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PartⅠ. 종합편 24

제1장 연구개요 25

1. 연구 배경 및 목적 26

1.1. 연구배경 및 필요성 26

1.2. 연구 목적 27

2. 연구 추진 내용 28

제2장 미래사회 전망 29

1. 환경변화 분석 30

1.1. 저출산 고령화의 심화 31

1.2. 생활양식 및 가치관의 변화 34

1.3. 시장개방 및 세계화의 확대 37

1.4. 환경오염 및 기후변화의 가속화 40

1.5. 첨단융복합 기술의 발전 43

1.6. 바이오경제의 고도화 46

2. 내외부관계자 니즈 분석 49

2.1. 내부 관계자 니즈 분석 49

2.2. 외부관계자 니즈 분석 54

2.3. 내외부 관계자 니즈 분석 시사점 58

3. 선진국 정책동향 분석 60

3.1. 미국 62

3.2. 일본 87

3.3. EU 91

4. 질병관리분야 기술의 미래상 101

제3장 연구사업 현황 분석 105

1. 연구사업 현황 분석 106

1.1. 연구사업 투자 분석 106

1.2. 연구사업 인력구조 분석 110

1.3. 연구사업 미션적합성 분석 118

1.4. 연구사업 환경변화 적합성 분석 120

1.5. 유사목적 연구사업 비교분석 122

1.6. 연구사업 운영현황 분석 123

제4장 로드맵 구축의 전략방향 도출 124

1. SWOT 분석 및 ERRC 분석 125

1.1. SWOT 분석 125

1.2. ERRC 분석 131

1.3. 로드맵 전략적 추진방향 134

PartⅡ. 분야별 로드맵 137

제1장 추진 개요 138

1. 추진 개요 139

1.1. 추진 방법 139

1.2. 추진 종합의견 140

제2장 Genome Project 분야 141

1. 분과 개요 142

2. 연구개발 수요 발굴 145

3. 연구개발의 지향점 168

4. 선택과 집중을 위한 전략 수립 170

5. 기술개발 타당성 평가 176

6. 로드맵 작성 186

제3장 Rare Disease Research 분야 195

1. 분과 개요 196

2. 연구개발 수요 발굴 198

3. 연구개발의 지향점 212

4. 선택과 집중을 위한 전략 수립 214

5. 기술개발 타당성 평가 219

6. 로드맵 작성 229

제4장 Emerging Disease Vaccine Research 분야 238

1. 분과 개요 239

2. 연구개발 수요 발굴 241

3. 연구개발의 지향점 254

4. 선택과 집중을 위한 전략 수립 256

5. 기술개발 타당성 평가 262

6. 로드맵 작성 274

제5장 Environmental Change Adaptation Research 분야 285

1. 분과 개요 286

2. 연구개발 수요 발굴 287

3. 연구개발의 지향점 301

4. 선택과 집중을 위한 전략 수립 303

5. 기술개발 타당성 평가 308

6. 로드맵 작성 317

제6장 National Standardization 분야 325

1. 분과 개요 326

2. 연구개발 수요 발굴 328

3. 연구개발의 지향점 343

4. 선택과 집중을 위한 전략 수립 345

5. 기술개발 타당성 평가 350

6. 로드맵 작성 359

PartⅢ. 부록 368

[부록 1] 환경변화요인 PESTLE 분석 369

[부록 2] 내외부관계자 R&D 니즈 인터뷰 결과 377

[부록 3] 미국 NIH 내부 연구과제 리스트 380

[부록 4] 분과별 논문 동향 분석 438

[부록 5] 연구사업 로드맵 구축 워크샵 487

[부록 6] 연구사업 로드맵 구축 공청회 490

표목차

[표 Ⅰ-2-1] 출산율 변화 추이 31

[표 Ⅰ-2-2] 세계 고령화 지수 32

[표 Ⅰ-2-3] 건강보험상 노인의료비 추이 33

[표 Ⅰ-2-4] 사망원인 순위 추이 34

[표 Ⅰ-2-5] 정신질환 유병률 36

[표 Ⅰ-2-6] 해외유입전염병 발생현황 38

[표 Ⅰ-2-7] 예방접종 실시 전염병 백신 확보 여부 38

[표 Ⅰ-2-8] 한국의 최고기술보유건수 39

[표 Ⅰ-2-9] 기후변화와 관계된 전염병 42

[표 Ⅰ-2-10] 주요국가의 기술개발 동향 43

[표 Ⅰ-2-11] 2012년 홈&모바일 헬스케어군 시장규모 44

[표 Ⅰ-2-12] 선진국 유사기관 정책 현황 60

[표 Ⅰ-2-13] NIH의 기금 프로그램의 종류 64

[표 Ⅰ-2-14] NIH 산하 기관의 미션, 비전 및 업무영역 66

[표 Ⅰ-2-15] 5년간 NIH의 예산 실적 및 예상 72

[표 Ⅰ-2-16] NIH 연구비 상위 20개 분야 연구비 75

[표 Ⅰ-2-17] CDC의 주요 업무 및 세부업무 프로그램 80

[표 Ⅰ-2-18] CDC 기관의 미션 및 업무영역 81

[표 Ⅰ-2-19] CDC 예산 84

[표 Ⅰ-2-20] NIID의 부서별 연구 내용 88

[표 Ⅰ-2-21] ECDC의 프로그램 관련 98

[표 Ⅰ-2-22] ECDC의 장기 감시 전략을 위한 로드맵 99

[표 Ⅰ-3-1] 질병관리본부 연구사업의 미션 주요내용 106

[표 Ⅰ-3-2] 질병관리본부 2010년 연구사업의 환경변화요인별 분류 120

[표 Ⅰ-3-3] 타기관 유사연구과제 현황 122

[표 Ⅰ-4-1] 질병관리 R&D의 기회요인과 위협요인 127

[표 Ⅰ-4-2] 질병관리 R&D의 강점과 약점 129

[표 Ⅰ-4-3] 질병관리본부 연구사업 ERRC 영역 133

[표 Ⅱ-2-1] 환경변화 요인에 따른 연구개발 수요 145

[표 Ⅱ-2-2] 현안동인 이슈별 연구개발 수요 149

[표 Ⅱ-2-3] 이해관계자별 연구개발 수요 153

[표 Ⅱ-2-4] 선진국 연구개발 동향 155

[표 Ⅱ-2-5] 미국 NCB, NCL 연구기관 정보 160

[표 Ⅱ-2-6] UK바이오뱅크, NCL, 일본 바이오뱅크 연구기관 정보 161

[표 Ⅱ-2-7] 선진국 현황분석에 따른 연구개발 수요 162

[표 Ⅱ-2-8] 기술동향 분석에 따른 연구개발 수요 163

[표 Ⅱ-2-9] 동인별 연구개발수요 165

[표 Ⅱ-2-10] 연구개발 수요체계도 167

[표 Ⅱ-2-11] 목적ㆍ목표지향적인 연구개발 수요 169

[표 Ⅱ-2-12] 연구개발의 단계별 성과목표 170

[표 Ⅱ-2-13] SWOT 요인 분석 173

[표 Ⅱ-2-14] 전략방향 도출 174

[표 Ⅱ-2-15] ERRC Matrix 175

[표 Ⅱ-2-16] 평가지표 176

[표 Ⅱ-2-17] 기술개발 타당성 평가 결과 177

[표 Ⅱ-2-18] 분야별 연구개발 수행전략 185

[표 Ⅱ-3-1] 환경변화 요인에 따른 연구개발 수요 198

[표 Ⅱ-3-2] 현안동인 이슈별 연구개발 수요 201

[표 Ⅱ-3-3] 이해관계자별 연구개발 수요 204

[표 Ⅱ-3-4] 선진국 연구 기관 정보 205

[표 Ⅱ-3-5] 선진국 현황분석에 따른 연구개발 수요 207

[표 Ⅱ-3-6] 기술동향 분석에 따른 연구개발 수요 208

[표 Ⅱ-3-7] 동인별 연구개발수요 209

[표 Ⅱ-3-8] 연구개발 수요체계도 211

[표 Ⅱ-3-9] 기술체계도 213

[표 Ⅱ-3-10] 연구개발의 단계별 성과목표 214

[표 Ⅱ-3-11] 희귀질환 집중연구의 강점, 약점과 기회요인, 위협요인 216

[표 Ⅱ-3-12] 희귀질환 집중연구 SWOT Matrix 217

[표 Ⅱ-3-13] 희귀질환 집중연구 ERRC 분석 218

[표 Ⅱ-3-14] 평가지표 219

[표 Ⅱ-3-15]/[표 Ⅱ-2-15] 분야별 연구개발 수행전략 228

[표 Ⅱ-4-1]/[표 Ⅱ-4-17] 환경변화 요인에 따른 연구개발 수요 241

[표 Ⅱ-4-2]/[표 Ⅱ-4-18] 전세계 신종플루 사망자 244

[표 Ⅱ-4-3]/[표 Ⅱ-4-19] 현안동인 이슈별 연구개발 수요 245

[표 Ⅱ-4-4]/[표 Ⅱ-4-20] 이해관계자별 연구개발 수요 248

[표 Ⅱ-4-5]/[표 Ⅱ-4-21] 선진국 R&D 동향 249

[표 Ⅱ-4-6]/[표 Ⅱ-4-22] 선진국 현황분석에 따른 연구개발 수요 250

[표 Ⅱ-4-7]/[표 Ⅱ-4-23] 기술동향 분석에 따른 연구개발 수요 251

[표 Ⅱ-4-8]/[표 Ⅱ-4-24] 동인별 연구개발수요 252

[표 Ⅱ-4-9]/[표 Ⅱ-4-25] 연구개발 수요체계도 253

[표 Ⅱ-4-10]/[표 Ⅱ-4-26] 목적ㆍ목표지향적인 연구개발 수요 255

[표 Ⅱ-4-11]/[표 Ⅱ-4-27] 연구개발의 단계별 성과목표 256

[표 Ⅱ-4-12]/[표 Ⅱ-4-28] SWOT 요인 분석 259

[표 Ⅱ-4-13]/[표 Ⅱ-4-29] 전략방향 도출 260

[표 Ⅱ-4-14]/[표 Ⅱ-4-30] ERRC Matrix 261

[표 Ⅱ-4-15]/[표 Ⅱ-4-31 ] 평가지표 262

[표 Ⅱ-4-16]/[표 Ⅱ-4-32] 기술개발 타당성 평가 결과 263

[표 Ⅱ-4-17]/[표 Ⅱ-2-34] 분야별 연구개발 수행전략 273

[표 Ⅱ-5-1] 환경변화 요인에 따른 연구개발 수요 287

[표 Ⅱ-5-2] 현안동인 이슈별 연구개발 수요 290

[표 Ⅱ-5-3] 이해관계자별 연구개발 수요 293

[표 Ⅱ-5-4] 선진국 R&D 동향 295

[표 Ⅱ-5-5] 선진국 현황분석에 따른 연구개발 수요 296

[표 Ⅱ-5-6] 기술동향 분석에 따른 연구개발 수요 297

[표 Ⅱ-5-7] 동인별 연구개발수요 298

[표 Ⅱ-5-8] 연구개발 수요체계도 300

[표 Ⅱ-5-9] 목적ㆍ목표지향적인 연구개발 수요 302

[표 Ⅱ-5-10] 연구개발의 단계별 성과목표 303

[표 Ⅱ-5-11] SWOT 요인 분석 305

[표 Ⅱ-5-12] 전략방향 도출 307

[표 Ⅱ-5-13] ERRC Matrix 307

[표 Ⅱ-5-14] 평가지표 308

[표 Ⅱ-5-15] 기술개발 타당성 평가 결과 309

[표 Ⅱ-2-16] 분야별 연구개발 수행전략 316

[표 Ⅱ-6-1] 환경변화 요인에 따른 연구개발 수요 328

[표 Ⅱ-6-2] 현안동인 이슈별 연구개발 수요 332

[표 Ⅱ-6-3] 이해관계자별 연구개발 수요 335

[표 Ⅱ-6-4] WHO-FIC, NIBSC, ISO, NHANES 연구 기관 정보 336

[표 Ⅱ-6-5] 선진국 현황분석에 따른 연구개발 수요 338

[표 Ⅱ-6-6] 기술동향 분석에 따른 연구개발 수요 339

[표 Ⅱ-6-7] 동인별 연구개발수요 340

[표 Ⅱ-6-8] 연구개발 수요체계도 342

[표 Ⅱ-6-9]/[표 Ⅱ-5-9] 기술체계도 344

[표 Ⅱ-6-10] 연구개발의 단계별 성과목표 345

[표 Ⅱ-6-11] 표준화 집중연구의 강점, 약점과 기획요인, 위협요인 347

[표 Ⅱ-6-12] 전략방향 도출 348

[표 Ⅱ-6-13] 표준화 집중연구 ERRC 분석 349

[표 Ⅱ-6-14] 평가지표 350

[표 Ⅱ-6-15]/[표 Ⅱ-2-16] 분야별 연구개발 수행전략 358

[표 1] 논문 검색 방법 438

[표 2] 논문 검색식 및 검색결과 438

[표 3] 최근 주요 논문(2009~2010년) 440

[표 4] 하버드대학의 최근 주요 논문(2009~2010년) 443

[표 5] 지난 20년간 연평균 피인용수 상위 논문(1991~2010년) 444

[표 6] 최근 5년간 연평균피인용수 상위 논문(2006~2010년) 445

[표 7] 논문 검색 방법 447

[표 8] 논문 검색식 및 검색결과 447

[표 9] 최근 주요 논문(2009~2010년) 449

[표 10] CDC의 최근 주요 논문(2009~2010년) 453

[표 11] 지난 20년간 연평균 피인용수 상위 논문(1991~2010년) 454

[표 12] 최근 5년간 연평균피인용수 상위 논문(2006~2010년) 455

[표 13] 논문 검색 방법 456

[표 14] 논문 검색식 및 검색결과 456

[표 15] 최근 주요 논문(2009~2010년) 458

[표 16] CDC의 최근 주요 논문(2009~2010년) 462

[표 17] 지난 20년간 연평균 피인용수 상위 논문(1991~2010년) 463

[표 18] 최근 5년간 연평균피인용수 상위 논문(2006~2010년) 464

[표 19] 논문 검색 방법 467

[표 20] 논문 검색식 및 검색결과 467

[표 21] 최근 주요 논문(2009~2010년) 469

[표 22] 하버드 대학의 최근 주요 논문(2009~2010년) 473

[표 23] 지난 20년간 연평균 피인용수 상위 논문(1991~2010년) 474

[표 24] 최근 5년간 연평균피인용수 상위 논문(2006~2010년) 475

[표 25] 논문 검색 방법 476

[표 26] 논문 검색식 및 검색결과 476

[표 27] 최근 주요 논문(2009~2010년) 478

[표 28] HARVARD의 주요 논문(2009~2010년) 482

[표 29] 지난 20년간 연평균 피인용수 상위 논문(1991~2010년) 483

[표 30] 최근 5년간 연평균피인용수 상위 논문(2006~2010년) 484

그림목차

[그림 Ⅰ-1-1] 본 연구용역의 목표 및 목적 27

[그림 Ⅰ-1-2] 질병관리본부 연구사업 로드맵 구축사업의 연구내용 28

[그림 Ⅰ-2-1] 질병관리분야 환경변화 이슈 및 시사점 30

[그림 Ⅰ-2-2] 인구구조 변화 추이 31

[그림 Ⅰ-2-3] 고령인구의 주요 사망원인별 사망자 수 33

[그림 Ⅰ-2-4] 질병부담 대비 R&D 투자 비중 35

[그림 Ⅰ-2-5] 신종 전염병의 발생 지역 37

[그림 Ⅰ-2-6] 연도별 인구 1만명당 주요 환경성 질환자 추이 40

[그림 Ⅰ-2-7] 법정 전염병 중 기후변화 관련 전염병 발병 추이 41

[그림 Ⅰ-2-8] 바이오 융합기술 시장의 성장 전망 44

[그림 Ⅰ-2-9] 한국과 미국의 국가연구개발사업 현황 46

[그림 Ⅰ-2-10] PESTLE 분석을 통한 R&D 이슈 도출 프로세스 48

[그림 Ⅰ-2-11] 내부관계자 설문 응답자 프로파일 49

[그림 Ⅰ-2-12] 외부관계자 설문 응답자 프로파일 54

[그림 Ⅰ-2-13] NIH의 연구비 상위 20개 분야의 2010년 연구비 63

[그림 Ⅰ-2-14] NIH의 조직도 65

[그림 Ⅰ-2-15] NIH의 2010년 예산의 분야별 금액 71

[그림 Ⅰ-2-16] NIH의 연도별 총예산 72

[그림 Ⅰ-2-17] 2008년 NIH 기관 배정 예산 집행 실적 73

[그림 Ⅰ-2-18] 전년대비 2010년 NIH 산하기관 예산 증가율 74

[그림 Ⅰ-2-19] 전년대비 2010년 NIH 산하기관 예산 증가율 76

[그림 Ⅰ-2-20] CDC의 조직도 79

[그림 Ⅰ-2-21] 연도별 CDC 총예산 84

[그림 Ⅰ-2-22] 2010 회계연도의 프로그램 별 예산 배분 86

[그림 Ⅰ-2-23] 프로그램별 2006년 대비 2010년 증감율 86

[그림 Ⅰ-2-24] NIID의 조직도 90

[그림 Ⅰ-2-25] ECDC 조직도 97

[그림 Ⅰ-2-26] 질병관리의 미래상 도출 101

[그림 Ⅰ-3-1] 질병관리본부의 비전과 미션 106

[그림 Ⅰ-3-2] 질병관리본부 연도별 연구사업수 107

[그림 Ⅰ-3-3] 질병관리본부 연도별 연구사업 예산 108

[그림 Ⅰ-3-4] 질병관리본부 연도별 사업당 예산 108

[그림 Ⅰ-3-5] 질병관리본부 전체사업 현황 109

[그림 Ⅰ-3-6] 질병관리본부 전체사업 예산 현황 110

[그림 Ⅰ-3-7] 질병관리본부 조직도 111

[그림 Ⅰ-3-8] 질병관리본부 인원의 연도별 추이 112

[그림 Ⅰ-3-9] 질병관리본부 인원 채용형태 비율 연도별 추이 113

[그림 Ⅰ-3-10] 국립보건연구원 채용형태별 인원 현황 113

[그림 Ⅰ-3-11] 질병관리본부 정규직 직군별 인원의 연도별 변화 114

[그림 Ⅰ-3-12] 질병관리본부 정규직 직군별 비율의 연도별 변화 114

[그림 Ⅰ-3-13] 국립보건연구원 정규직 직군별 인원 연도별 변화 115

[그림 Ⅰ-3-14] 국립보건연구원 정규직 직군별 비율의 연도별 변화 116

[그림 Ⅰ-3-15] 질병관리본부 연구직 인원 현황 116

[그림 Ⅰ-3-16] 질병관리본부 센터별 인원현황 117

[그림 Ⅰ-3-17] 질병관리본부 센터별 연구직 인원현황('09.12기준) 117

[그림 Ⅰ-3-18] 미션별 연구사업 수의 연도별 추이 118

[그림 Ⅰ-3-19] 미션별 연구사업 예산의 연도별 추이 119

[그림 Ⅰ-3-20] 질병관리본부 2010년 연구사업의 미션별 분류 119

[그림 Ⅰ-3-21] 환경변화요인별 연구사업수의 연도별 변화 121

[그림 Ⅰ-3-22] 환경변화요인별 연구사업수의 연도별 변화 121

[그림 Ⅰ-4-1] 질병관리본부 연구사업 SWOT Matrix 129

[그림 Ⅰ-4-2] 질병관리본부 연구사업 전략방향 도출 130

[그림 Ⅰ-4-3] 국립보건연구원의 연구영역 설정 134

[그림 Ⅰ-4-4] 국가차원의 질병관리 리스크 대응 연구개발 135

[그림 Ⅰ-4-5] 국가 질병관리 연구성과 확산시스템 136

[그림 Ⅱ-1-1] 로드맵 작성 프로세스 139

[그림 Ⅱ-2-1]/[그림 Ⅱ-2-2] 게놈프로젝트 분야 연구 체계도 144

[그림 Ⅱ-2-2]/[그림 Ⅱ-2-1] 유전자 치료제의 적용범위 150

[그림 Ⅱ-2-3]/[그림 Ⅱ-2-2] 만성질환의 증가 예측(2003~2013) 151

[그림 Ⅱ-2-4]/[그림 Ⅱ-2-5] 전략기술 포트폴리오 분석 185

[그림 Ⅱ-3-1]/[그림 Ⅱ-2-3] 전략기술 포트폴리오 분석 228

[그림 Ⅱ-4-1]/[그림 Ⅱ-2-7] 전략기술 포트폴리오 분석 273

[그림 Ⅱ-5-1] 기후변화 취약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292

[그림 Ⅱ-5-2][그림 Ⅱ-2-4] 전략기술 포트폴리오 분석 316

[그림 Ⅱ-6-1][그림 Ⅱ-2-3] 전략기술 포트폴리오 분석 358

[그림 1] 연도별 논문 발표 현황 439

[그림 2] 지난 20년간 국가별 논문 발표 현황(1991~2010년) 441

[그림 3] 최근 5년간 국가별 논문 발표 현황(2006~2010년) 441

[그림 4] 지난 20년간 기관별 논문 발표 현황(1991~2010년) 442

[그림 5] 최근 5년간 기관별 논문 발표 현황(2006~2010년) 443

[그림 6] 최근 5년간 인간게놈프로젝트분야의 Thememap(2006~2010년) 446

[그림 7] 연도별 논문 발표 현황 448

[그림 8] 지난 20년간 국가별 논문발표 현황(1991년~2010년) 450

[그림 9] 최근 5년간 국가별 논문 발표 현황(2006년~2010년) 451

[그림 10] 지난 20년간 기관별 논문 발표 현황(1991년~2010년) 451

[그림 11] 최근 5년간 기관별 논문 발표 현황(2006년~2010년) 452

[그림 12] 연도별 논문 발표 현황 457

[그림 13] 지난 20년간 국가별 논문 발표 현황(1991~2010년) 459

[그림 14] 최근 5년간 국가별 논문 발표 현황(2006~2010년) 459

[그림 15] 지난 20년간 기관별 논문 발표 현황(1991~2010년) 460

[그림 16] 최근 5년간 기관별 논문 발표 현황(2006~2010년) 461

[그림 17] 지난 20년간의 신종 전염병 백신분야의 Thememap(1991~2010년) 465

[그림 18] 최근 5년간의 신종 전염병 백신 분야의 Thememap(2006~2010년) 466

[그림 19] 연도별 논문 발표 현황 468

[그림 20] 최근 20년간 국가별 논문 발표 현황(1991~2010년) 470

[그림 21] 최근 5년간 국가별 논문 발표 현황(2006~2010년) 470

[그림 22] 지난 20년간 기관별 논문 발표 현황(1991~2010년) 471

[그림 23] 최근 5년간 기관별 논문 발표 현황(2006~2010년) 472

[그림 24] 연도별 논문 발표 현황 477

[그림 25] 지난 20년간 국가별 논문발표 현황(1991년~2010년) 479

[그림 26] 최근 5년간 국가별 논문 발표 현황(2006년~2010년) 479

[그림 27] 지난 20년간 기관별 논문 발표 현황(1991년~2010년) 480

[그림 28] 최근 5년간 기관별 논문 발표 현황(2006년~2010년) 481

[그림 29] 지난 20년간 의과학 표준화 분야의 Thememap(1991년~2010년) 485

[그림 30] 최근 5년간 의과학 표준화 분야의 Thememap(2006년~2010년) 486

[그림 31] 로드맵구축 워크샵 세미나 487

[그림 32] 로드맵구축 워크샵 의견말하기 488

[그림 33] 로드맵구축 워크샵 질의응답 488

[그림 34] 로드맵구축 워크샵 분임토의 489

[그림 35] 로드맵 구축 워크샵 결과도출 489

[그림 36] 로드맵구축 공청회 490

[그림 37] 로드맵구축 공청회 분과발표 491

[그림 38] 로드맵구축 공청회 패널토론 4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