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연구요약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3
1. 연구의 필요성 및 배경 13
2. 연구 목적 18
3. 연구 내용 및 방법 19
가. 연구 세부 내용 19
나. 연구 방법 및 절차 20
4. 연구 결과의 활용 및 기대성과 25
가. 연구 결과의 활용 방안 25
나. 기대성과 26
Ⅱ. 국내외 수학과 교육과정 개정 관련 연구 28
1. 국외 연구 현황 28
가. 핵심역량 28
나. 수학적 창의성의 개념 29
다. 외국 수학과 교육과정의 동향 30
2. 국내 연구 현황 32
3. 창의 중심의 교육과정 관련 선행 연구 34
가. 창의 중심의 미래형 수학과 교육과정 모형 연구 34
나. 창의 중심의 수업 내실화 및 평가 방안 연구 39
다. 우리나라 초ㆍ중등학교 수학교육 발전 방안 기획연구 41
Ⅲ. 수학과 교육과정의 개정 주요 방향 및 특성 46
1. 교육과정 개정 배경 및 방향 46
가. 수학적 창의성 강조 47
나. 수학교육에서 인성의 강조 50
다. 수학적 과정의 강화 52
라. 수학 교과 내용 양의 20% 경감 53
마. 교육과정의 체제에서 학년군제를 염두에 둔 학년별제 적용 54
2. 창의 중심 교육과정과 수학적 과정의 연계 55
가. 수학적 과정의 의미 55
나. 본 연구를 위한 ‘수학적 과정’ 마련 절차 56
다. 본 연구에서의 수학적 과정의 내용 요소 60
3. 수학과 교육과정 내용 선정과 조직 61
가. 성격 61
나. 목표 68
다. 교수ㆍ학습 방법 73
라. 평가 80
Ⅳ. 수학과 교육과정 개정의 주요 내용 83
1. 초등학교 83
가. 수와 연산 84
나. 도형 89
다. 측정 98
라. 관계 104
마. 확률과 통계 106
2. 중학교 110
가. 수와 연산 111
나. 문자와 식 117
다. 함수 120
라. 확률과 통계 123
마. 기하 126
3. 고등학교 129
가. 수학 Ⅰ 129
나/가. 수학 Ⅰ 134
다/나. 수학 Ⅱ 139
라/다. 미적분 Ⅰ 145
마/라. 미적분 Ⅱ 147
바/마. 기하와 벡터 153
사/바. 확률과 통계 158
Ⅴ. 수학과 교육과정 내용의 현행과 시안 비교 162
1. 초등학교 162
가. 수와 연산 162
나. 도형 173
다. 측정 180
라. 관계 187
마. 확률과 통계 191
2. 중학교 195
가. 수와 연산 195
나. 문자와 식 198
다. 함수 202
라. 확률과 통계 204
마. 기하 206
3. 고등학교 211
가. 수학 Ⅰ 211
나. 수학Ⅱ 215
다. 미적분 Ⅰ 221
라. 미적분 Ⅱ 225
마. 기하와 벡터 232
바. 확률과 통계 236
Ⅵ. 2009년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시안 240
1. 수학 240
가. 성격 240
나. 목표 241
다. 내용 242
라. 교수ㆍ학습 방법 272
마/라. 평가 275
2. 수학 Ⅰ 277
가. 성격 277
나. 목표 278
다. 내용 278
라. 교수ㆍ학습 방법 282
마. 평가 285
3. 수학 Ⅱ 287
가. 성격 287
나. 목표 5 288
다. 내용 288
라. 교수ㆍ학습 방법 292
마/라. 평가 295
4. 미적분Ⅰ 297
가. 성격 297
나. 목표 298
다. 내용 298
라. 교수ㆍ학습 방법 302
마/라. 평가 305
5. 미적분 Ⅱ 307
가. 성격 307
나. 목표 308
다. 내용 308
라. 교수ㆍ학습 방법 312
마/라. 평가 315
6. 기하와 벡터 317
가. 성격 317
나. 목표 318
다. 내용 318
라. 교수ㆍ학습 방법 321
마/라. 평가 324
7. 확률과 통계 326
가. 성격 326
나. 목표 326
다. 내용 327
라. 교수ㆍ학습 방법 330
마/라. 평가 333
Ⅶ. 요약 및 제언 335
참고문헌 337
부록 342
[부록 1] 수학과 교육과정 개정 시안 관련 설문 조사지 343
[부록 2] 수학과 교육과정 개정 방안 관련 설문 조사 분석 372
[부록 3] 협의회 및 집중작업 440
[그림 Ⅰ-1] 연구 내용 절차 21
[그림 Ⅱ-1] 수학적 과정의 구성 요소 37
[그림 Ⅱ-2] 수학적 과정과 내용 영역의 관계 37
[그림 Ⅲ-1] 수학적 과정과 창의성의 관계 49
[그림 Ⅳ-1] 실생활 문제의 수학화 과정 112
[그림 Ⅳ-2] 선택 교과목의 개설 가능 유형 131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