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여몽관계사 연구의 새로운 시점 -제1차 여몽화약과 지배층의 통혼관계를 중심으로- / 이개석 9
1. 머리말 11
2. 여몽형제맹약관계의 개시와 성격 15
3. 몽골 공신[根脚] 가문과 고려 지배층의 통혼 27
4. 맺음말 49
고려-몽골관계에서 보이는 책봉-조공 관계 요소의 탐색 / 이익주 51
1. 머리말 53
2. 책봉-조공관계의 요소 56
1) 책봉과 조공 56
2) 고려인들의 대원의식 66
3. 책봉-조공관계 이외의 요소 72
1) 고려국왕의 위상 : 친조, 왕실혼인, 정동행성 72
2) ‘육사’의 문제 79
4. 맺음말 88
대몽항쟁기(1219~1270) 여몽관계의 추이와 성격 / 윤용혁 93
1. 머리말 95
2. 1219년 여몽 간의 ‘형제맹약’ 98
3. 군사적 대결의 개시 103
4. 몽골 침입에 대한 고려의 외교적 대응 110
5. 몽골의 대고려 전략의 전환 117
6. 맺음말 120
쿠빌라이의 고려정책과 원-고려관계의 전환점 / 천더즈 123
1. 몽골의 고려에 대한 군사침략 125
2. 쿠빌라이의 고려정책 132
3. 행성 개치 사건에서 본 고려의 지위 148
제국 동방 변경에서 일본을 막는다 / 모리히라 마사히코 157
1. 머리말 159
2. 갑술(1274)ㆍ신사(1281)의 역과 고려 163
3. 고려의 ‘대일전선’화 171
4. 몽골 황족과의 통혼 배경 180
5. 교통ㆍ경제정책과 왕조체제의 보전 183
6. 맺음말 : 고려사에서 갑술ㆍ신사의 역의 의의에 대하여 193
13~14세기 여몽관계에 대한 몽골 학계의 관점 / 김장구 195
1. 머리말 197
2. 여몽관계에 대한 몽골 학계의 관점 199
1) 몽골 통사에 보이는 고려에 대한 서술과 인식 199
2) 몽골 학자 저술 단행본에 보이는 고려에 대한 인식 208
3. 맺음말 219
판권기 222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1647777 | 951.4 -11-11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
0001647778 | 951.4 -11-11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