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판권기

목차

발간사 / 이애주 8

평가사업 추진과정 개요 14

I. 파독간호사의 이주 경험과 생활 / 권숙인 21

1. 들어가기 23

2. 독일 이주의 배경과 동기 27

1) 경제적 동기 27

2) 선진문명에 대한 동경, 개인적인 꿈 30

3) 구조적인 이주 경로 31

3. 독일에서의 생활과 일 35

4. 결혼과 가족생활 41

1) 한국남성과의 결혼 41

2) 국제결혼 43

3) 자녀들과의 관계 44

5. 독일 체류, 재이주, 귀국 46

1) 독일체류 47

2) 귀국 50

3) 독일마을 52

6. 파독의 의미와 의의 55

참고문헌 62

II. 간호요원의 서독 파견 과정 / 도면회 63

1. 간호요원 파독의 역사적 배경 65

1) 해방 이전 한국과 독일의 교류 관계 65

2) 해방 이후 1960년대 초까지의 한독관계 71

2. 간호요원 파독의 필요성 75

1) 독일의 간호인력 부족과 개발 원조 75

2) 한국의 실업 해소와 외화 획득 필요 78

3. 간호요원 파독의 시기별 변화 81

1) 민간 주도 시기(1957~1965) 81

2) 정부·민간 동시 주도기(1966~1969) 84

3) 정부 주도 시기(1969~1976) 87

4. 간호요원 파독이 한국사회에 미친 영향 93

1) 한국 경제 발전에 대한 기여 93

2) 한국의 대외 관계에 대한 기여 97

참고문헌 100

III. 파독간호의 역사와 사회발전기여론의 재검토 / 정근식 ; 은영 101

1. 간호사 파독 프로젝트를 바라보는 시각 103

2. 간호인력의 파독 프로젝트의 역사 108

1) 파독의 경로와 변화 108

2) 귀환, 재이주, 잔류 121

3. 파독 프로젝트의 사회적 효과 127

1) 차관담보설과 발전국가의 신화화 128

2) 경제적 기여의 문제 130

3) 한국의 간호계에 끼친 영향 135

4. 맺음말: 파독간호 프로젝트의 의의 139

참고문헌 141

IV. 파독간호사의 간호업무경험에 대한 고찰 / 김동옥 147

1. 들어가는말 149

2. 연구방법 153

1) 연구대상자 및 연구기간 153

2) 자료수집방법 153

3) 자료분석 154

4) 연구의 제한점 154

3. 결과 및 논의 156

1) 파독간호사의 업무수행을 위한 예비교육과 전문실무교육 및 경력개발 156

2) 간호업무수행 및 직장생활과 관련된 경험 161

4. 파독간호사 경험과 그 의미 183

1) 파독간호사 스스로 평가한 파독경험에 대한 의미 183

2) 파독간호사가 인식하는 주위 평가: 환자와 그 가족, 동료, 상사 188

3) 독일간호행정가의 시각에서 본 파독간호사 189

4) 독일간호계와 한국간호계에 미친 영향 191

5. 맺는 말 194

참고문헌 196

별첨자료 197

별첨자료 1. 파독간호 관련 참조자료 목록 197

1. 국가기록정보포탈 간호요원 및 광부독일파견 문서목록 199

2. 관련 저서 및 논문 목록 228

3. 주요 언론보도 목록 232

4. 군 간호장교 파독에 관한 자료 240

5. 해외 인력 수출 절차 251

별첨자료 2. 평가사업 진행과정(상세) 253

별첨자료 3. 정책토론회 원고 301

이용현황보기

파독간호 평가사업 최종보고서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1602213 610.73 -11-7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