단면도 72

[그림 3-7] 영등포구 공공디자인 시범사업 기초조사 중 일조분석 도면 72

[그림 3-8] 청주 중앙로 차없는거리 공공디자인사업 건축물 분포 조사 73

[그림 3-9] 청주 중앙로 차없는거리 공공디자인사업 가로시설물 현황조사 73

[그림 3-10] 영등포구 공공디자인 시범사업 가로경관 현황 사진 76

[그림 3-11] 통영시 도시경관계획 경관현황 분석 사진 76

[그림 3-12] 영등포구 공공디자인 시범사업-가로구조물 현황표 77

[그림 3-13] 통영시 도시경관계획 시민의식조사-경관 훼손 요소 77

[그림 4-1] 스위스 제네바 보행공간계획(2001) 87

[그림 4-2] 분류의 초안 (ARTISTS final report D-1, p. 28) 90

[그림 4-3] 일반적인 도시계획 과정과 도로 분류체계와의 연계방안 91

[그림 4-4] 『파리와 그 지구들』 공공공간 구성요소를 표현한 도면 92

[그림 4-5] POPS 현황분석을 위한 조사 항목 시트 97

[그림 4-6] 도로 분류체계와 도로 환경 결정 요소 98

[그림 4-7]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9가지 구성요소 항목으로 재분석한 5가지 도로의 유형 100

[그림 4-8] 파리시 도시설계원(APUR)의 '파리와 그 지구들(Paris et ses quartiers)' : 공공공간 및 공공시설을 중심으로 잠재요소와 문제점 분석 101

[그림 4-9] 공공공간 중요도 맵 102

[그림 4-10] 현장조사에서 작성한 도면과 전산입력 103

[그림 4-11] 도면화된 도로 환경 구성 요소(ARTISTS) 104

[그림 4-12] 9개의 공간유형과 7개의 요소유형에 의한 공공공간 분석 106

[그림 4-13] 홈페이지에 제공되는 POPS의 정보 107

[그림 4-14] 가로 요소 정보 팩 108

[그림 4-15] 설계 대안과 현재 상황을 각 항목별로 정량적으로 비교 108

[그림 5-1] 기성시가지 공공공간 현황진단모형 구축 프로세스 111

[그림 5-2] 공공공간 현황진단모형 구성요소 도출 프로세스 112

[그림 5-3] 에리쓰(Erith)의 공간유형 구분 116

[그림 5-4] 건축물 입면 분류에 따른 공공공간 분석 모형(취리히, 런던) 118

[그림 5-5] 청주시 구도심 공공공간 현황조사도면 120

[그림 5-6] 코펜하겐도시공간계획(도시전체) 148

[그림 5-7] 코펜하겐도시공간계획(지역) 148

[그림 5-8] 주요간선도로에 의해 단절되는 소로 네트워크 149

[그림 5-9] 주요간선도로 (보행장애요소) 149

[그림 5-10] 매력도와 관련된 긍정적 요인과 문제 요인에 관한 전문가 인식 155

[그림 5-11] 접근성과 관련된 긍정적 요인과 문제 요인에 관한 전문가 인식 156

[그림 5-12] 기성시가지 공공공간 현황진단모형 제안 158

[그림 6-1] 도시 단위 공공공간 계획 수립에 있어서 공공공간 현황진단모형 운용 198

[그림 6-2] 지구 단위 공공공간 계획 수립에 있어서 공공공간 현황진단모형 운용 199

[그림 6-3] 도시/지구/필지 차원 현황진단에 의한 공공건축 주변부 개선 방향 설정 200

[그림 6-4] 공공건축과 공공공간 통합 계획 수립에 있어서 공공공간 현황진단모형 운용 201

[그림 6-5] KOPSS 응용시스템 구성도 203

[그림 6-6] 공공공간 현황진단 모형 컴포넌트 204

[그림 6-7] 공공공간 구성요소 중 건물 전면부에 대한 온톨로지 205

[그림 6-8] UrbanGauge Interface 206

이용현황보기

기성시가지 공공공간 현황진단모형 개발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1535682 711.5 -10-3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1535683 711.5 -10-3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